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5 16:39:31

피에트로 페루지노

파일:Raffaello,_ritratto_virile_della_galleria_borghese.jpg[1]
<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피에트로 페루지노
Pietro Perugino[2]
출생 1446/52년
교황령[3] 움브리아, 치타 델라 피에베(Città della Pieve)
사망 1523년
교황령 폰티나뇨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스승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
직업 화가
1. 개요2. 생애3. 대표작

1. 개요

이탈리아 르네상스 초기의 대표 화가 중 한 명이다. 움브리아 화파의 선구자이며, 무엇보다도 라파엘로의 스승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4]

2. 생애

이탈리아 움브리아 지역의 치타 델라 피에베(Città della Pieve)에서 태어났다. 정확한 출생 연도는 1446년 또는 1452년으로 추정된다.[5].

페루지노의 초기 수련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지만 페루자에서 피오렌초 디 로렌초(Fiorenzo di Lorenzo)에게 미술을 배운 것으로 보인다. 이후 아레초(Arezzo)에서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Piero della Francesca)의 그림을 접했고, 1472년경 피렌체로 이동해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의 공방에서 일하며 초기 스타일 형성에 큰 영향을 받았다.[6]

1481년 페루지노는 로마로 초청되어 시스티나 예배당의 프레스코 작업에 참여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산드로 보티첼리,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루카 시뇨렐리, 코지모 로셀리(Cosimo Rosselli) 등 당대를 주름잡던 화가들이 함께했다. 페루지노는 ' 베드로에게 열쇠를 주는 그리스도' 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완성하며 명성을 얻었다.

1490년대에는 피렌체와 페루자에 화실을 운영하며 성모자상 연작을 제작했고, 1500년경 로마의 은행가 아고스티노 키지(Agostino Chigi)로부터 '이탈리아 최고의 화가'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훗날 키지는 라파엘로의 후원자 중 한 명이 된다. 그러나 1500년 이후 그의 예술은 점차 쇠퇴했다. 바사리에 따르면 페루지노는 초기의 성공적인 구성을 반복하며 창의성이 떨어지게 되었고 피렌체의 비평가들에게 혹평을 받았다고 한다. 페루지노도 '과거에는 찬사를 보냈으면서 이제는 같은 스타일을 비판한다'고 반박했다고 바사리는 기록하고 있다.

1503년에는 만토바 후작 부인, 이사벨라 데스테(Isabella d’Este)의 의뢰로 제작한 '사랑과 순결의 싸움'이 특히 기대에 미치지 못해 그녀와의 관계도 소원해지게 된다.[7] 1508년에는 바티칸의 스탄차 델 인첸디오(Stanza dell’Incendio)의 천장 장식을 위한 프레스코 작업에 참여했다. 현재 이 방은 '라파엘로의 방' 중에서 '엘리오도로의 방'에 해당한다. 제자 라파엘로는 훗날 작업에서 페루지노의 천장 장식 일부(특히 메달리온 형태의 장식 요소)를 덮어버리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8]

말년에는 고향인 움브리아 지역으로 돌아와 활동하다가, 1523년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3. 대표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erugino_-_Entrega_de_las_llaves_a_San_Pedro_(Capilla_Sixtina,_1481-82).jpg

베드로에게 열쇠를 주는 그리스도, 1481-82, 시스티나 예배당


파일:Pietro_Perugino_cat19.jpg

피에타, 1483-93, 우피치 미술관


파일:Pietro_Perugino_cat66.jpg

처녀의 결혼, 1500-04, 뮈제 데 보자르(Musée des Beaux-Arts), 프랑스 캉(Caen)
- 같은 주제를 다룬 1504년 라파엘로의 같은 그림의 작품과 비교되는 그림이다.[9]


파일:Le_Combat.jpg

사랑과 순결의 싸움, 1503, 루브르 박물관
- 이사벨라 데스테의 의뢰로 그려졌으나 혹평을 받은 후기의 그림이다. 복잡한 상징을 추구했으나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평을 받는다 .
[1] '남자의 초상', 라파엘로의 그림이다. 페루지노의 자화상과 비슷한 얼굴을 하고 있으며, 공방에 있던 시기이기도 해서 페루지노로 추정된다. 다른 인물이 모델일 가능성도 0은 아니다.[2] 본명: Pietro di Cristoforo Vannucci[3] 現 이탈리아[4] 레오나르도의 스승 베로키오, 미켈란젤로의 스승 기를란다요 포지션이다.[5] 조르조 바사리의 기록과 라파엘로의 아버지 조반니 산티(Giovanni Santi)가 기록한 사망 시 나이를 기반으로 한 연도[6] 당시 레오나르도가 베로키오 공방에서 있던 시기와 1-2년 가량 겹친다. 둘 사이의 교류에 대해서는 남아있는 기록은 없다.[7] 이사벨라 데스테도 훗날 라파엘로에게 의뢰하나 너무 바빴던 라파엘로는 작업을 시작도 하지 못하고 사망했다.[8] 바사리는 이를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전설화하며 미담처럼 기록했는데, 현대 학자들은 존중보다는 실용적 이유(예: 천장 작업을 새로 할 필요가 없었거나 시간적 제약), 혹은 라파엘로가 천장 장식에 큰 우선순위를 두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출처: Raphael and the Redefinition of Art in Renaissance Italy, Robert Williams, 2017).[9] 파일:혼례라파엘.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