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22:35:13

튜브캐시

파일:튜브캐시 아이콘2.png_256x256.png
개발사Good day
출시2019년
다운로드Google Play
서비스 요금무료(데이터 요금 별도)
설치 수350만 이상
tubecash

1. 개요2. 캐시 적립 방법
2.1. 튜브캐시 파트너
2.1.1. 성과제2.1.2. 조회수제
3. 캐시의 사용 용도4. 문제점

[clearfix]

1. 개요

유튜브 시청시간만큼 캐시적립 튜브캐시
유튜브 캐시를 적립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무료로 '광고 건너뛰기' 기능이 있다.[1]

앱테크중 돈은 많이 안주면서, 광고유도는 많이하는 편이다. 후술하겠지만, 이 어플은 사기까지 치는 악질 어플이다. 따라서 이 어플 사용을 추천하지 않는다.

2. 캐시 적립 방법

추천인을 모으면 인당 2000캐시를 얻을 수 있으나, 일정 추천인수가 넘어가면 블랙리스트에 적혀져서인지, 획득 캐시량이 급격히 줄어든다.[* 팥

아래의 방법은 추천인을 제외한 캐시 획득 방법이지만, 사실상 상품권 등을 구매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캐시를 적게준다.[2]

유튜브 시청시간만큼 캐시를 얻을 수 있으며 유튜브 종료 후 나오는 선물상자를 클릭하여 캐시적립을 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캐시적립을 안하고 계속 쌓아두기만 하면 시청시간이 누적되는데 너무 많이 시청시간이 누적되면 어뷰징으로 판단되어서 캐시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유튜브를 시청하고 종료를 하고 나오는 선물상자를 그때그때 눌러주자.

1시간에 1회씩 룰렛을 이용할 수 있다. 10000캐시를 보유할 시 룰렛을 돌릴 수 있으며, 500캐시를 소모하여 300~1000 캐시 혹은 500~1500 캐시를 얻기 때문에 캐시적립에 도움이 된다.

2.1. 튜브캐시 파트너

튜브캐시는 유튜버인 경우 파트너가 될 수 있으며, 파트너의 경우 정산 방법은 2가지이다.

2.1.1. 성과제

기본적으로 추천인 1명당 현금 1500원을 지급하며, 어떤 방법이든 자유로운 홍보가 가능하다.[3]

2.1.2. 조회수제

1분 이상의 튜브캐시 홍보 영상을 올리면, 해당 영상 조회수당 6원을 지급하며, 쇼츠의 경우에는 3원을 1주일동안의 조회수를 계산하여 지급한다.[4]

3. 캐시의 사용 용도

캐시로는 카페, 배스킨라빈스, 영화티켓, 문상, 구글기프트, 백화점상품권 등으로 교환 받을 수 있다. 또한 선물상자 클릭시 나오는 '뽑기' 기능을 통해 즉석 복권을 긁어볼 수 있다.

교환 가능 시간은 평일 10:00~18:00이다. 시간이 늦으면 상품 재고가 소진될 수 있으니 10시 정각에 교환을 하는 것이 좋다.
편의점 상품들이 비교적 교환이 잘 된다고 한다. 편의점 상품들을 교환하는걸 추천한다.

4. 문제점

추천인캐시가 락이 걸려있는지, 추천인을 받다 보면 추천인이 안들어온다. [5]

그뿐만이 아니라, 앱자체 기능으로 받을수 있는 캐시의 양도 적으므로, 어플 사용을 추천하지 않는다.

마케팅 유튜버들이 많다. 구독자 만명대인 3류 유튜버들이, 튜브캐시 광고를 많이하는데, 복사 붙여넣기를 하여, 거짓허위 광고를 진행하고있다.[6]

이 어플은 마케팅 유튜버를 진행하는것도 추천하지 않는다. 추천인1명당 일정현금을 준다고 하더라도, 추천인등록횟수 조작이 있는 어플이기 때문에, 실제로 추천인을 받은 횟수보다 적은 돈을 받게된다.

즉 이 어플은, 마케팅 유튜버에게 사기를치는 악덕어플이다.

상품권 구매 갯수가 제한이 있는데, 그냥 못산다고 보면 될정도로 적게뿌린다. 이정도로 상품권 구매갯수가 적음에도 유튜브에 입금자 내역이라고 올라온 영상에는, 1주일에 1억원 넘게 뿌리는것처럼 가짜 출금내역을 올려서 거짓광고를 한다.[7]

최근에는 상품 신청을 해도 상품권이 아에 누락되는 경우도 있다.

이 어플 운영이 정막 악질인 것이, 홍보영상 하나하나가 뭣모르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저격한다.[8]


[1] 구글 정책 위반이다. 공론화 된다면 구글 스토어에서 어플이 삭제될 가능성이 높다.[2] 광고 노출은 돈버는 앱중 가장 많은 편이지만, 캐시를 적게주기 때문에 문제가 많다.[3] 하지만 추천인 150명부터 어플 자채에서 주작질을 해서, 추천인상승이 줄어들고 타 어플에서 앱태크 광고를 할때는, 1인당 5000원까지 주는 경우도 있다. 굳이 사기어플의 홍보를 할 이유가 없다. 튜브캐시는 애플에서 다운이 불가능하기때문에, 타 어플을 광고 안받고 홍보하는것이 오히려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4] 조회수가 1주일만에 2만회 나온다고 가정하면 12만원정도를 가져가지만, 망가질 채널의 이미지에 비해 리턴이 너무 적다.[5] 심지어 추천인 1명당 고작 200원준다.[6] 튜브캐시 파트너 유튜버들은 일반유저들보다 훨신 많은 돈을 가져간다. 유튜버라는 이유로 이용자 차별을 하는것이다.[7] 실제로는 파트너 유튜브를 제외한 사람들이 가져가는 수익이 1달에 1000만도 안될 가능성이 높다.[8] 저연령층의 핸드폰에 광고를 깔아서 돈을 벌겠다는 운영사의 의도가 들어난다. 저연령층이 이 어플을 설치하면, 광고를 몇개월간 보다가 앱을 지울 가능성이 높으며, 애초에 성인층이 이런 어플 쓰면 창렬인것을 금방 눈치채고 지울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