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5 07:37:39

피난약자시설

1. 개요2. 법령적 정의3. 주요 유형4. 소방정책5. 결론


1. 개요

피난약자시설은 대한민국의 건축 및 소방 법령상에서 화재나 재난 발생 시 자력으로 피난이 어려운 사람들이 이용하거나 상주하는 시설을 지칭하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안전관리와 피난 대책이 요구되는 시설군을 말한다.

2. 법령적 정의

피난약자시설은 다음의 법령에서 정의된다.
  •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제9호 라목
    : 노유자시설로 분류되며, 피난약자(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가 주로 이용하는 시설로서 특별 피난계획 수립 및 안전설비 강화 대상이다.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제1호 가목
    : 특정소방대상물 중 하나로 지정되며,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등의 의무 설치 대상이다.

3. 주요 유형

분류예시
의료시설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등
노인시설노인요양시설, 노인복지주택,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시설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재활시설 등
영유아시설어린이집, 유치원, 아동복지시설 등
기타수용시설, 양로시설, 정신요양시설, 재활원 등

4. 소방정책

피난약자시설은 화재 발생 시 대피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구조대의 도움이 필요한 이용자들이 많은 특성 때문에, 소방청 및 지방 소방본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 정기적인 피난훈련 및 소방안전교육 실시
  • 피난유도등, 대피경보설비 등 피난설비 설치 강화
  • 지역 소방서의 맞춤형 현장 컨설팅 및 교육자료(UCC 등) 제작[1]

5. 결론

피난약자시설은 대한민국 소방안전 체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보호되고 관리되어야 할 시설 유형 중 하나로, 일반 시설보다 더욱 강화된 피난계획 수립, 소방시설 설치 기준이 적용된다.

[1] 홍천소방서, 안전약자시설의 소방시설 사용법 UCC 제작 - 홍천뉴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