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일람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가제트(유희왕 러시 듀얼)| [[갤럭티카(유희왕)| [[곤둔인충| [[괴의| [[기아스(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낙오자(유희왕)| [[네오 스페이시언(유희왕 러시 듀얼)| [[네크메이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ㄷ]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다이스(유희왕)| [[다이안 켓| [[다크니스(유희왕 러시 듀얼)| [[다크매터(유희왕)| [[더☆| [[데몬(유희왕 러시 듀얼)| [[드래고닉(유희왕 러시 듀얼)| [[드라코(유희왕 러시 듀얼)| [[드래곤즈| [[등번호(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ㄹ]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라브(유희왕)| [[라이스테라스| [[라이징 히어로| [[라이트닝(유희왕 러시 듀얼)| [[레온(유희왕)| [[레전드(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로드 매직| [[로얄데먼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ㅁ]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마그넷 워리어(유희왕 러시 듀얼)| [[마장(유희왕 러시 듀얼)| [[매그넘 오버로드| [[메타리온|메타리온]] [[메테오(유희왕 러시 듀얼)| [[몽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ㅂ]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반골(유희왕)| [[밴드그룹|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버스터 블레이더]] [[버블리| [[베리프레쉬| [[보이드베르그| [[붉은 눈(유희왕 러시 듀얼)| [[블랙 매지션(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비밀수사관(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ㅅ]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사견(유희왕)| [[사영 다크 루커(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사이버(유희왕 러시 듀얼)| [[사이버스파이스| [[사이킥비트| [[샤먼 밴디트| [[샤인(유희왕)| [[성전기| [[세븐즈로드| [[세레모니얼| [[셀레브로즈| [[소서러(유희왕 러시 듀얼)| [[수기계| [[스타즈핸드| [[스타캣| [[스페이스(유희왕)| [[썬더비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ㅇ]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아츠엔젤| [[악희| [[암석(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앙갱| [[애니매지카| [[액셀원더| [[앤틱 기어(유희왕 러시 듀얼)| [[양계(유희왕)| [[어비스(유희왕 러시 듀얼)| [[어비스카이트| [[어시스턴트(유희왕)| [[엑스큐티| [[엘리멘틀 히어로(유희왕 러시 듀얼)| [[염 마| [[용군| [[용기사 가이아(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음양(유희왕)| [[인조인간(유희왕 러시 듀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ㅈ]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저주받은 하인(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저지(유희왕)| [[제라(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제왕(유희왕 러시 듀얼)| [[조인테크| [[주사위(유희왕 러시 듀얼)| [[주사천사 리리(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ㅊ]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창구| [[천상(유희왕)| [[체어(유희왕)| [[초밥천사| [[최강(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ㅋ]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카오스 솔저(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카오스(유희왕 러시 듀얼)| [[캇파(유희왕 러시 듀얼)| [[케미스트(유희왕)| [[케미스펫| [[케미칼큐어| [[코스모스 공주| [[킹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타마(유희왕)| [[투환향| [[트랜잠(유희왕)| [[트론(유희왕 러시 듀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ㅍ]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랑도(유희왕)| [[퍼포머(유희왕)|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 [[프라임(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ㅎ]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하늘의(유희왕 러시 듀얼)| [[하이브리드라이브| [[하이테크드래곤| [[해피(유희왕 러시 듀얼)| [[핸디레이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헝그리(유희왕 러시 듀얼)| [[혜뢰| [[화면(유희왕)| [[화아(유희왕)| [[환괴| [[환인(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A~Z, 특수문자]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CAN:D(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OTS(유희왕)| [[P·M| |
|
| 헝그리 | |||||
| <colbgcolor=#AA506C> 한글판 명칭 | 헝그리 | ||||
| 일어판 명칭 | ハングリー | ||||
| 영어판 명칭 | Hungry |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 어둠 | 전사족 | 효과 리추얼 | |||
1. 개요
유희왕 러시 듀얼의 카드 테마.헝그리 버거를 중심으로 하는 리추얼 소환 테마로 헝그리 버거의 속성/종족인 어둠 전사로 구성되어 있다. 레벨 3 몬스터들은 공격력 1200/수비력 900이며 레벨 6 몬스터는 수비력 1900이라는 특징도 있다.
제라 테마처럼 헝그리 버거와 강화 버전인 헝그리드 버거를 중심으로 운용하며 헝그리 버거의 존재로 이득을 보는 카드를 갖고 있다. 몬스터들의 모티브는 감자튀김, 치킨너겟 등 패스트 푸드점에서 사이드 메뉴로 나오는 음식들에서 따온 것이 많다.
OCG의 누밸즈[1]처럼 헝그리 버거를 서포트하는 테마지만, 누밸즈의 모티브가 고급 레스토랑이라 여러모로[2] 버거 자체가 곁다리로 낀 모양새였던 것과 달리 러시 듀얼의 헝그리 테마는 모티브부터 패스트 푸드점이며 헝그리 버거를 주축으로 운영된다.
2. 설명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3
3.1.1. 헝그리 셰이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헝그리 셰이크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ハングリーシェイク,
영어판명칭=Hungry Shak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3,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900,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패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자신 묘지의 "헝그리 쿠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밀크셰이크가 모티브인 헝그리 몬스터.
패 1장을 코스트로 3장을 덤핑 후 묘지의 헝그리 쿠폰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3덤핑이나 주요 카드인 쿠폰을 샐비지 할 수 있는 건 좋으나 패 코스트가 은근 무거운 편.
쿠폰을 회수하는 효과는 특정 메뉴를 구매하면 쿠폰을 주는 행사가 모티브인 듯 하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18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3.1.2. 헝그리 소프트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헝그리 소프트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ハングリーソフト,
영어판명칭=Hungry Softserv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3,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900,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어둠 속성 / 전사족)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소프트콘을 모티브로 한 헝그리 몬스터.
묘지 자원을 회수하면서 라이프를 회복하는 효과릉 가지고 있다. 직접적인 어드밴티지로 이어지진 않지만 소소한 라이프 회복 효과로서는 괜찮은 편.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19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3.1.3. 헝그리 도넛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헝그리 도넛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ハングリードーナツ,
영어판명칭=Hungry Doughnut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3,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900,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패의 "햄버거 요리법" 또는 "헝그리 쿠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4장을 묘지로 보낸다.)]
햄버거 요리법이나 헝그리 쿠폰을 패에 갖고 있어야 한다는 다소 까다로운 조건이 요구되지만 기성체 데스타클보다 많은 4장의 덤핑이 가능하다.
OCG의 데스 도너츠와 유사하게 생겼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20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3.2. 레벨 6
3.2.1. 헝그리 너겟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헝그리 너겟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ハングリーナゲット,
영어판명칭=Hungry Nugget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6,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1700, 수비력=1900,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햄버거 요리법" 또는 "햄버거 패스트 요리법" 1장을 고르고 자신의 마법&함정 존에 세트한다.)]
치킨너겟의 모습을 한 헝그리 몬스터.
리추얼 마법들을 회수해준다. 이 카드 자체가 레벨 6이기에 그대로 리추얼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21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3.2.2. 헝그리 포테이토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헝그리 포테이토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ハングリーポテト,
영어판명칭=Hungry Frie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6,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900,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어둠 속성 / 전사족 / 공격력 1200 / 수비력 9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프렌치 프라이가 모티브인 헝그리 몬스터. 헝그리 버거와 셰이크와 함께 세트 메뉴를 담당한다.
리추얼 마법을 회수하는 너겟과 상반되게 본테마의 하급 몬스터 라인을 회수할 수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22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4. 리추얼 몬스터
4.1. 레벨 6
4.1.1. 헝그리 버거
4.1.2. 헝그리드 버거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리추얼=, 효과=,
한글판명칭=헝그리드 버거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ハングリードバーガー,
영어판명칭=Hungreed Burge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1900, 종족=전사족,
조건=자신 묘지에 몬스터(어둠 속성 / 전사족)가 있을 경우\,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자신 묘지의 몬스터(어둠 속성 / 전사족)의 수] × 200 올린다.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헝그리 버거"가 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헝그리 버거의 강화판. OCG에서 나온 앵그리 버거처럼 깃발이 바뀌고 내용물이 풍성해졌다. 번은 3개, 패티 2장에 베이컨과 피클까지 추가된 매우 우람하고 든든한 비주얼이 매우 인상적이다. 밀크셰이크, 치킨 너겟, 감자튀김을 빨아들이고 있는데, 이후 전부 관련 카드들이 등장했다.
본 테마의 실질적인 에이스로 묘지의 어둠 전사의 수만큼 자신의 공격력을 올리고, 자신 필드에 헝그리 버거가 있다면 상대의 마함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이름의 어원은 헝그리 + 그리드 + 버거.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33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5. 마법 카드
5.1. 일반 마법
5.1.1. 헝그리 쿠폰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헝그리 쿠폰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ハングリークーポン,
영어판명칭=Hungry Coupon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표시 몬스터 (레벨 3・6 / 어둠 속성 / 전사족)를 2장까지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1000 올린다.)]
레벨 3, 6의 어둠 전사의 공격력을 1000올린다. 에이스인 헝그리드 버거를 빼면 부족한 공격 성능을 보충해준다.
모티브는 할인 쿠폰. 본테마가 레벨 6과 레벨 3으로 구성된 걸 반영했는지 600을 300으로 할인하는 쿠폰이 그려져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49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5.1.2. 헝그리팅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헝그리팅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ハングリーティング,
영어판명칭=Hungry Greeting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이 묘지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있지 않은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6 / 어둠 속성 / 전사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소생 효과를 쓰지 않은 턴에만 쓸 수 있는 실질적인 턴제 제약이 걸려있지만 별다른 조건이 없으면서 소생 가능한 범위가 꽤 넓어 쉽게 전턴에 파괴당하거나 테이크 어택의 코스트로 쓴 헝그리드 버거를 살려 다시 공격을 하거나 너겟이나 포테이토로 새로 전개할 수 있다.
헝그리팅은 Hungry + Greeting의 조합어이다. 일러스트도 악마 조리장이 활짝 웃으며 서빙하고 있는 모습이다. 음식들이 숨긴 이빨이 슬쩍 보이는 등 테이크 어택으로 이어지는 걸 암시한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50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5.2. 리추얼 마법
5.2.1. 햄버거 요리법
5.2.2. 햄버거 패스트 요리법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리추얼=,
한글판명칭=햄버거 패스트 요리법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ハンバーガーのファストレシピ,
영어판명칭=Hamburger Fast Recip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없음,
발동효과=레벨의 합계가 6 이상이 되도록\, 자신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고\, "헝그리 버거" 또는 "헝그리드 버거"를 리추얼 소환한다(여분의 몬스터를 소재로 할 수 없다).)]
제라 테마의 제라의 강림과 같은 맥락의 카드로 필드의 몬스터만 소재로 쓸 수 있는 대신 헝그리드 버거에도 대응한다. 해당 카드와 달리 묘지에서 햄버거 요리법으로 취급하는 효과는 없지만 회수 담당인 헝그리 너겟이 양쪽 모두 대응하는 식이라 현재는 별차이 없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48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
6. 함정 카드
6.1. 테이크 어택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테이크 어택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テイク・アタック,
영어판명칭=Takeout Attack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리추얼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그 후\, 자신 묘지의 "헝그리 버거"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함정 속으로처럼 소환에 반응해 상대 몬스터를 제거한다. 특소에도 대응하며 소환한 몬스터가 아닌 다른 몬스터를 노리는 것도 가능하다.
코스트로 리추얼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야 하는 꽤 무거운 코스트가 따르지만 파괴 후 헝그리 버거를 소생하기에 본테마에선 반쯤 노코스트로 쓸 수 있다.
일러스트는 자신을 주문한 손님을 역으로 덮치는 헝그리 버거 세트[3]. 이름도 테이크아웃의 말장난이다. DM2의 헝그리 버거의 플레이버 텍스트가 모티브인 듯 하다. 효과 역시 자신을 먹으러 온 상대 몬스터를 역으로 잡아먹고 부활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5-08-09 | RD/KP22-JP060 | 戦慄のアウターバー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