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20:06:54

횡성대교

횡성대교
橫城大橋 | Hoengseongdaegyo(Way Bridge)
영동선 (인천 방면) 파일:Expressway_kor_50.svg
영동선 (강릉 방면) 파일:Expressway_kor_50.svg
다국어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중국어(간체) 横城大桥
가타카나 - }}}}}}}}}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상대리 (남·북단)
착공
1995년 12월
개통
1999년 7월 15일
시공 관리
고려개발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 원주지사
길이 / 폭
길이 705m, 폭 12.3m(상행선) / 14.3m(하행선)[1]
구조형식
PSC상자형 (상부), 라멘구조 (하부)

파일:횡성대교.jpg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상대리에 소재한 영동고속도로상의 교량.

2. 상세

1990년대 중반 영동고속도로 원주-강릉 간 4차로 확장 공사 당시 건설되었으며, 신설 구간에 있는 거대한 협곡을 건너기 위해 만들어졌다. 1995년 12월 착공하여 1999년 7월 15일 개통하였다. 설계 당시 명칭은 '상대3교'였으며, '소사대교'[2], '하늘 다리'[3], '우천대교' 등 다양한 이칭이 존재했으나 끝내 지금의 '횡성대교'로 최종 명칭이 확정되었다. 이후 기존 명칭인 '상대3교'는 강릉 방향에 있는 다음 교량이 가져가게 되었다.

총 연장 705 m, 최고 높이 92 m로 개통 당시부터 2001년 단양대교 개통 이전까지 국내 최고 높이의 교량이었다. 곡률 반경 1 km의 곡선 교량이며, 강릉 방향 3%의 종단 구배, 곡선 바깥 방향 4%의 횡단 구배가 존재한다.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 Slip Foam 공법 등 당시 기준 첨단 공법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1] 강릉 방향 상구배로 인해 오르막차로가 적용되어 2m 넓은 폭으로 설계되었다.[2] 9분 10초경 등장하는 행사장 현수막에서 확인할 수 있다.[3] '하늘로 가는 다리'라는 명칭도 공존했던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