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13:00:21

Hi-Fi Un!corn

하이파이유니콘에서 넘어옴


파일:Hi-Fi Un!corn 워드마크 화이트.svg



[ 음반 목록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Over the Rainbow(Hi-Fi Un!corn).jpg
||<width=25%>
파일:HFU U&I 커버 2.jpg
||<width=25%>
파일:HFU ABC is 선공개 커버.jpg
||<width=25%>
파일:HFU FANTASIA A반.webp
||
[[Over the Rainbow(Hi-Fi Un!corn)|Over the Rainbow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23. 06. 26.]]
[[U&I(Hi-Fi Un!corn)|U&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23. 11. 29.]]
[[ABC is(Hi-Fi Un!corn)|ABC i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24. 03. 02.]]
[[FANTASIA(Hi-Fi Un!corn)|FANTASI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24. 08. 28.]]
파일:HFU Beat it Beat it 통상반.webp
파일:Teenage_Blue_통상반A.jpg
파일:HFU_Teenange Blue(Korean ver.)_앨범커버.jpg
파일:투명700.svg
[[Beat it Beat it(Hi-Fi Un!corn)|Beat it Beat i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25. 04. 30.]]
[[Teenage Blue(Hi-Fi Un!corn)|Teenage Blu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25. 08. 20.]]
[[Teenage Blue (Korean ver.)(Hi-Fi Un!corn)|Teenage Blue (Korean v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25. 10. 13.]]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c1d1f> 음반 ||<width=33.3%> 활동 ||<width=33.3%> 음악 방송 ||
Weverse YouTube 커버곡
<colbgcolor=#53c0d9> 2nd Single
『Teenage Blue (Korean ver.)』

2025.10.13 Release
파일:HFU_Teenange Blue(Korean ver.)_단체.jpg
김현율 · 엄태민 · 허민 · 후쿠시마 슈토 · 손기윤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Hi-Fi Un!corn 로고.svg파일:Hi-Fi Un!corn 로고 화이트.svgHi-Fi Un!corn
하이파이유니콘
}}}
<colbgcolor=#000> 데뷔일 2023년 6월 26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3-06-26)]일째, [age(2023-06-26)]주년)
데뷔 음반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8e7e5" {{{#!wiki style="padding: 1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e8e7e5"
장르 록/메탈
리더 김현율
소속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FNC엔터테인먼트 재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FNC엔터테인먼트
레이블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니뮤직 재팬 (2025~)
유통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니뮤직 재팬 (2025~)
팬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RaSiDo(Hi-Fi Un!corn)|{{{#!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RaSiDo(라시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RaSiDo(Hi-Fi Un!corn)#|{{{#!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RaSiDo(라시도)}}}]]
#!if 문단 != null
[[RaSiDo(Hi-Fi Un!corn)#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3px solid transparent"
RaSiDo(라시도)}}}]]
'''
지정 색 마젠타[1]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Hi-Fi Un!corn 심볼.svg파일:Hi-Fi Un!corn 심볼 화이트.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FNC엔터테인먼트 심볼.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1. 개요
1.1. 데뷔 전
2. 멤버
2.1. 멤버 간 케미
3. 특징
3.1. 로고3.2. 그룹명
4. 음반5. 뮤직비디오6. 수상 경력
6.1. 시상식
7. 활동8. 커버곡9. 여담10. 둘러보기

1. 개요

행복의 아이콘, 하이파이유니콘! 안녕하세요, Hi-Fi Un!corn입니다!
지금까지 사랑을 전하는 밴드, Hi-Fi Un!corn이었습니다!
SBS M의 보이밴드 오디션 프로그램 < THE IDOL BAND : BOY'S BATTLE >를 통해 선발되어 2023년 6월 26일에 데뷔한 FNC엔터테인먼트 및 FNC JAPAN(이하 FNC재팬) 소속 5인조 아이돌 보이밴드이다.

1.1. 데뷔 전

THE IDOL BAND : BOY'S BATTLE 보컬 파트 엄태민, 후쿠시마 슈토, 기타 파트 김현율, 베이스 파트 손기윤, 드럼파트 허민으로 경연에 참가 했으며, 각자 다른 팀으로 경연에 임하다가 세미 파이널에서 CNBLUE 프로듀서의 항공모함 팀으로 처음 모여 세미 파이널에서 1등을 하게 되면서 파이널까지 자연스럽게 CNBLUE 팀으로 경연에 참가했다. 파이널에서는 항공모함이 아닌 현재 그룹명과 동일한 Hi-Fi Un!corn으로 경연에 참가하며 최종 우승을 거머쥐었다.

데뷔 확정 이후에는 TV 프로그램에 출연, 화보 촬영 및 인터뷰, 뷰티제품 홍보대사 활동도 하며 활발하게 팀을 알렸다. 특히 같은 FNC엔터테인먼트 아이돌 밴드 선배인 FTISLAND, CNBLUE의 콘서트 오프닝 액트를 맡으며 무대 경험을 쌓아나갔다.

2. 멤버

||<-5><table align=center><tablewidth=85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Hi-Fi Un!corn 워드마크 화이트.svg ||
파일:HFU_Teenage Blue_김현율_A.jpg
파일:HFU_Teenage Blue_손기윤_A.jpg
파일:HFU_Teenage Blue_엄태민_A.jpg
파일:HFU_Teenage Blue_슈토_A.jpg
파일:HFU_Teenage Blue_허민_A.jpg
김현율 손기윤 엄태민 후쿠시마 슈토 허민
2000. 01. 15. ([age(2000-01-15)]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더
기타
2000. 03. 24. ([age(2000-03-24)]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베이스
2001. 07. 14. ([age(2001-07-14)]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보컬
기타
2003. 08. 14. ([age(2003-08-14)]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보컬
2005. 09. 08. ([age(2005-09-08)]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드럼

2.1. 멤버 간 케미

3. 특징

3.1. 로고

Hi-Fi Un!corn 로고 모션
Hi-Fi Un!corn 기본 로고
파일:Hi-Fi Un!corn 로고.svg파일:Hi-Fi Un!corn 로고 화이트.svg 파일:Hi-Fi Un!corn 심볼.svg파일:Hi-Fi Un!corn 심볼 화이트.svg 파일:Hi-Fi Un!corn 워드마크.svg파일:Hi-Fi Un!corn 워드마크 화이트.svg
<rowcolor=#fff> 로고 심볼 워드마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역대 로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HI_FI_Unicorn로고.jpg
THE IDOL BAND : BOY'S BATTLE
}}}}}}}}} ||

3.2. 그룹명

Hi-Fi Un!corn은 음악에 대한 진심과 순수한 열정의 상징, 고품질 음악으로 시대의 유니콘이 되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4.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i-Fi Un!corn/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i-Fi Un!corn/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i-Fi Un!corn/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Hi-Fi Un!corn 워드마크 화이트.svg
ALBUM
<rowcolor=#fff> 발매일 앨범 아트 앨범 유형 앨범명 타이틀곡 비고
2023년
6월 26일
파일:Over the Rainbow(Hi-Fi Un!corn).jpg
디지털 싱글 Over the Rainbow Over the Rainbow (KR ver.) 한일 동시 데뷔
9월 29일
파일:HFU U&I 선공개 커버.jpg
디지털 싱글 U&I U&I 선공개
11월 29일
파일:HFU U&I 커버 2.jpg
싱글 U&I U&I
2024년
3월 2일
파일:HFU ABC is 선공개 커버.jpg
디지털 싱글 ABC is ABC is
6월 4일
파일:HFU PHANTOM PAIN Cover.webp
디지털 싱글 PHANTOM PAIN PHANTOM PAIN 선공개
7월 29일
파일:HFU Left or Right cover.webp
디지털 싱글 Left or Right Left or Right 선공개
8월 28일
파일:HFU FANTASIA A반.webp
정규 FANTASIA PHANTOM PAIN
Left or Right
더블타이틀
2025년
4월 16일
파일:HFU-Beat it Beat it 선공개.jpg
디지털 싱글 Beat it Beat it Beat it Beat it 선공개
4월 30일
파일:HFU Beat it Beat it 통상반.webp
싱글 Beat it Beat it Beat it Beat it 메이저 데뷔
5월 28일
파일:사계의 봄 OST Part 5.jpg
OST 사계의 봄 OST Part.5 내 머리에 열이 나
6월 4일
파일:사계의 봄 OST Part 6.jpg
OST 사계의 봄 OST Part.6 난 넌 우린
8월 8일
파일:Teenage blue 선공개.webp
디지털 싱글 Teenage Blue Teenage Blue 선공개
8월 20일
파일:Teenage_Blue_통상반A.jpg
싱글 Teenage Blue Teenage Blue
10월 13일
파일:HFU_Teenange Blue(Korean ver.)_앨범커버.jpg
싱글 Teenage Blue (Korean ver.) Teenage Blue (Korean ver.)

5. 뮤직비디오

파일:Hi-Fi Un!corn 워드마크 화이트.svg
Music Video
-2025년 6월 28일 23:00 기준-
<rowcolor=#fff> 발매순 곡명 조회수/게시일
1
디지털 싱글 Over the Rainbow
2,347,790회
2023.06.26.
2
디지털 싱글 Over the Rainbow
1,722,149회
2023.06.26.
3
싱글 2집 U&I
6,757,862회
2023.10.27.
4
싱글 2집 U&I
595,250회
2023.11.29.
5
정규 1집 FANTASIA
1,001,665회
2024.07.12.
6
메이저 싱글 1집 Beat it Beat it
2,140,826회
2025.04.11.

6. 수상 경력

6.1. 시상식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fff><rowbgcolor=#000><rowcolor=#fff> 날짜 || 시상식 || 수상 부문 || 비고 ||
2023년
8월 10일 하트 드림 어워즈 K 글로벌 월드 와이드 루키상
2024년
8월 22일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 K 월드 드림 뮤직 아이콘상

7.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i-Fi Un!corn/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i-Fi Un!corn/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i-Fi Un!corn/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커버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i-Fi Un!corn/커버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i-Fi Un!corn/커버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i-Fi Un!corn/커버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 FNC의 다른 아이돌 밴드와 다르게 전 멤버가 소속사의 연습생이 아닌 일반인으로 오디션에 참가해 데뷔하게 된 케이스다.
  • 김현율, 손기윤THE IDOL BAND : BOY'S BATTLE 참가 전 이미 군 복무를 마쳤다. 그래서 데뷔 전이지만 군필인 멤버가 둘이나 있다.[2]
  • 전원 한국인이었던 FNC의 선배 밴드들과 달리, 최초로 외국인 멤버가 포함된 밴드이다. 심지어 그 외국인 멤버가 보컬 포지션인 점 또한 특징.[3]
  • 허민후쿠시마 슈토THE IDOL BAND : BOY'S BATTLE 경연 내내 같은 팀이었다.[4]
  • THE IDOL BAND : BOY'S BATTLE 참가 당시, semi final에서 final로 올라갈 때, 팀명이 항공모함에서 Hi-Fi Un!corn 으로 바뀌었다.
  • THE IDOL BAND : BOY'S BATTLE에서 CNBLUE 팀으로 우승을 한 것의 영향으로 데뷔 이후에도 CNBLUE 정용화의 프로듀싱을 받았다.[5]
  • 한국 본사와 활동하는 FNC의 다른 밴드들과 달리, 팀의 모든 프로모션 및 매니지먼트를 일본 지사인 FNC 재팬에서 담당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보다는 일본 현지의 가수들과 유사하게 운영된다. 다만 엄밀히 일본 현지화 아이돌 그룹은 아니며[6], FNC 한국 지사와도 전속계약을 맺고 있다.
  • 2025년 1월 1일 소니뮤직재팬과 메이저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후 4월 30일 메이저 데뷔 싱글 <Beat it Beat it>을 발매하며 메이저 데뷔를 하게 되었다.
  • 데뷔 시점을 기준으로, 악기를 다루는 멤버[7] 모두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상태로 데뷔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배우거나 악기를 전공하여 도합 4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상태로 데뷔하였다.[8]
  • 멤버 다섯 명의 MBTI가 전원 E이다.[9]
  • 멤버 별 지정색은 각자 좋아하는 색깔로 정해졌다.[10]
  • 숙소에서 각자 맡은 역할이 정해져 있다. 김현율은 요리 담당[11], 허민은 밥 짓기와 요리 어시스턴트, 손기윤은 분리수거 담당이다. 후쿠시마 슈토는 빨래 담당이며, 멤버마다 다른 향의 섬유유연제를 사용한다고 한다.[12] 엄태민은 알림 담당으로 매일 가장 먼저 일어나 멤버들을 깨우고 시간을 잘 챙긴다고 한다.[13]
  • 숙소의 청소 구역은 요리하는 김현율이 주방을 담당하고, 화장실을 포함한 나머지 구역은 손기윤, 엄태민, 허민이 담당한다. 후쿠시마 슈토는 모든 멤버의 빨래를 도맡아 하기 때문에 청소 구역이 없다.
  • 매일 밤마다 하루의 좋았던 점이나 반성할 점을 서로 이야기하는 '분대결산'을 한다. 서로의 마음에 있는 것을 쌓아두지 않고 풀어나가자는 취지이다. '신발 정리가 잘 안되어 있다'와 같은 사소한 것부터 의견이 맞지 않는 것도 분대결산을 통해 해결한다고 한다.
  • 지금까지 밝혀진 숙소 내 규칙은 다음과 같다.

    • - 밤 10시 이후에 노래 부르기 금지
      - 현관에 신발은 한 사람 당 한 켤래 까지만 두기
      - 밤 12시 이후에는 조용히 하기
      -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있으면 야식을 먹지 않기
  • 숙소 룸메이트는 김현율손기윤, 엄태민슈토가 함께 방을 쓰고, 허민은 혼자 방을 쓴다.
  • 매일 아침 7시 반에 일어나서 아침 식사 후, 오전 8시 반부터 저녁 10시까지 연습을 한다고 한다. 휴식일이 주어져도 이틀 중에 하루는 각자 연습하는 시간을 가질 정도로 연습에 진심이다.
  • 멤버들이 노래하는 것을 좋아해서 연습실이나 숙소에서 시도때도 없이 다같이 노래한다고 한다. 너무 시끄러워서 밤 10시 이후에는 노래를 금지하는 숙소 규칙을 만들었을 정도.
  • 멤버들끼리 내기를 할 땐 주로 아이스크림을 걸고 한다. 내기에서 지면 다른 멤버들에게 아이스크림을 사주는 것이 규칙이다. 가끔 팬들에게도 쏘겠다고 하기도 한다.[14]
  • 일본 발매곡을 한국에서 공연할 땐 번안된 가사로 부른다. 한국어 번안은 모두 멤버들이 직접 했다. 또한 보컬 엄태민후쿠시마 슈토의 파트 분배도 일본어 버전과 한국어 버전이 서로 다르다.[15]
  • 중지와 약지 손가락을 접는 'I Love You'의 뜻을 가진 손가락 사인을 관객들과 주고 받는 시그니처 포즈가 있다. 한국에서의 첫 페스티벌이었던 '사운드베리 페스타 2024'에서 정해졌으며, 포즈는 허민의 아이디어가 채택되었다. '다시 만난 여러분을 사랑합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음악을 통해 세상에 사랑을 전하는 것이 목표이다. 음악으로 사랑과 위로를 전하며 하이파이유니콘의 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는 사랑받기 위함'이라는 것을 전달하는 밴드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공연 중 프롬프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16] 프롬프터 대신 관객들 눈을 보기 위해 가사와 중간 멘트를 모두 외운 상태로 공연한다고 한다. 특히 보컬들[17]의 경우, 모든 곡의 일본어 버전과 한국어 버전의 가사를 모두 외워서 공연하며, 커버곡 또한 당연히 가사를 전혀 보지 않는다.[18] 실제로 대부분의 공연 직캠마다 아이컨택하는 장면이 담겨있을 정도로 관객들과 눈을 많이 마주친다.
  • 서프라이즈 선물을 좋아한다. 서로의 생일에는 물론, 일본에 FNC의 선배들이 오는 타이밍에 맞춰 생일 축하를 해주거나, 전역 선물을 챙겨주기도 한다. 엔플라잉 멤버들의 전역 선물로 차훈에게 빨간색 기타 스트랩을, 김재현에게 모자[19]를 선물했으며, CNBLUE정용화의 생일을 기념으로 금장의 기타 스트랩을 선물하였다. 각자의 취향과 습관까지 신경써서 선물을 준비하여 받는 사람의 반응이 좋은 편이다.

10. 둘러보기

파일:FNC엔터테인먼트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min-width: 50%;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2px -1px"
<tablebgcolor=transparent> 가수
CNBLUE 엔플라잉 SF9
배우
이홍기 이재진 최민환 정용화
강민혁 이정신 성혁 김재현
김인성 박지원 김보라 김서하
박채린 최유주 이승협 차훈
문성현 정해인 서동성 유태양
박광재 강설 유회승 다원
찬희 영빈 휘영 재윤
로운 하유준 김세연 이지연
방송인
문세윤 조우종 유재필 이형택
정호철 정다은
FNC JAPAN
PRIKIL Hi-Fi Un!corn }}}}}}}}}{{{#!wiki style="margin:0 -10px; min-width: 50%;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2px -1px; word-break: keep-all"
자회사 FNC ENTERTAINMENT JAPAN | FNC아카데미 | FNC스토리
프로그램 d.o.b : Dance or BandWho is Princess?THE IDOL BAND : BOY'S BATTLE
클릭 유어 하트피원에이치(P1H): 새로운 세계의 시작사계의 봄
기타 SUPERSTAR FNC }}}}}}}}}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오디션 프로그램 데뷔 그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프로그램 데뷔 그룹 데뷔년도
LOUD: 라우드 TNX <colcolor=#000,#fff> 2021년
KickFlip 2025년
<nopad> THE IDOL BAND : BOY'S BATTLE Hi-Fi Un!corn 2023년
UNIS 2024년
<nopad> SCOOL: IDOL DREAM SPACE SEVENTOEIGHT 2025년
AHOF 2025년
YUHZ 2026년
}}}}}}}}} ||
[1] FNC 소속 밴드들은 따로 공식색이 없다. 하지만 패밀리 콘서트인 FNC KINGDOM이나 일본 활동 등에서 FTISLAND는 노랑, CNBLUE는 파랑, 엔플라잉은 빨강으로 나눠져있다.[2] 비슷한 아티스트로는 엔플라잉에 합류하기 전 이미 현역으로 군 복무를 마쳤던 유회승이 있다.[3] 다른 밴드들까지 보면 장기하와 얼굴들하세가와 요헤이, YB스캇 할로웰 등 외국인 멤버가 포함된 밴드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들은 전부 보컬이 아닌 악기 포지션이었다.[4] Round 1: P.O.P, Round 2: P.O.PPY, Round 3: UNI-HIGH Semi Final: 항공모함, Final: Hi-Fi Un!corn[5] 데뷔 쇼케이스 때 정용화가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다.[6] 데뷔 이후 한국 활동이 거의 없어서 종종 현지화 아이돌로 오해를 받기도 하는데, 데뷔를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동시에 했고, 꾸준하게 '한일합작'으로 만들어진 케이팝 아이돌 밴드를 정체성으로 삼고 있는 한국 아이돌이다. 당연히 공연도 일본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 한국어 가사로 진행한다.[7] 김현율, 손기윤, 엄태민, 허민[8] 기사[9] E와 I가 왔다갔다 하는 멤버가 있긴 하다.[10] 서로 좋아하는 색이 겹치지 않았다고 한다.[11] 멤버들의 끼니를 모두 직접 챙긴다.[12] 김현율 : 라벤더, 손기윤 : 허브, 엄태민 : 바닐라, 허민 : 무향 / 향이 서로 달라서 냄새 만으로 누구의 빨래인지 찾아낼 수 있다고 한다.[13] 덕분에 지금까지 단 한번도 지각하지 않았다고 한다.[14] 물론 실제로 사준 적은 없다.[15] 모국어가 다르기 때문에 가사의 발음 등에 따라 파트를 바꾸는 것으로 추측된다.[16] 프롬프터가 설치된 공연장에서는 그 날의 세트리스트만 띄워져 있다.[17] 엄태민, 후쿠시마 슈토[18] 가사를 조금 틀리더라도 라이브의 묘미로 생각한다고 한다.[19] 다만 김재현에게 사이즈가 약간 작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