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벌룬이 작곡한 음악}}}에 대한 내용은 [[토피아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피아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피아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벌룬이 작곡한 음악: }}}[[토피아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피아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피아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nopad> |
<colbgcolor=#ECFFFB,#1c1d1f> トピアリー Topiary | 토피아리 |
| 가수 | 하츠네 미쿠 |
| 작곡가 | 낙원시가 |
| 작사가 |
| 페이지 | |
| 투고일 | 2019년 11월 4일 |
1. 개요2. 영상3. 가사4. Topiary [Rebuild]
#005 종말
#005 終末
토피아리(トピアリー)는 낙원시가가 2019년 11월 4일에 니코니코 동화와 유튜브에 투고한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제목인 토피어리는 식물을 인공적인 형태로 자르고 다듬는 기술 또는 작품을 의미한다.
니코니코 동화 |
| [nicovideo(sm35952757, width=640, height=360)] |
| 토피아리/낙원시가+하츠네미쿠 |
| 慊焉的な蒙昧さゆえ |
| 켄엔테키나 모오마이사유에 |
| 불만족스러운 몽매 때문에 |
| 眼が辷るような最終話が |
| 메가 스베루요오나 사이슈우와가 |
| 눈 앞이 아찔한 최종화가 |
| 回送列車の中、揺られている |
| 카이소오렛샤노 나카, 유라레테이루 |
| 회송 열차 안에서 흔들리고 있어 |
| 鮮明な夢のような、損な感覚 |
| 센메이나 유메노요오나, 손나 칸카쿠 |
| 선명한 꿈같은, 덧없는 감각 |
| 心拍する掌上の中 |
| 신파쿠스루 테노히라노 나카 |
| 심장이 박동하는 손바닥 위에서 |
| 貴女の首を、ただ絞めている |
| 키미노 쿠비오, 타다 시메테이루 |
| 당신의 목을, 그저 조이고 있어 |
| 博奕な恋 |
| 바쿠치나 코이 |
| 도박 같은 사랑 |
| 思い出は重い手で終わらせなくちゃ |
| 오모이데와 오모이 테데 오와라세나쿠챠 |
| 추억은 무거운 손으로 끝내야만 해 |
| 未だ 硝子の管で日々を繋いでいる |
| 이마다 가라스노 쿠다데 히비오 츠나이데이루 |
| 아직 유리관으로 나날을 잇고 있어 |
| 最低な言葉を贈るよ |
| 사이테이나 코토바오 오쿠루요 |
| 최악의 말을 전할게 |
| 「僕なんて、死ねば善かった。」 |
| 보쿠난테, 시네바 요캇타 |
| 「나 따위, 죽는 게 좋았을 텐데.」 |
| 最近は屹度だけ、貴女を手繰るだけ |
| 사이킨와 킷토다케, 키미오 타구루다케 |
| 최근엔 그저 당신을 끌어당길 뿐 |
| 心臓も眼球も鼓膜も |
| 신조오모 간큐우모 코마쿠모 |
| 심장도 안구도 고막도 |
| 貴女の身體に植えられたら |
| 키미노 카라다니 우에라레타라 |
| 당신의 몸에 심을 수 있다면 |
| 自嘲していた |
| 지초오시테이타 |
| 자조하고 있었어 |
| 「トピアリーみたい。」 |
| 토피아리이미타이 |
| 「토피어리 같아.」 |
| 見世物に成り果てるなら |
| 미세모노니 나리하테루나라 |
| 구경거리가 될 바에는 |
| 一層の事、贋物になろう |
| 잇소오노 코토, 니세모노니 나로오 |
| 차라리 더욱, 가짜가 되자 |
| 花奢な指先に触れている |
| 카샤나 유비사키니 후레테이루 |
| 꽃처럼 가녀린 손끝에 닿고 있는 |
| 辺鄙な好意 |
| 헨피나 코오이 |
| 동떨어진 호의 |
| 後悔とも呼べないような喪失感を |
| 코오카이토모 요베나이요오나 소오시츠칸오 |
| 후회라고도 부를 수 없는 상실감을 |
| 貴女を諦めきれず無為に縋っている |
| 키미오 아키라메키레즈 무이니 스갓테이루 |
| 당신을 포기하지 못하고 부질없이 매달리고 있어 |
| 最低な日々を送ろう |
| 사이테이나 히비오 오쿠로오 |
| 최악의 나날을 보내자 |
| 誰にだって邪魔が出来ないような |
| 다레니낫테 쟈마가 데키나이요오나 |
|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을 |
| 二人きりの逃避行 貴女を拐って擧げる |
| 후타리키리노 토오히코오 키미오 사랏테아게루 |
| 둘만의 도피행, 당신을 납치해 줄게 |
| 死にたいなんて云う洗脳を |
| 시니타이난테 이우 센노오오 |
| 죽고 싶다는 세뇌를 |
| 僕が取り払えるように |
| 보쿠가 토리하라에루요오니 |
| 내가 걷어낼 수 있도록 |
| 薬剤とC2H5OH |
| 야쿠자이토 에탄오루 |
| 약물과 C2H5OH |
| さあ、飲み干して |
| 사아, 노미호시테 |
| 자, 전부 마셔버려 |
| 縦横無尽にきらめくライト |
| 주우오오무진니 키라메쿠 라이토 |
| 종횡무진으로 반짝이는 불빛 |
| 鳴り響く巡回車 警笛 |
| 나리히비쿠 파토카 사이렌 |
| 울려 퍼지는 순찰차 경적 |
| 「じゃあ、逃げよう?」 |
| 쟈아, 니게요오? |
| 「그럼, 도망칠까?」 |
| 凡てを振り切って |
| 스베테오 후리킷테 |
| 모든 것을 떨쳐버리고 |
| 「赤熱の火焔なんかよりも、 |
| 샤쿠네츠노 호노오난카요리모 |
| 적열의 불꽃보다도, |
| 三六度五分の方がずっと温かいよ。 |
| 산쥬우로쿠도 고훈노 호오가 즛토 아타타카이요 |
| 36.5도가 훨씬 더 따뜻해 |
| 間違っているかな。」 |
| 마치갓테이루카나 |
| 내가 잘못된 걸까나.」 |
| ふたりきりでえいえんにいようね |
| 후타리키리데 에이엔니 이요오네 |
| 둘이서 영원히 함께 있자 |
| はぐれないようにてをつないで |
| 하구레나이요오니 테오 츠나이데 |
| 떨어지지 않도록 손을 붙잡고 |
| 離さないでいて? |
| 하나사나이데이테? |
| 놓지 말아줘? |
| 白い脂肪も筋肉組織も |
| 시로이 시보오모 킨니쿠소시키모 |
| 하얀 지방도 근육 조직도 |
| 吐き出しそうな鉄の匂いも |
| 하키다시소오나 테츠노 니오이모 |
| 토할 것 같은 쇠 냄새도 |
| 鼻腔が遮って愛惜しく感じている |
| 비쿠우가 사에깃테 아이오시쿠 칸지테이루 |
| 비강이 가로막아 애틋하게 느껴져 |
| 悲劇的な喜劇の最後は |
| 히게키테키나 키게키노 사이고와 |
| 비극적인 희극의 최후는 |
| 盛大な拍手とフィナーレ |
| 세이다이나 하쿠슈토 휘나아레 |
| 성대한 박수와 피날레 |
| 逃避は大健闘 |
| 토오히와 다이켄토오 |
| 도피는 대건투 |
| クローゼットにて |
| 쿠로오젯토니테 |
| 옷장 속에서 |
4. Topiary [Rebuild]
니코니코 동화 |
| [nicovideo(sm44464877, width=640, height=360)] |
토피아리 [리빌드]는 2024년 12월 27일에 투고한 토피아리(낙원시가)의 편곡 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