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1:44:15

𩸽

𩸽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9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ほっけ
-
표준 중국어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용례
2.1. 단어, 고사성어2.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파일:attachment/u29E3D.png

1. 개요

일본어에서 임연수어를 뜻하는 한자로 홋케(ほっけ)라고 읽는다.

일본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이 한자의 유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고 한다.
  • 어린 물고기가 청록색이고, 무리 지어 헤엄치는 것이 마치 꽃(花)과 같아서 북쪽의 꽃(北の花) → 호쿠카(ほくか) → 홋케(ほっけ)가 되었다.
  • 13세기 후반 니치렌종(日蓮宗) 승려 니치지(日持)가 에조치, 오늘날의 홋카이도에 포교하러 갔을 때 처음으로 임연수어가 잡혔다. 니치렌종은 늘 법화경(法華經)을 이야기하므로 사람들은 법화(法華)의 일본어식 발음 홋케(ほっけ)를 따서 불렀다. 참고(일본어)

임연수어를 두고 한국어는 臨淵水魚 또는 林延壽魚 네 글자, 중국어는 远东多线鱼 다섯 글자나 쓰는 반면 일본어는 𩸽 한 글자로 퉁친다.
굳이 음을 붙이자면, 대체적으로 가 들어간 한자는 전부 '화'로 읽으므로, 임연수어 화라 할 수 있겠지만, 일본의 국자이므로 한국식으로의 훈음은 미정이다.

2. 용례

2.1. 단어, 고사성어

  • 𩸽(ほっけ): 임연수어

2.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신 화)의 동자[2] (준마 화)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