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aa089><colcolor=#fff> 홀리 호러 맨션 ホーリーホラーマンション HOLY HORROR MANSION | |
<nopad> | |
개발 | LEVEL5 |
유통 | |
플랫폼 | 미정 |
장르 | 고스트 크래프트 RPG |
출시 | 미정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이 마을은 [ruby(불가사의, ruby=펌킨)]들로 가득하다.
この町は[ruby(不思議, ruby=パンプキン)]に満ちている
This town is full of "[ruby(pumpkins, ruby=wonders)]."
LEVEL5에서 제작하는 요괴워치 시리즈의 계보를 잇는 작품.この町は[ruby(不思議, ruby=パンプキン)]に満ちている
This town is full of "[ruby(pumpkins, ruby=wonders)]."
2. 트레일러
LEVEL5 VISION 2023 II 티저 |
LEVEL5 VISION 2024 트레일러 |
3. 발매 전 정보
2023년 2월 24일, 요괴워치 음표의 종영 소식 발표와 함께 히노 아키히로가 트위터를 통해 '요괴워치를 잇는 다음가는 걸 생각하고 있으니 기다려달라'는 트윗을 업로드했다. 트윗과 함께 지바냥과 유사한 빨간 고양이 캐릭터의 일러스트가 잘린 사진이 같이 게시되었다.#2023년 10월 2일, 타이틀명으로 추정되는 '고스트 크래프트(ゴーストクラフト / Ghost Craft)'라는 상표가 출원되었다.
2023년 11월 29일, LEVEL5 VISION 2023 Ⅱ를 통해 2024년 4월에 진행될 LEVEL5 VISION 2024의 예고와 함께 2월에 공개된 빨간 고양이 캐릭터의 전신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2024년 4월 18일, LEVEL5 VISION 2024가 여름으로 연기되었다. 이후 2024년 9월 1일 개최된 이나즈마 일레븐 영웅들의 빅토리 로드 베타테스트 버전 결승대회 라이브에서 9월 24일 진행이 확정되었다.
2024년 9월 24일, LEVEL5 VISION 2024에서 정식 공개되었다. 정식 타이틀명은 홀리 호러 맨션이며, 이전에 제목으로 알려졌던 고스트 크래프트는 게임이 아닌 장르의 명칭으로 밝혀졌다. 이후 크로스미디어 프로젝트로써 2025년 봄에 전용 발표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4. 등장인물
4.1. 인간
- 오오야 텐([ruby(大, ruby=おお)][ruby(家, ruby=や)]テン) / 텐 로드랜드(Ten Lordland)
본작의 주인공. 할머니가 건물주인 맨션 옥상에서 아빠, 엄마, 누나와 함께 살고 있다.
- 마왕당(魔王堂) / De Ville Corp
주인공과 대립하는 악덕 기업. 돈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며 '블랙클리맨'을 부하로 데리고 다니는 것으로 보인다.
4.2. 고스트
ゴースト / Ghost본작의 주요 주제가 되는 설정. 고스트는 텐이 임시로 지은 이름으로, 고스트는 물체에 IN하여 모노노케를 만들 수 있다. IN(イン)이라는 표현은 들러붙는다는 행위의 작중 고유명사다.
고스트는 색깔별로 능력도 다르며, 초록색 고스트는 단순히 물체에 빙의하여 모노노케를 탄생시키고, 파란색 고스트는 물체들을 합성하여 모노노케를 탄생시킨다. 그리고 핑크색 고스트는 물체를 하나의 커다란 건물로 만들어 내부에 미궁을 펼친다.
4.2.1. 모노노케
モノノケ고스트가 물체에 들러붙어 탄생한 생물. 모노노케는 요괴워치 시리즈에서 종족의 이름으로 사용된 적 있다.
- 키네코(キネコ)마네키네코에 고스트가 IN해서 태어난 모노노케.
행복을 부르는 행동이야말로 숙명일 텐데
남들의 불행을 기뻐하는 삐딱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동료들에게 지적받는다.
행복이란 무엇인가를 아직도 못 알아낸
그야말로 길 잃은 길고양이.
배에 방석이 있는 마네키네코 모노노케. 본작에서 지바냥의 포지션을 이어받았다.
- 부타쵸키(ブタチョキ)돼지저금통에 고스트가 IN해서 탄생한 모노노케.
돈을 모으는 행동이 존재 의의인데
돈을 마구 써버린다. 배에 모인
동전들이 밖으로 나오는 건
어디까지나 다이어트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배꼽에 마개가 있는 돼지저금통 모노노케.
- 캰(キャン)
강아지의 모습을 한 양초 모노노케.
- 챠폿토(チャポット)
비둘기의 모습을 한 주전자 모노노케.
- 고미밧콘(ゴミバッコン)
입에 쓰레기가 가득 담긴 쓰레기통 모노노케.
5. 평가
5.1. 발매 전
당장 가망이 없는 요괴워치 시리즈를 그나마 살려줄 유일한 빛인 상황이다. 하지만 빛이라 해도 정녕 시리즈를 완전히 부활시켜줄지는 미지수이며, 팬 내부에서도 호불호는 확실하게 갈린다. 특히나 기존 시리즈와의 이질감이 대표적인데, 요괴워치를 정의하는 기본 요소들이 일부분 빠진듯한 모습이 어색하다는 반응을 이룬다. 이외에도 후술할 AI 논란이 터지면서 긍정적인 반응보단 호불호가 갈리며 부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루는 편이다.5.2. 발매 후
6. 논란
6.1. AI 사용 논란
개발사인 LEVEL5는 2023년 12월 11일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작업 과정에서 대거 활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일본 정부를 통해 밝혀졌다.# 캐릭터 및 배경 일러스트, 맵, 작품 설정, 정식 녹음 전 임시 보이스 생성[1] 등 작업 전반에 AI를 사용해 업무 효율을 높혔다고 밝혔다. 물론 저작권을 침해하는 식의 활용이나 AI가 만든 결과물을 그대로 시판 게임에 때려박는 식의 활용은 하지 않으며,[2] 일러스트 구도 초기안, 3D화 했을 때 어떤 질감이 어울리는지 테스트, 맵의 레이아웃 초기안, 배경 미술 초기안, 캐릭터나 퀘스트 설정의 초기안, 광고 이미지의 초기안을 낼 때 활용하며 어디까지나 참고만 할 뿐 실질적인 제작과 마무리는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해당 자료의 AI 활용 예시 중에는 요괴워치 시리즈의 주인공인 윤민호 일러스트를 사용한 예시도 있었으며, 이후 공개된 본작의 상세 정보에서 배경 여러 부분이 실제로 AI를 사용하여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았는데 아직 실질 개발에 들어가지 않은 프로젝트 초기 단계의 자료다 보니 사람의 손을 제대로 거치지 않아 이 부분이 겉으로 드러난 듯하다. 첫 공개부터 기존 요괴워치와의 이질감으로 생긴 호불호에 더해 AI 사용이라는 사실 때문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비판을 많이 받게 되었다. 윤리적이거나 법적인 문제는 없는 활용법이지만 AI 활용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와 본작의 공개로 버려졌다고 생각한 요괴워치 팬덤의 반발로 인해 논란이 커졌다.
2025년 5월 히노 아키히로의 발언 중 "현재 게임들의 80~90%의 코드가 AI에 의해 작성되고, 이후 인간 프로그래머에 의해 수정 및 완성될 뿐더러, 예술, 음악, 심지어 게임 디자인 분야까지 창작계에서는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의 힘에 의존하는 것이 이미 상식이 되어가고 있다" 라는 내용이 있어 이에 대해서도 유저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다만 AI를 활용하는 것은 맞으나 이 발언만을 두고 AI를 마구잡이로 활용하고 있다고 보는 것은 왜곡에 가까운 짜깁기인데, 해당 발언의 내용을 전문으로 보면 렙파 자사가 그렇게 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업계의 흐름이 그렇다는 것이며, 그렇기에 이런 시대일수록 젊은 크리에이터들은 단순 코딩 능력 같은 게 아니라 심미안을 길러야 한다는 격려성 멘트다. 애초에 이 발언이 일본의 젊은 크리에이터들을 육성하는 아카데미 발족 행사에서 나왔다.
7. 기타
[1] VOICEVOX를 이용한다고 한다.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이 메이저 데뷔 이후에도 인간 보컬이 부를 가이드 음원을 보컬로이드로 작성하는 것과 같다.[2] 시판되는 부분에까지 직접 활용하는 건 단순 코딩이나 배경에 얼굴도 보이지 않는 작은 관중들을 반복적으로 배치할 때, 그리고 일러스트를 내용은 바꾸지 않고 해상도만 올릴 때뿐이라고 한다. 다른 부분은 최종 결과물에서도 모두 "참고 자료로 쓴다"는 언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