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01:14:20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하드 히팅

프로레슬링 경기 스타일 유형
브롤러 하이 플라이어 테크니션 올드스쿨 서브미션 파워하우스 자이언트
올라운더 몬스터 쇼 맨 힐 스타일 스턴트맨 하드코어 슈터
왕도 스타일 하드 히팅 루차 리브레 스트롱 스타일 U계
파일:IMG_9847.gif 파일:IMG_0379.gif
셰이머스에게 을 시전하는 군터 H-밤을 시전하는 일리야 드라구노프

1. 개요2. 특징3. 문제점4. 선수 목록

1. 개요

Hard-hitting

타격계 기술들을 강하고 세게 시전하여 단순한 기술이라도 더 위력적이고 아파보이게 사용하는 스타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드 히팅 스타일의 특성상 스트롱 스타일슈터 스타일의 상위 범주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기술을 받는 선수는 강하고 아픈 기술들을 이악물고 접수해야 하므로 피폭자에겐 다소 힘든 스타일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하드 히팅 스타일의 선수로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상대가 다치지 않게 잘 구사하면서도 타격감 넘치고 몰입감 있게 적재적소에서 구사하는 것이다.

2. 특징

이시이 토모히로월터의 찹 공방전

하드 히팅 스타일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로는 , 엘보 어택(포암), 하리테, 사커킥등의 타격기가 있으며, 찹 등으로 서로 물러서지 않는 공방전 연출은 장내를 가득 울리는 타격음 덕분에 경기를 보는 이들의 몰입도를 크게 높일수 있어 자주 애용되는 스팟이다.

하드 히팅 스타일의 의의는 무지막지한 타격으로 상대를 압도하는 강력한 탑독의 이미지를 보여줌도 있지만, 강한 기술을 맞고도 일어나는 상대를 부각시키기 위함도 있다. 테이크오버 카디프에서의 월터타일러 베이트의 경기가 대표적인 예시. 이러한 특성상 악역 레슬러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스타일이다. 하지만 피지컬적으로 열세인 언더독 선수가 덩치 큰 선수와 대등히 맞설수 있는 설득력을 부여할 수 있는 스타일이기도 하여 선역이 하드 히팅 스타일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크리스 벤와, 일리야 드라구노프가 대표적.

하드 히팅 스타일을 구사하는 선수들은 엄청난 연습을 통해 상대는 안다치게 하되 위력은 강하게, 또 강해보이게 때리는 요령을 터득한다. 그러나 시바타 카츠요리의 본인의 선수 생활이 끝날뻔한 헤드벗처럼 순간의 미스로 심각한 부상을 입을수도 있으며, 특히 찹같은 경우엔 시전에 별다른 요령이 없다보니 맞은 상대 선수의 가슴팍이 시뻘겋게 변하거나 심하면 피멍으로 얼룩지는 상황도 굉장히 많다.

3. 문제점

파일:FGTHxCbXoAc02fZ.jpg 파일:1_O40nzXJFBj1lEfU-gDMLjg.jpg
WWE의 프로레슬러 자야 리 "파괴왕" 하시모토 신야

상술했듯 하드히팅 스타일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상대가 다치지 않고도 타격감 넘치게 시전하는 것이다. 이시이 토모히로, 시바타 카츠요리처럼 실력이 검증된 베테랑 레슬러들의 하드 히팅과는 달리, 기본적인 경기력이 좋지못한 자야 리비 프리스틀리처럼 세게 때리지만 타격감도 없고 별로 몰입도 안 되는데다 요령없이 시전하여 위험하기까지 한 탓에 비판받는 레슬러들도 상당히 많고, 하드 히팅을 특기로 하는 선수가 아님에도 동업자 정신 없이 기술을 강하게 시전한다는 비판을 받는 하시모토 신야등의 레슬러들 또한 존재하고 있다.

하드 히팅의 전염성

하드 히팅으로 인한 타격음, 몸의 흔들림, 얼굴의 일그러짐은 보는 이의 감각을 압도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시합을 ‘진짜’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언어로 작용함과 동시에, 시원한 한 방을 중시하는 투기 스포츠로서의 감각적인 쾌감을 선사하며 관중의 호응을 이끌어낸다.

이 강렬한 인상은 동료 레슬러들에게도 모방 욕구와 경쟁심을 자극한다. 한 선수가 세게 때리면, 상대도 ‘뒤질 수 없다’는 심리로 맞받아치게 되고, 그 결과 경기의 타격 강도는 점점 높아진다. 이러한 현상은 종종 각본에 의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발생하며,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 간에는 일정한 조절 속에서 이루어지기도 하나, 하드 히팅에 익숙하지 않은 신인이나, 애초에 이 스타일과 거리가 먼 선수까지 이런 분위기에 휩쓸려 투박한 하드 히팅을 구사할 경우, 상대의 부상 위험이 급격히 높아진다.

결국 하드 히팅의 진정한 가치는 ‘얼마나 세게 맞았는가’가 아닌 “얼마나 진심처럼 보이게 만들었는가”에 달려 있으며, 리얼리즘과 안전, 감정과 연출의 균형이 맞춰질 때 비로소 하드 히팅은 위험한 스턴트가 아닌 경기의 서사를 강화시켜주는 장치로서 기능 할 것이다.

4. 선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