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포드맵(FODMAP)은 소장에서 잘 흡수되지 않는 특정한 짧은 사슬 탄수화물을 묶어 부르는 말이다. 2005년 호주의 모나쉬(Monash) 대학 연구진이 처음 정리했으며(#)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이나 특정 소화 장애 환자들의 불편을 줄이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이름의 유래는 Fermentable (발효성), Oligosaccharides (올리고당: 프럭탄, 갈락탄), Disaccharides (이당류: 락토스), Monosaccharides (단당류: 과당), And, Polyols (폴리올: 자일리톨, 소르비톨 등 당알코올)
2. 상세
포드맵은 일반인에게는 장내 세균의 먹이가 되어 오히려 도움이 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과민성 대장 증후군, 기능성 소화불량,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에게 포드맵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복통, 설사, 가스, 팽만감 같은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저포드맵 식이요법(Low-FODMAP diet)이 주목받게 되었다.이 식이요법은 모든 고포드맵 음식을 일정 기간 제한한 뒤 한 가지씩 다시 섭취해 개인별 반응을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자신에게 문제가 되는 음식만 피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구 결과 이 방법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의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만 포드맵이 든 음식 중에는 장내 미생물 다양성에 도움이 되는 것도 많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모두 피하는 것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3. 식품
3.1. 고포드맵 식품
- 과일 - 사과, 배, 수박, 체리, 망고
- 채소 - 양파, 마늘, 브로콜리, 컬리플라워
- 콩류 - 렌틸콩, 강낭콩, 병아리콩
- 유제품 - 우유, 아이스크림, 치즈
- 기타 - 꿀, 옥수수 시럽, 자일리톨 또는 소르비톨이 들어간 가공식품
3.2. 저포드맵 식품
- 과일 - 덜 익은 바나나(파란 바나나), 포도, 딸기, 블루베리
- 채소 - 당근, 오이, 시금치, 가지, 호박
- 단백질 - 고기, 생선, 달걀
- 유제품 - 락토프리 우유, 아몬드 우유
- 기타 - 쌀, 귀리, 감자
4. 여담
-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주로 소화 불량 증상이 줄어들어 생기는 효과에 가깝다.
- 한국 음식 중에서는 김치, 된장, 마늘, 양파 등 고포드맵 성분이 많아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가 식단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