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히가시 나들목 豊田東インターチェンジ Toyota-higashi Interchange | ||
| 토요타히가시 요금소 豊田東料金所 | ||
| ETC 전용 | ||
| 토요타 방면 ← 3.1 km | E1A 이세완간도 2 | 욧카이치 방면 토요타JCT 1.9 km → |
| 주소 | ||
| 아이치현 토요타시 토가리초 시모카스메 44 | ||
| 관리기관 | ||
| NEXCO 중일본 나고야지사 토요타보전·서비스센터 | ||
| 개통 | ||
| 2003년 3월 15일 | ||
| 접속 도로 | ||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248)] · 토요타시도 우네베-토가리선 | ||
1. 개요
이세완간자동차도(이세완간도, E1A)의 나들목(2번)이다.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토요타시에서 유래하였으나, 기존 토요타IC가 있어 그보다 동쪽에 있기 때문에 토요타히가시IC로 명명되었다. 단, 이름과 달리 토요타 시가지 기준으로는 남쪽이며, 실제 동쪽 나들목 역할은 토요타마츠다이라IC가 수행하고 있다.2003년 3월 15일 이세완간도 토요타히가시IC - 토요타JCT 개통으로 사용이 개시되었지만, 당시에는 이세완간도 본선과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메이고속도로의 나들목처럼 취급된 바 있다. 2004년 12월 12일 토요타JCT - 토요타미나미IC 연결로 이세완간도의 나들목으로 취급되기 시작했으며, 2005년 3월 19일부터 도카이환상자동차도와 연결되는 구간 개통으로 이세완간도가 전 구간 개통되면서 토요타히가시JCT 방향도 개방되었다.
2025년 4월 16일부로 현금차로가 폐쇄되어 ETC 전용 IC로 전환되었다.
나들목은 전형적인 트럼펫형 나들목이지만, 공간 문제로 다소 찌그러진 형태를 띄고 있다. 대신 여유 공간에는 인근 고속도로의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토요타보전·서비스센터가 들어서 있다. 외부 접속도로와는 평면교차(사거리)로 접속하는데, 사거리 직전에 토요타시도 토가리-카미고 2호선이 접속하지만 IC 방향으로는 이용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직교 방향으로는 248번 국도와 교차하는데, 248번 국도 본선측은 고가도로로 입체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직진 방향으로는 토요타시도 우네베-토가리선과 접속되어 239번 아이치현도 방향으로 이어지게 된다.
2. 요금소
| 요금소 사무소 · 고속도로 사무소 | |||||
| 외부 접속 도로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 → ↗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3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bgcolor=#ddd,#ddd> 지원 》》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 ↗ ↘ | <nopad> [[이세완간자동차도|{{{#!wiki style="display:inline; letter-spacing:-1px; font-size:95%;" |
| 2 | <nopad> ETC 전용 》》 | ||||
| 1 | <nopad> ETC 전용 》》 | ||||
| <nopad> | |||||
| ↖ ← ↙ | 1 | <nopad> 《《 ETC 전용 | ↙ ↙ ↖ | ||
| 2 | <nopad> 《《 ETC 전용 | ||||
| 3 | <nopad> 《《 ETC 전용 | ||||
| 4 | <nopad> 《《 지원 | ||||
| 5 | <nopad> 《《 지원 | ||||
| ETC ]] 전용으로 전환된 나들목이다.지원(サポート) 차로[1]는 수납 업무를 직접 하지 않는다. | |||||
3. 구조
- 진출입 가능
- {{{#!wiki
- 토요타시도 우네베-토가리선 우네베 방향
[1] ETC 미장착 차량이 오인 진입한 경우 이용하는 차로로, 사후 납부를 위한 정보 기입 등을 진행하며, 수납 업무를 직접 진행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