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4153e 0%, #94153e 20%, #94153e 80%, #94153e);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송찬간포 | 망송망첸 | 치둑송첸 | 치데축찬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적송덕찬 | 무네첸뽀 | 티데쏭첸 | 티축데첸 | |
<rowcolor=#fff> 제9대 | ||||
랑다르마 | ||||
비정통 | ||||
탁발포 · 지덕운단 · 안달아송 | ||||
1. 개요
798 ~ 815토번의 7대 첸포.
2. 생애
그는 764년에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토번의 37대 왕 덕송덕찬이다. 798년, 자신의 형 무네첸뽀가 암살당한 탓에 왕위를 물려받게되며, 이는 모두 자신을 가르치던 스승 덕분이였다. 왕위에 오른 티데쏭첸은 자신의 어머니와 스승의 보좌를 받아 국정을 운영해 나간다.3. 정책
3.1. 국정 안정화
대신들 사이의 갈등을 종식시켰고, 다양한 세력과 맹세를 통해 내부 안정을 도모했다. 또한, 각 토번 가문의 권익을 보장해주었다.3.2. 불교 육성
토번 곳곳에 사원(절)을 건설하고, 불경 번역 작업을 조직화•체계화 시킨다. 그러면서 들고나온 것이 세 가지 번역 의 원칙인 정확성, 불교 경의, 이해 용이성이였다.이 밖에 정책으로는 승려를 우대하고 노예화·과세를 금지시킨 것, 왕실 구성원이 불교에 의존하도록 장려한 것, 승려의 국정 참여를 확대한 것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