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22:10:37

흥타령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민요}}}에 대한 내용은 [[천안삼거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천안삼거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천안삼거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민요: }}}[[천안삼거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천안삼거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천안삼거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e4af52,#292724><colcolor=#fff,#ddd> 흥타령
HEUNGTARYEONG
파일:이미리흥타령.jpg
발매 2024년 11월 5일
장르 트로트
길이 6:48[1]
곡 수 2곡[2]
작사 이미리, 김벗
작곡 마아성, 전홍민
편곡 마아성, 전홍민
가수 이미리
발매사 (주)쿠킹뮤직
기획사 블루노트뮤직
노래방 수록 정보
TJ 원곡 미수록
박서진 버전 44848
금영 미수록

1. 개요2. 소개3. 뮤직비디오 및 가사4. 동영상5. 커버6. 여담

1. 개요

이미리가 2024년 11월 5일 발매한 싱글.

2. 소개

'얼씨구 절씨구 놀아보세'
대한민국 '흥' 을 몰고 '이미리' 가 왔다!
경기민요를 대표하는 국악 여신 '이미리' 의 싱글 앨범
'흥타령' 이 발매되었습니다.
신나는 댄스와 타령의 만남은 더욱더 흥을 돋우며
'이미리' 의 시원한 가창력이 화룡점정을 찍은 '흥타령'.
트로트계의 마벤져스 '마아성, 전홍민' 작곡가의 작품으로
신명나는 태평소의 울림으로 시작되는 인트로는 음악을 틀자마자
시선을 집중하게 만들며 국악과 트로트의 대중성을 절묘하게 결합한 결과물로
'이미리' 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한층 더 넓히는 동시에
모든 세대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흥겨운 음악을 선사합니다.
'흥' 이 필요하시다면 바로 감상하기!

3. 뮤직비디오 및 가사

<colbgcolor=#e4af52,#292724><colcolor=#fff,#ddd>
흥타령 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좋아 좋아 좋아 좋아 흥타령이~
좋아 좋아 나는 좋아~
신나 신나 신나 신나 흥타령이~
나는 나는 나는야 좋아~
게 섰거라 모두 비켜라
물렀거라 세상 가짜들아~
얼씨구 절씨구 놀아보세
흥겹게 흥겹게 즐겨보세~
이게 바로 대한민국 흥타령~
힘들고 지칠 때 흥타령을 불러주세요~~
좋아 좋아 좋아 좋아 흥타령이~
좋아 좋아 나는 좋아~
신나 신나 신나 신나 흥타령이~
나는 나는 나는야 좋아~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오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간다

좋아 좋아 좋아 좋아 흥타령이~
좋아 좋아 나는 좋아~
신나 신나 신나 신나 흥타령이~
나는 나는 나는야 좋아~
게 섰거라 모두 비켜라
물렀거라 세상 가짜들아~
얼씨구 절씨구 놀아보세
흥겹게 흥겹게 즐겨보세~
이게 바로 대한민국 흥타령~
힘들고 지칠 때 흥타령을 불러주세요~~
좋아 좋아 좋아 좋아 흥타령이~
좋아 좋아 나는 좋아~
신나 신나 신나 신나 흥타령이~
나는 나는 나는야 좋아~
흥타령이 나는야 좋아~~
}}}}}}}}}

4. 동영상

  • LIVE. ON (라이브. 온) (22.07.2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4]
  • 헬로콘서트 좋은날 (24.10.3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제7회 대평 가요대상 (24.11.06. 업로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전국 TOP10 가요쇼 (24.11.08. 업로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트로트 라디오 (24.11.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뮤직뱅크 (25.01.1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전국 TOP10 가요쇼 (25.02.12. 업로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트로트 라디오 (25.03.1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커버

  • 현역가왕2 결승 파이널에서 박서진이 불렀고, 우승하여 제2대 현역가왕이 되었다. (25.02.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클린버전 4K/직캠 음원
    • 원곡자 이미리는 자신의 유튜브에 영상을 올려 박서진의 현역가왕2 우승을 축하하고 박서진이 흥타령을 불러준 것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 작곡가 마아성은 자신이 운영하는 마엔터테인먼트 공식 유튜브 쇼츠에 영상을 올려 축하 및 감사 인사를 전했다.
    • 살림하는 남자들 (25.03.0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여담

  • 1절 마지막 부분에서 아리랑을 샘플링했다. 박서진 버전에서는 아리랑 부분을 맨 마지막으로 옮겼다.
  • 노래방에도 실려있지 않았을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노래였으나, 박서진이 현역가왕2에서 부른 이후 인지도가 크게 늘었으며 2025년 3월 7일 TJ 노래방에 박서진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이미리의 동영상 댓글들을 보면 박서진의 노래를 듣고 원곡이 궁금해서 찾아왔다는 박서진 팬들의 댓글이 대부분이다.
  • 박서진이 자신의 유튜브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일본에 갈 한국 국가대표를 뽑는 현역가왕2의 결승전이니만큼 '한국의 홍은 이거다'라는 것을 모두 보여주기 위해 이 노래를 선곡하고 사물놀이는 물론 사자놀음까지 넣어 무대를 만들었다고 한다. 결승전 경연곡 후보로 홍철의 〈장날이다〉도 고려했지만, 자신이 현역가왕2 본선 1차전에서 이미 선보인 〈광대〉와 비슷한 느낌이 될 것 같아 이번에는 다른 느낌을 보여주고 싶어 〈흥타령〉을 최종 선곡했다고 한다. 〈장날이다〉는 2025년 4월 1일 한일톱텐쇼에서 불렀다.
  • 현역가왕2에서 경연곡으로 선곡된 타가수 노래들 중 원곡 발매가 가장 늦은 최신곡이다.
  • 메타미디 반주기에 박서진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번호 69063.

[1] MR 포함[2] MR 포함[3] 날짜를 보면 알 수 있듯 2022년부터 발매 준비 중인 노래였으며, 실제 발매까지 2년 넘게 걸렸다.[4] 영상 앞부분에 잠깐 나오는 노래는 이미리의 〈반갑습니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