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16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의 사이언스 픽션 신인문학상으로, 2006년 과학기술창작문예가 3회를 끝으로 중단된 이후 10년 만에 열린 SF 신인문학상이다. 하지만 제8회부터는 기성 작가들도 제한 없이 참여 가능하게 되었다.원래는 머니투데이에서 주최하고 있었으나,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범유행으로 취소된 이후부터는 SF 전문 출판사인 허블 출판사와 스튜디오드래곤에서 주최하고 있다. 수상작들은 허블에서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이라는 단행본으로 출간하며, 스튜디오드래곤에서 영상화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한다.
2. 수상 목록
2.1. 2010년대
제1회 (2016년)- 대상
- 이건혁 〈피코〉
- 우수상
- 박지혜 〈코로니스를 구해줘〉
- 가작
- 이영인 〈네 번째 세계〉
제2회 (2017년)
- 장편 대상
- 김백상 《에셔의 손》
- 중‧단편 대상
- 김초엽 〈관내분실〉
- 우수상
- 수상 없음
- 가작
- 김초엽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김혜진 〈TRS가 돌보고 있습니다〉
- 오정연 〈마지막 로그〉
- 김선호 〈라디오 장례식〉
- 이루카 〈독립의 오단계〉
제3회 (2018년)
- 장편 대상
- 박해울 《기파》
- 중‧단편 대상
- 이신주 〈한 번 태어나는 사람들〉[1]
- 우수상
- 황성식 〈개와는 같이 살 수 없다〉
- 가작
- 길상효 〈소년 시절〉
- 김현재 〈웬델른〉
- 이하루 〈두 개의 바나나에 대하여〉
제4회 (2019년)
2.2. 2020년대
제5회 (2021년)- 장편 대상
- 중‧단편 대상
- 서윤빈 〈루나〉
- 우수상
- 김혜윤 〈블랙박스와의 인터뷰〉
- 가작
- 김쿠만 〈옛날 옛적 판교에서는〉
- 김필산 〈책이 된 남자〉
- 성수나 〈신께서는 아이들을〉
- 이멍 〈후루룩 쩝쩝 맛있는〉
제6회 (2022년)
- 장편 대상
- 청예 《라스트 젤리 샷》 [4]
- 중‧단편 대상
- 한이솔 〈최후의 심판〉
- 중‧단편 우수상
- 박민혁 〈두 개의 세계〉
- 조서월 〈삼사라〉
- 최이아 〈제니의 역〉
- 허달립 〈발세자르는 이 배에 올랐다〉[5]
제7회 (2023년)
- 장편 대상
- 김아인 《스파이라》
- 중‧단편 대상
- 장민 〈우리의 손이 닿는 거리〉
- 중‧단편 우수상
- 박선영 〈개인의 우주〉
- 정현수 〈하늘의 공백〉
- 존벅 〈피폭〉
- 최우준 〈달은 차고 소는 비어간다〉
제8회 (2024년)
- 장편 수상자
- 공희경 《먼 섬과 가까운 웅덩이들》
- 중단편 수상자
- 고선우 〈카나트〉
- 이연파 〈옛 동쪽 물가에〉
- 장하 〈창조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