1. 개요
더메리든 오픈의 첫 번째 대회.2. 예선
- 아마 예선은 8월 3일에 주니어조 예선, 8월 9일에 여자 및 시니어조 예선이 진행되었다. 주니어조 예선에서는 본선 진출자 5명, 여자와 시니어 선수가 통합으로 치르는 여자 및 시니어조는 본선 진출자 3명을 선발했다. 아마예선 대진표 및 결과
- 프로 예선은 8월 11일 부터 12일까지 양일간 열렸으며 남자 시니어 기사와 여자기사 조로 나눠 각 8명씩 선발했다. 프로예선 대진표 및 결과
3. 본선 출전 선수 및 대진표
3.1. 출전 선수
| <rowcolor=#b9f06c> 구분 | 선수 | |
| <colcolor=#043a1d><colbgcolor=#b9f06c> 시드 배정자 | 랭킹 시드 | 목진석, 최명훈, 김은지, 오유진 |
| 후원사 시드 | 이창호, 유창혁, 김채영, 스미레 | |
| 프로 예선 통과자 | 남자부 | 이현욱, 김명완, 최규병, 안조영 양건, 윤현석, 김영삼, 서봉수 |
| 여자부 | 허서현, 김다영, 유주현, 정유진 김민서, 김경은, 권효진, 김주아 | |
| 아마 예선 통과자 | 주니어 | 김정선, 류승민, 백운기, 최환영, 신현석 |
| 시니어 및 여자 | 조민수, 김정환, 이철주 | |
3.2. 대진표
| 2025 더메리든 오픈 본선 대진표 | ||||||||
| 32강 | 16강 | 8강 | 4강 | 결승 | ||||
| 목진석 | <colbgcolor=#b9f06c><colcolor=#043a1d> ➡ | 목진석 | <colbgcolor=#b9f06c><colcolor=#043a1d> ➡ | 목진석 | <colbgcolor=#b9f06c><colcolor=#043a1d> ➡ | 목진석 | <colbgcolor=#b9f06c><colcolor=#043a1d> ➡ | 목진석(2패) 준우승 |
| - | ||||||||
| - | ➡ | - | ||||||
| 김민서 | ||||||||
| 최명훈 | ➡ | 최명훈 | ➡ | - | ||||
| - | ||||||||
| - | ➡ | - | ||||||
| 김영삼 | ||||||||
| - | ➡ | - | ➡ | - | ➡ | - | ||
| 권효진 | ||||||||
| - | ➡ | 윤현석 | ||||||
| 윤현석 | ||||||||
| 김채영 | ➡ | 김채영 | ➡ | 김채영 | ||||
| - | ||||||||
| 최환영A | ➡ | | ||||||
| - | ||||||||
| 이창호 | ➡ | 이창호 | ➡ | 이창호 | ➡ | | ➡ | 오유진 (2승) 우승 |
| - | ||||||||
| - | ➡ | - | ||||||
| 유주현 | ||||||||
| - | ➡ | 김다영 | ➡ | - | ||||
| 김다영 | ||||||||
| - | ➡ | | ||||||
| 허서현 | ||||||||
| 오유진 | ➡ | 오유진 | ➡ | 오유진 | ➡ | 오유진 | ||
| - | ||||||||
| 백운기A | ➡ | - | ||||||
| - | ||||||||
| 스미레 | ➡ | 스미레 | ➡ | - | ||||
| - | ||||||||
| - | ➡ | - | ||||||
| 안조영 | ||||||||
4. 본선
- 중계: K바둑 (캐스터 - 장혜연, 김규리 / 해설 - 백홍석 九단, 안형준 五단)
- 본선 대국 규정은 각자 기본시간 1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이며, 시간초과시에 시간 패널티 룰이 있다. 시간을 다 쓸 경우엔 벌점 2집을 댓가로 추가 시간을 받으며, 최대 세 번까지 받을 수 있다.(세 번까지 받으면 총 6집 공제)
- 모든 대국은 치수 조정 없이 덤 6집반(호선)으로 통일해서 대국이 진행된다.
4.1. 32강
| 일정 |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 2025년 9월 9일 | 14:00 | 김명완 | 김채영 | 140수 백 불계승 |
| 최환영A | 김경은 | 203수 흑 불계승 | ||
| 오유진 | 김주아 | 230수 흑 2집반승 | ||
| 2025년 9월 10일 | 14:00 | 김민서 | 이철주A | 221수 흑 불계승 |
| 김영삼 | 조민수A | 287수 흑 5집반승 | ||
| 스미레 | 이현욱 | 227수 흑 불계승 | ||
| 16:00 | 서봉수 | 백운기A | 296수 백 3집반승 | |
| 19:00 | 김은지 | 김다영 | 250수 백 불계승 | |
| 21:00 | 안조영 | 신현석A | 272수 흑 2집반승 | |
| 2025년 9월 11일 | 14:00 | 목진석 | 최규병 | 195수 흑 불계승 |
| 권효진 | 유창혁 | 310수 흑 6집반승 | ||
| 김정환A | 윤현석 | 268수 백 불계승 | ||
| 이창호 | 양 건 | 113수 흑 불계승 | ||
| 류승민A | 유주현 | 234수 백 3집반승 | ||
| 19:00 | 최명훈 | 정유진 | 155수 흑 불계승 | |
| 21:00 | 허서현 | 김정선A | 175수 흑 불계승 |
- 보라색으로 칠해진 칸의 대국은 K바둑 스튜디오 대국이며, 나머지 대국들은 한국기원 대국장에서 열린다.
4.2. 16강
| 일정 |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 2025년 9월 17일 | 19:00 | 목진석 | 김민서 | 163수 흑 불계승[1] |
| 2025년 9월 18일 | 19:00 | 오유진 | 백운기A | 187수 흑 불계승 |
| 21:00 | 김다영 | 허서현 | 209수 흑 불계승 | |
| 2025년 9월 19일[2] | 19:00 | 김채영 | 최환영A | 291수 흑 1집반승 |
| 2025년 9월 24일 | 19:00 | 스미레 | 안조영 | 209수 흑 불계승 |
| 21:00 | 권효진 | 윤현석 | 305수 백 6집반승 | |
| 2025년 9월 25일 | 19:00 | 최명훈 | 김영삼 | 243수 흑 불계승 |
| 21:00 | 이창호 | 유주현 | 171수 흑 불계승 |
- 16강부터는 모든 경기가 K바둑 스튜디오에서 생중계로 진행된다.
- 16강전에 생존한 유이한 아마기사였던 백운기와 최환영이 각각 여자기사들 중에서는 강력 우승후보인 오유진과 김채영의 벽을 넘지 못하고 모두 패하며 아마기사는 16강에서 전멸했다.
- 16강전 최종 결과 아마기사는 16강에서 모두 탈락했고, 여자기사(김채영, 김다영, 오유진, 스미레)와 시니어기사(목진석, 최명훈, 윤현석, 이창호)가 각각 4명씩 진출하며 황금분할을 이루었으며, 8강전은 목진석-최명훈의 시니어 맞대결과 오유진-스미레의 여자 맞대결, 그리고 윤현석-김채영과 이창호-김다영의 시니어-여자 맞대결 두 판이 성사되었다.
4.3. 8강
| 일정 |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 2025년 10월 1일 | 19:00 | 오유진 | 스미레 | 281수 흑 불계승 |
| 21:00 | 최명훈 | 목진석 | 226수 백 불계승 | |
| 2025년 10월 2일 | 19:00 | 김다영 | 이창호 | 192수 백 불계승 |
| 21:00 | 김채영 | 윤현석 | 265수 흑 불계승 |
- 10월 1일 벌어진 8강 1일차 경기에서 스미레와 오유진의 7시 대국에서는 스미레가 중반 전투에서 승기를 잡은 뒤 오유진의 우상 흑대마를 끊어가며 다 잡아내는 분위기였으나 수순이 진행되며 상변에서 패가 나는 수단이 생긴 것을 간과하다가 바꿔치기가 등장하며 흐름이 이상해지기 시작했고, 결국 끝내기 과정에서 스미레의 치명적인 수순착오가 등장하며 오유진이 바꿔치기로 살려줬던 좌변 백돌까지 도로 잡아내며 대역전승을 거두고 4강에 올랐으며, 저녁 9시 대국에서는 목진석이 최명훈을 상대로 하변에서 백 대마가 공격당하며 불리한 형세였으나 최명훈이 계속해서 제자리걸음하는 수들이 나왔고 상변의 패 뒷맛까지 해결되며 백 대마가 크게 살아가면서 목진석이 역시 역전승으로 4강에 진출했다.
- 10월 2일 벌어진 8강 2일차 경기는 저녁 7시 이창호와 김다영의 대국은 김다영이 초중반 우세한 흐름을 잡았으나 우상귀에서 제자리걸음을 한 사이 요석이었던 흑 두점이 잡히며 형세가 완벽히 넘어갔고, 이후 이창호가 우변의 흑 모양을 지워가며 안정적으로 흐름을 이끌어나간 끝에 승리하고 4강에 진출했으며, 저녁 9시 윤현석과 김채영의 대국에서는 김채영이 초반부터 계속해서 우세를 이끌었고 중간에 우변에서 강수로 나갔다가 바둑이 어지러워질 뻔한 위기를 겪었으나 윤현석이 기회를 놓쳤고 김채영이 빠르게 다시 냉정을 되찾으며 승리를 지켜냈다. 마지막에는 윤현석이 공배를 메우다가 양단수를 보지 못하는 해프닝이 있었으나 승부와는 무관했으며, 계가했다면 13집반차의 대승이었다.
- 8강 결과 목진석-김채영, 이창호-오유진의 4강 대진이 이뤄지며 두 판 모두 상당한 빅매치가 성사됨과 동시에 시니어기사 두 명과 여자기사 두 명으로 8강에 이어 다시 한 번 밸런스를 맞췄다. 목진석과 김채영은 첫 맞대결을 펼치며, 이창호와 오유진의 상대전적은 1승 1패로 호각이다.
4.4. 4강
| 일정 |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 2025년 10월 8일 | 19:00 | 김채영 | 목진석 | 353수 백 2집반승 |
| 2025년 10월 9일 | 오유진 | 이창호 | 279수 흑 5집반승 |
- 4강 1경기는 목진석이 김채영에게 대역전승을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다. 엎치락뒤치락하던 초반 전투를 지나 김채영이 대마를 타개해내고 우하귀에 큰 집을 만들며 우세를 잡았다가 상변에서 패를 버티다가 팻감 실수가 나와 미세해졌으나 김채영이 끝까지 냉정함을 유지하며 최소 반집 이상으로 골인하는 분위기였는데, 마지막에 우변에서 목진석이 끝내기를 하다가 김채영이 잘못 받으며 우변에 찝는 끝내기 묘수 자리가 등장했고, 목진석이 이 수를 노타임으로 정확하게 찾아내며 결국 2집반을 남기는 대역전승을 가져갔다.
- 4강 2경기는 오유진이 이창호에게 완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했다. 오유진이 초반부터 우세를 잡은 뒤 우상귀와 우변에서 백돌을 공격하며 우변의 백 다섯점을 잡아내는 성과를 올렸고, 이후 안정적으로 끝내기를 이어간 끝에 5집반을 남겼다. 이로써 결승전은 목진석과 오유진의 대결이 성사가 되며 결승전 역시 시니어 1명, 여자 1명으로 황금분할이 이루어졌다.
4.5. 결승
| 2025 더메리든 오픈 결승 3번기 | |||||||||
| 목진석 | 0 | 2 | 오유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대국 | 일정 |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
| 1국 | 2025년 10월 22일 | 19:00 | 목진석 | 오유진 | 267수 백 2집반승 | ||||
| 2국 | 2025년 10월 23일 | 15:00 | 오유진 | 목진석 | 229수 흑 불게승 | ||||
| | | 2:0으로 종료되어 해당 사항 없음 | |||||||
| 우승 | 오유진 九단 (더메리든 오픈 초대 우승) | }}} | |||||||
더메리든 오픈 초대 우승자를 가리는 2025 더메리든 오픈 결승3번기는 (2025년 10월 기준) 시니어랭킹 1위(전체랭킹 36위) 목진석과 여자랭킹 3위(전체랭킹 64위) 오유진이 맞붙게 됐다. 목진석은 2025년 시니어 기전인 월드바둑챔피언십과 울산광역시장배를 우승한 데 이어 이 대회까지 2025년 3관왕에 도전하며, 오유진은 2025년에는 비공식 기전인 춘향배 프로부문에서 우승한 데 이어 공식 기전에서는 2022년 9월 오청원배 우승 이후 오랜만에 공식 기전 우승에 도전하는 결승 3번기이다. 상대전적은 목진석이 비공식전을 포함해 3전 전승(공식전 기준으로는 1승)으로 앞서 있다.
결승 1국은 오유진의 완승이었다. 초반 우상귀에서 목진석이 너무 무리하다가 흑 대마가 양곤마로 쫓기는 흐름이 되어 오유진이 큰 우세를 잡았으며, 이후 오유진이 우세를 의식하면서 계속해서 물러나는 수들이 연이어 나오며 격차가 꽤 좁혀졌고 목진석이 계속해서 판을 흔들어가며 후반에 맹추격했으나 마지막에 오유진이 2집반의 차이를 끝까지 지켜내며 선취점을 가져갔다.
바로 다음날 이어진 결승 2국에서도 오유진이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120수 부근까지 서로 큰 실수 없이 팽팽하고 쌍방 좋은 내용으로 형세 그래프가 이끌어지다가 목진석이 우하귀를 두며 집으로 버티는 선택을 했는데, 오유진이 여기서 하변에서 중앙으로 이어지는 수순에서 좋은 수순들을 계속해서 보여주며 백 대마를 몰아가며 단숨에 승세를 굳혔다. 그러나 목진석이 계속해서 최대한 까다롭게 버텨가며 중앙 흑대마가 걸린 패를 내는 것까진 성공했는데 여기서 오유진이 흔들릴 수도 있는 상황이었으나 끝까지 냉정함을 잃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하며 승리를 가져갔다. 이로써 오유진이 결승3번기를 2-0으로 승리하며 더메리든 오픈 초대 우승자로 등극했다. 여담이지만 이 대회 홍보 차원에서 대회 후원자인 김성만 블리츠 인베스트먼트 회장의 바둑 비타민에 출연했을 당시 오유진이 솔루션을 주는 프로기사로 출연했었던 바 있다.
4.6. 여담
- 이번 대회에 아마추어 기사로 참가했던 최환영은 대회 탈락 후 타 기전에서 포인트 입단 점수를 채워 프로 입단에 성공했고, 따라서 이번 대회 16강 김채영과의 대국이 자신의 아마추어로서는 마지막 대국이 됐다.
- 결승 1국이 열린 10월 22일에는 결승 1국이 열리기 전에 더메리든 영재 초청 대회 결승이 열렸는데 이 대국에서 오세현 선수가 이서준 선수에게 백 불계승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2025 더메리든 오픈 우승자와 특별대국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참고로 이 대회는 2013년생 이후 출생자 24명이 참가해서 열전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