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17-11-20 14:41:10

한자/급수별/특급/ㄱ~ㅅ

1.


옥잔 가

갈대 가
멀 하

가나무 가

가할 가:

머리꾸미개 가

서까래

물리칠 각

난초
연밥 간

옥돌 간

줄기 간
우물난간 한

엿볼 간
곁눈질할 한:

즐길/곧을 간

볏짚 갈

엿볼 감:
欿
서운할 감:

덜 감:[1]

술즐길 감

바랄 감
橿
참죽나무

깃대 강

물흐를 개

새소리/빠를 개

평미레 개:[2]

큰홀 개

탄식할 개[3]

금석소리 갱

이을 갱

돌소리 갱

메벼 갱

순대 갹

쇠북걸이틀 거[4]

대자리 거[5]

광주리 거 / 밥통 려:

패랭이꽃 거

감자 거

패옥 거

검은기장 거

소매 거:

느티나무 거

걷을 건

떠날 걸

엎드러질 겁

쉴 게 / 탐할 개

굵은갈포 격[6]

주살 격
동일 교

왜가리 격

왜가리 격

돼지/노루 견

흘겨볼 견

뛸 견
급할 현:

산이름 견

덜/정결할 견

곡진할 견:

밭고랑 견

고집스러울 견

옷섶잡을 결

마칠 결

쇠고리 결

흉년들 겸:

갈대 겸

다할 경:

놀라서볼 경

꾀꼬리 경

소정강이뼈 경

멀 경

자자할 경

홑옷 경

빛날 경

외로울 경

외로울 경

등잔걸이 경

근심할 경

빛날 경

살찌고큰 경

비녀 계

닭 계

화덕 계

노닐 고

거칠 고
나무이름 호

마른나무 고

칼집 고

짠못/마실 고

소경 고

그물 고:

염소 고:

북나무 고

밝을 고

가를 고

큰북 고

원고/볏짚 고

큰물고기그물 고

술잔 고

단술 고

말릴 고

곱송그릴 곡
비교할 각

수레바퀴통 곡

외양간 곡

머리깎을 곤

문지방 곤

붉은쇠 곤

띠 곤
오랑캐이름 혼

큰물고기 곤

정성 공

수고할 공

너그러울 과

사치할/자랑할 과

나나니벌 과[7]

쌀 과:

곽란 곽[8]

바삐갈 곽

가죽 곽

낯씻을 관:[9]

앓을 관

병에지칠 관

황새 관

비녀장 관

강신제 관

쌍상투 관

얽을 관

전나무 괄

모일 괄

떠지껄일 괄

고운솜 광:

속일 광

광랑나무 광

속일 광 / 갈 왕

흙덩이 괴
삼태기 궤

옥돌 괴

나라이름 괵[10]

뿔잔 굉

고삐 굉

갈 교

맬 교

당아욱 교

자갈땅 교

마른꼴 교
풀뿌리 효

발들 교
짚신 갹

깨물 교
클 효

예쁠/업신여길 교

꿩 교

밝을 교

아름다울/아양부릴 교

신 구:

할미 구

공순할 구

수고할 구

만날 구

미숫가루 구:

장끼울 구

뿔굽을 구

변방 구
진교 교

통발 구

부추 구

만날 구

겹혼인/화친할 구

갖옷 구

활당길 구:

가난할 구
기울어진땅 루:

오랜병 구

옥경쇠 구

물거품 구

얽을 구

흙파올릴 구

두드릴 구

만나볼 구

움큼 국

말막힐 굴
내칠 출

나무그릇 권

돌아볼 권:

정다울 권

머리고울 권

무너질 궤

갑[匣]/다할 궤:
氿
구멍샘 궤:

제기이름 궤:[11]

꿇어앉을 궤:

먹일 궤:

상자 궤

삼태기 궤:

간악할 귀

엿볼 규

살필 규

창 규

머리들 규

어그러질/반목할 규

휠 규

찌를/벨 규

말건장할 규

광대뼈 규
광대뼈 구

노루 균

죽순 균

귀양보낼 극

빠를 극
자주 기

틈 극

옷깃 극

맑을 근

묻을 근

산높을 급

뻗칠 긍:[12]

두갈래길 기

바둑 기

미칠 기

볕 기

용대기 기[13]

굴레/나그네 기[14]

육발이/발돋움할 기

조심할 기[15]

흙바를 기

민둥산 기

사나울 기

수레굴통대 기

헌걸찰 기[16]

흰차조 기

당길 기

비틀거려춤출 기

굴레/나그네 기[17]

들메끈 기[18]

삼갈 길

[1] 減의 간화자다.[2] 말[斗\]이나 되[升\]에 곡식을 담아 평평하게 밀어 고르게 하는 방망이다.[3] 광동어에서 표준중국어의 的과 같은 용법으로 사용되어 아주 흔하게 쓰인다.[4] 말 그대로 종을 다는 틀이다.[5] 그냥 대나무로 된 돗자리라 생각하면 된다.[6] 갈포(葛布)는 칡으로 짠 베다.[7] 나나니벌 항목 참조.[8] 곽란 항목 참조.[9] 일본어 훈독이 꽤 유명한데 '다라이'라고 하면 어디선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10] 천자문가도멸괵 부분에서 이 한자가 쓰였다.[11] 여기서 제기는 '제기차기'할 때 제기가 아니라 제사할 때 쓰는 그릇이란 뜻의 제기(祭器)다.[12] 亘의 본자다.[13] 교룡기(蛟龍旗)라고도 하며 임금이 움직일 때 행렬 앞에 세우는 깃발이다.[14] 羈(1급, 부수가 罒)와 覊(특급, 부수가 襾)는 통자이다.[15] 夔(준특급, 중간 부분이 止+自+㔾)와 虁(특급, 중간 부분이 止+百+㔾)는 동자(同字)다.[16] 의기가 당당하다는 뜻이다.[17] 羈(1급, 오른쪽이 馬)와 羇(특급, 오른쪽이 奇)는 동자이다.[18] 신발이 안 벗겨지게 신을 발에다 매는 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