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반도 | |||||
강길 · 개여시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신지께 · 손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을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 ||||||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곤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교1 · 교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기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맥 · 명사 · 묘귀 · 무손수 · 무지기 · 박 · 백악 · 백택 · 복장룡 · 봉희 · 붕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비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탐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환1 · 환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후 · 흑풍괴 | ||||||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엔엔라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네온나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후 · 후구루마요히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 ||||||
기타 | ||||||
사신(청룡 · 백호 · 주작 · 현무) · 오룡(황룡 · 청룡 · 백룡 · 적룡 · 흑룡) · 오호(금호 · 청호 · 백호 · 적호 · 흑호) · 곤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용(화룡 · 수룡 · 해룡 · 빙룡)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신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야간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 |
骨女 / ほねおんな
1. 일본의 요괴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화집《곤자쿠가즈조쿠햣키》
에도 시대(17세기 초)의 고승의 저서에 따르면 이 요괴는 야코(弥子)라는 여성으로 굉장한 미인이었다고 한다. 그녀는 마을에 한 젊은 미남과 밀회를 즐기며 매일 밤 정사를 나눴다고 한다. 그러던 중 마을의 한 노인이 이들의 정사를 목격하게 되는데 그 모습은 마을의 젊은이가 뼈로 이루어진 인간을 껴안으며 사랑을 속삭이는 기괴한 모습이 었다고 한다.
이후 안세이(1855-60)의 전승에 의하면, 마을에 굉장히 못생긴 여인이 타계하게 되었는데, 마을 사람들은 생전의 얼굴보단 화장한 뒤의 뼈가 더 보기 좋다고 하였다고 한다. 이후, 이 여인은 원령이 되어 생전의 모습이 아닌 뼈로 이루어진 모습으로 이승을 떠돌았다고 한다.
2. 지옥소녀의 등장인물
骨女. 지옥소녀의 등장인물. 성우는 혼다 타카코/김효선. 실사 드라마에서는 스기모토 아야가 연기했다.
지옥소녀 엔마 아이의 하수인. 이름을 직역하면 '해골 여인'[1][2]이 되기 때문에 가끔 자막에선 호네온나라 표현하지 않고 '해골녀'라 표기하는 역자들도 많다.[3] 정발된 코믹스판에서도 '해골녀'라 번역되었다.
본모습은 해골이지만, 평소엔 유혹적인 분위기가 있는 매우 아름다운 미인. 20대 초중반으로 보이는 외모에, 쇄골이 다 보이는 긴 기모노를 입고 다니며 그 모습에 맞게 기녀처럼 머리를 틀어 올렸다. 그리고 조금 섬뜩한 분위기를 유도한 건지 잔머리가 여기저기 정리되지 않은 모습이다. 인간계에서 가장할 때도 뒷머리는 푸는 일이 거의 없으며 대부분 어떻게든 묶는다.
2기서부턴 붉은 볏짚 인형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허나 본래 볏짚인형으로 변신하는 것은 와뉴도의 역할이었기 때문에, 평상시엔 이치모쿠 렌과 같이 의뢰인이나 타겟을 지켜보는 주시자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렇기에 주특기는 미인계. 전형적이라면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는 누님 타입의 성격이지만, 아무래도 속성이 속성인지라 가장 싫어하는 말은 역시 '아줌마'(...). [4]
감시자 역할을 위해 인간으로 가장할 때는 이치모쿠 렌과 같이 가명을 사용한다. 사용하던 가명이 중간에 한 차례 바뀌었는데, 처음에는 주로 '온다(恩田)'라는 이름을 썼지만 2기에서 타겟이던 영화감독을 감시하기 위해 배우로 참여하고 있었는데 이 감독이 지어준 '소네 안나(曾根アンナ)'[5]라는 예명이 마음에 들었는지 이후에는 이 이름을 종종 사용한다.
부하라고는 하지만 적은 수의 인원이 오란도란 최소 100년 이상을 같이 살아왔기 때문에 아이를 주인으로써 걱정하기보다 동생 걱정하는 허물없는 언니의 모습을 보인다.
엔마 아이에게 오기 전까지의 사연이 가장 기구한 인물. 본래는 에도시대(로 추정)에 살았던 '츠유'라는 이름의 인간 처녀.[6] 본래 어느 상인의 가게에서 일하던 처녀였는데 그녀가 사랑하던 남자인 주인집 아들에게 속아 유곽에 팔려갔다. 이후 한동안 유녀 노릇을 하며 지냈지만 이번에는 동생처럼 여기던 키요라는 유녀에게 배신당하고 그 유녀의 상대 남자에게 살해당한 뒤 강에 버려졌다.[7] 그 원한으로 요괴가 되어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다가 엔마 아이에게 수하인으로서는 세번째로 거두어졌다.[8]
3기 '미츠가나에' 시작 시점에서는 자그마한 스낵바를 운영하고 있었다 아이의 소집을 받고 다시 동료들과 모였다.[9] 작중 초반에 주인인 아이가 미카게 유즈키의 몸에 빙의되어 있다는 상황상 섣불리 행동반경을 넓힐 수도 없었고 의뢰인들의 지역분포(?)에도 제한이 있기에(어차피 주인도 걱정돼서 봐야하는 건 여전하니까) 유즈키가 다니는 학교의 체육교사로 위장하고 있었다. 미모로도 성격적으로도 학생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다.
3. 게게게의 키타로의 등장인물
호네온나(게게게의 키타로) 문서 참고.[1] 뼈의 일본식 발음은 호네. 온나란 발음은 여자.[2] 상술한 것처럼 일본에서 알려진 요괴의 이름이기도 하다. 세상에 한을 품고 요절한 젊은 여자가 변신한 요괴로, 육신의 부패 이후 뼈와 혼은 남아있어 특히 사랑했던 남자가 있는 경우에 자신에게 불러오려 한다고 한다. 상대방 남자에게는 살아있던 때의 모습으로 보이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해골의 모습으로 보인다고 한다. 지옥소녀에 등장하는 호네온나는 한을 품고 요절한 젊은 여자라는 면을 부각시킨 듯 하다. 살아있을 때의 모습으로 남자를 홀린 적도 있지만, 사랑하는 남자가 아닌 생판 모르는 사람이었다.[3]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의 백란이 뱌쿠란인 것과 비슷한 뉘앙스[4] 1기에서 시바타 츠구미에게 아줌마라는 말을 듣고는 아주 조그만 상자 안으로 들어가는 기행을 보여주기까지 한다![5] 2기 1화에는 '소노에'라는 예명이 붙여졌다.[6] 다른 수하들은 인간이 아닌 수레바퀴나 검 등의 도구였는데 호네온나는 유일하게 인간이었다.[7] 츠유를 배신한 키요는 이후 남자의 아이를 임신했다가 남자가 자신을 버리자 매달리다가 칼에 맞아 중상을 입고 그대로 물에 뛰어들어서 원혼이 된다. 이후 현대 시대까지 사라지지 않은 채로 남자에게 버려져 정신적으로 약해진 여자에게 빙의해 다리에서 투신하게 만들고 있었다.[8] 첫번째는 와뉴도. 두번째는 이치모쿠 렌. 네번째가 야마와로.[9] 이 때 아이가 나비 형상이 되어서 직접 호네온나의 스낵바에 들어왔다.(와뉴도와 이치모쿠 렌은 키쿠리와 야마와로가 가서 소집이 떨어졌다고 전해줬다) 이 때 사라진 줄 알았던 아이가 다시 자신을 불러주자 눈물을 흘렀다. 호네온나와 아이가 서로를 가족처럼 아끼고 있었다는 걸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