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 남인 청남의 영수인 허목의 증조부이다. 김안국의 문인이다. 자는 남중, 호는 동애. 백인걸과도 절친이었다. 세조의 공신인 김수온의 외손자이기도 하다. 을사사화 당시 소윤 일파로 을사사화에 협조했으나 소윤 중에서는 그나마 양심적인 사람으로 분류된다.2. 생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해서 청요직을 두루 역임했고 외척이던 김안로 집권 당시에는 외직으로 나갔다가 김안로 실각 이후 돌아와서 동부승지가 되었고 이후에도 병조참지, 이조참의, 충청도관찰사, 형조참판, 대사헌,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의정부우참찬, 지중추부사를 거쳐 인종 때 공조판서에 이르렀다.명종 즉위 이후 을사사화 당시 윤원형, 이기, 정순붕, 임백령과 함께 소윤 일파로 윤임, 류관, 류인숙을 위시한 대윤을 몰아내는 데 가담했다. 이후 호조판서가 되었다가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다만 을사사화 당시 다른 소윤들과는 달리 사람들이 많이 죽는 것만큼은 막아보려고 했으며 소윤 중에서는 온건파로 분류되었다.
이후 위사공신 1등에 책록되고 좌참찬, 판중추부사를 거쳐 우찬성, 좌찬성에 이르렀으나 다른 소윤 공신들과는 달리 자기가 공신된 것을 부끄러워 했고 이기를 위시한 강경파와 대립하다가 좌천되었다.
이후 이조판서가 되었으나 대윤의 신원을 주장했다가 귀양을 간 민제인의 동생 민제영을 당진현감으로 임명하는 데 동의했다가 윤원형, 이기에게 찍혔고 진복창을 탄핵했다가 결국 윤원형, 이기의 미움을 받아서 이준경, 이윤경, 송순, 구수담 등과 함께 숙청당했고 귀양을 가게 되었다. 이후 1551년에 별세하였다.
선조 즉위 후 신원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