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하코자키로터리(箱崎ロータリー)는 수도고속 6호 무코지마선 및 수도고속 9호 후카가와선의 하코자키JCT 부근에 설치된 출입구 및 주차장(PA, 간이휴게소)을 연결하는 순환형의 도로 부분을 이르는 명칭이다. 본선상의 안내 표지에는 602 하코자키출구(箱崎出口)로 표기되며, 보조 안내 표지판을 통해 하마초출구 · 키요스바시출구 방면을 표기한다. 시설상으로는 하부로터리(下RO)로 표기되며, 도로/자동차 관련 동호회 등에서는 로터리가 위치하는 층을 하코자키플로어(箱崎フロア) 등으로 부른다.무코지마선의 착공 과정에서 이 지점에 후카가와선의 분기점 및 T-CAT과 같이 정비 방침과 도시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1961년부터 기초 공사에 들어가고, 1968년 분기점부도 착공에 들어가게 되었다. 1971년 3월 21일 무코지마선이 개통되면서 로터리가 먼저 개통되었으며, 1980년 2월 5일에 후카가와선이 완성되면서 하코자키JCT의 개통과 함께 후카가와선의 로터리와의 진출입로도 개통되었다.
2. 구조
<nopad> |
수도고속도로 공식 안내 |
위와 같은 순환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각 출입구간의 간격이 매우 짧을 뿐더러, 중간에 도쿄 시티에어터미널(T-CAT), 하코자키PA 등의 시설까지 같이 맞물려있다. 따라서 교차 구간에 일시정지표시를 둬서, 진입하는 차량보다 회전하는 차량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시설의 순서는 무코지마선의 하행선 오프램프(진출로)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 외측 진입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6)] 하행선 오프램프(진출로)
- 외측 진출 - 604 하마초출구(浜町出口) - 신오하시도리 양방향 · 주오구도 주니치 제80호선 에도도리방향 접속50
- 외측 진출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6)] 하행선 온램프(진입로)
- 외측 진출 - 603 키요스바시출구(清洲橋出口) - 키요스바시도리 양방향 접속474
- 외측 진입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6)] 상행선 오프램프(진출로)
- 외측 진출입 - 하코자키주차장(箱崎PA)
- 내측 진출 - 도쿄 시티에어터미널 전용출구(東京シティエアターミナルへの専用出口) - 주오구도 주니치 제251호선 양방향 접속
- 내측 진출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6)] 상행선 온램프(진입로)
- 외측 진입 - 604 하마초입구(浜町入口) - 주오구도 주니치 제97호선 251호선방향, 주니치 제254호선(종점) 접속
- 외측 진출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9)] 하행선 온램프(진입로)
- 외측 진입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9)] 상행선 오프램프(진출로)
- 외측 진출 - 602 하코자키출구(箱崎出口) - 주오구도 주니치 제58호선 양방향 접속
- 외측 진입 - 601 하코자키입구(箱崎入口) - 주오구도 주니치 제58호선 양방향 접속
서류상으로는 에도바시JCT - 하코자키출입구 - 하코자키JCT - 하마초출입구 - 키요스바시출구 순서로 본선에 설치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후카가와선의 진출입로 표기를 위해 하코자키JCT를 로터리 내의 일부로 표기하는 것이며, 시설상으로는 하코자키JCT는 무코지마선 본선층에서 접속하기 때문에 로터리에는 접속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가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2] 것은 물론, 이곳을 일상적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아니면 처음 보는 운전자들에게는 어려운 구조라, 이에 대한 안내 페이지와 도식을 홈페이지에 따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로터리 내에서 U턴 운행이 가능하다. 수도고속도로에서 U턴이 가능한 지점은 하코자키로터리 이외에는 양방향 공용이면서 방향 구분 없이 주차장을 공용하는 다이코쿠PA가 있으며, 두 지점 모두 수도고속도로에서 만나기 위한 장소로 자주 쓰인다.
2024년도까지는 PA를 지나 무코지마 상행선으로 합류하는 로터리 출구 바로 옆에 신호등이 있었다. 로터리 본선 흐름과 하마초입구에서 로터리로 들어오는 차량 간의 통제를 위한 것으로, 비조기JCT과 함께 수도고속도로 내의 둘 뿐인 신호기 설치 장소였다. 다만 최근에 차선을 위 안내도와 같이 정리하면서 현재는 철거된 상태이다.
3. 휴게시설
하코자키PA(箱崎PA)는 하코자키로터리 내에 위치한 수도고속도로의 주차장(간이휴게소)으로, 수도고속도로가 소유한 건물 수도고속도로주식회사 도쿄히가시국의 3층 주차장을 이용하여 설치한 휴게시설이다. 승용차 13대, 대형차 2대, 장애인 주차장 1대 규모에 화장실, 자동판매기 코너, 흡연 구역 정도가 갖춰져 있다. 여타 휴게소와 비교해봐도 만만치 않게 이색적인 풍경의 PA인지라 인지도도 상당한 편[3]이다.주차공간이 매우 좁고 협소하기 때문에 만차로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한다. 특히 주차장이 잘 알려져 있지 않던 과거와 달리 미디어믹스 등에서도 자주 등장하고, 자동차 관련 동호인들에게 많이 알려지게 되면서 최근 들어 문제제기가 되고 있다.
내부는 ㄷ 자로 차량이 드나들 수 있게 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곳에 승용차 주차장과 실내 자판기 코너와 화장실이 있다. 대형차는 빌딩 바깥쪽에 별도로 세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빌딩 한 층을 PA로 활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해당 층에서 고속도로 바깥으로 나갈 수 있는 통로는 직원 전용 출입구 뿐이며, 고속도로 이용자가 빌딩을 통해 고속도로 바깥으로 나갈 수는 없다.
4. 도쿄 시티에어터미널
도쿄 시티에어터미널(東京シティエアターミナル)은 나리타국제공항(당시 명칭 신도쿄국제공항)의 개항에 앞서 1972년 7월 1일 개업한 도심공항터미널이자 버스 터미널이다. 약칭은 T-CAT (Tokyo City Air Terminal)이다. 도시계획상의 시설명칭은 도쿄도시계획 자동차터미널 제5호 하코자키버스터미널(箱崎バスターミナル)이나, 이 명칭으로 불리지는 않는다.나리타국제공항의 수요를 위한 위치기는 하지만, 수도고속도로와 직접 연결된 특성상 도쿄국제공항(하네다) 방면의 버스도 운행된다.
로터리 중앙에 출입구를 갖춰서 터미널의 버스 승강장으로 직접 진출입이 가능하다. 진출입하는 버스들은 하코자키PA 맞은 편의 입구로 들어가 후카가와선에서 들어오는 입구 맞은 편의 출구로 나오게 된다. 공항버스 터미널로 지상 3층, 지하 1층의 시설이며, 지상 3층이 하코자키 로터리 내에서 직접 연결되는 버스 승강장이다. 일반도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고속도로를 통해 공항으로 직행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9.11 테러가 일어나기 전인 2001년도까지는 터미널 내에서 입출국 수속까지 가능했었다.
일반적인 노선들은 1층 일반도로 방면 승강장을 이용하며, 나리타국제공항행 승차에 한해서 3층 승강장이 활용된다. 2021년도부터 나리타국제공항행 승차장으로 쓰이던 3층 승강장은 폐쇄된 상태이며, 모든 공항버스가 출도착 관계 없이 1층 일반도로 승강장에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일반도로 방면은 50번 도쿄도도 신오하시도리와 연결된다.
수도고속도로의 일반 안내에는 기재되지 않지만 지상으로 향하는 주차장 통로를 통해 일반도로측과도 연결은 되어있다. 다만 유료구간인만큼 진입은 불가능하며, 진출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지하철 한조몬선 스이텐구마에역과 연계되어 있다.
5. 이용 현황
2024회계년도(2024FY, 2024년 4월 1일 ~ 2025년 3월 31일)의 평일 기준 각 시설의 이용 차량은 다음과 같다.- {{{#!wiki style=""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6)] 무코지마선 - 하행선 진출, 하코자키 로터리 진입: 4,940대/일
- 하코자키 로터리 진출, 하행선 진입: 7,850대/일
- 상행선 진출, 하코자키 로터리 진입: 4,230대/일
- 하코자키 로터리 진출, 상행선 진입: 5,790대/일
- {{{#!wiki style=""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9)] 후카가와선 - 본선 진출, 하코자키 로터리 진입: 2,500대/일
- 하코자키 로터리 진출, 본선 진입: 1,860대/일
- 하코자키 로터리
- {{{#!wiki style=""
}}}{{{#!wiki style="border: 2px solid #06903a; color: #06903a; font-size: .8em; font-weight: bold; background: #fff; padding: 1px 2px 1px 2px; display: inline-block;"
- {{{#!wiki style=""
}}}{{{#!wiki style="border: 2px solid #06903a; color: #06903a; font-size: .8em; font-weight: bold; background: #fff; padding: 1px 2px 1px 2px; display: inline-block;"
- {{{#!wiki style=""
}}}{{{#!wiki style="border: 2px solid #06903a; color: #06903a; font-size: .8em; font-weight: bold; background: #fff; padding: 1px 2px 1px 2px; display: inline-block;"
- {{{#!wiki style=""
}}}{{{#!wiki style="border: 2px solid #06903a; color: #06903a; font-size: .8em; font-weight: bold; background: #fff; padding: 1px 2px 1px 2px; display: inline-block;"
- {{{#!wiki style=""
}}}{{{#!wiki style="border: 2px solid #06903a; color: #06903a; font-size: .8em; font-weight: bold; background: #fff; padding: 1px 2px 1px 2px; display: inline-block;"
6. 그 외
고속도로 본선 고가과 별개로 한층을 더 만들어 교통 흐름을 컨트롤한다는 점에서는 비조기JCT와의 유사함이 보인다. 다만 비조기JCT의 경우 각 본선이 분기층의 상/하부를 통과하며 분기층이 각 방면을 통행하기 위한 층계라면, 하코자키로터리는 분기점의 기능은 본선(하코자키JCT)층에서 처리하고, 하부로터리층에서 출입구와 PA 등을 연결하여 이들간의 통행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층계라는 차이가 있다.참고로, 한국의 경우 대부분 일시정지를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고, 단속도 없지만, 대부분의 외국에서는 일시정지 표기는 의무고 단속이 자주 이루어진다. 일본 전역에서 그러하듯, 이곳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시정지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높은 확률로 경찰차가 잠복해 있다. 하코자키PA에 체류하면 경찰차가 사이렌을 울리며 위반 차량을 잡아다 PA 내로 유도하여 과태료를 무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순환하는 구조로 인하여 고속도로를 주회하며 공도 레이싱을 벌이거나 폭주하는 하시리야, 통칭 룰렛족의 양산을 부추기는 등의 부작용도 점점 드러나고 있는 게 현실인지라, 최근의 수도고속도로는 되도록이면 순환을 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하코자키로터리도 통행방법이 이에 맞춰 바뀐 바 있다. 또한 하코자키PA도 룰렛족에게 가장 인지도 높은 PA인지라, 코로나 이전 시절 주말 야간만 되면 주차장은 물론이고 로터리 본선까지 비집고 나올 정도로 폭주 차량들이 들끓곤 했다. 시가지 한가운데서 이러니 소음 문제 등 여러 문제로 오랜 기간 구설수에 오르내리다, 코로나 기간 매스컴에게 신나게 얻어맞은 것을 계기로 경찰이 본격적인 룰렛족 대응 정책을 펼치면서, 이 곳 또한 최우선 타겟이 되었다. C1에 인접한 룰렛족들의 인기 집결지라 하면 이 곳과 함께 시바우라PA, 타츠미제1PA의 3대 PA가 꼽히는데, 코로나 이후론 경찰이 주말 야간엔 얄짤 없이 이 세 곳을 폐쇄해버리는 대응을 자주 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