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루세이더 퀘스트의 시스템과 컨텐츠 | ||||||||||||||
| 시스템 | ||||||||||||||
| 용사 | 장비 | 챔피언 | ||||||||||||
| 여신 | 스킬 | 퀘스트 | ||||||||||||
| 컨텐츠 | ||||||||||||||
| 모험 | 결투장 | 던전 | 토벌 | 총력전 | ||||||||||
| 낚시 | 과수원 | 시공의 도서관 | 이벤트 | |||||||||||
1. 개요
크루세이더 퀘스트의 챌린지 컨텐츠. 2022년 7월 28일 업데이트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초강력 보스를 그 주간에 선택된 기믹과 함께 파훼하는 컨셉이다. 시나리오, 도전 등에서 보던 보스나 네임드가 초강화된 채로 나오는 게 대부분이지만, 오리지널 개체도 있다. 여담으로 레벨이 전부 대놓고 LV.999다. 보석이나 광고로 이어하기도 불가능.하루에 4번까지 도전 가능하며, 입장시 입장 제한 횟수 외의 그 어떤 자원도 일절 요구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 보스들에게 여신 QTE 패턴이 있다. 당연하게도 파훼 실패시 전멸하며, 이는 무적 버프 등 어떤 인게임 수단을 써도 피할 수 없다.
처음에야 고난이도 컨텐츠 취급이었으나. 곧 적응한 크창들 덕분에 13단계 추가 전까지는, 최초 클리어 보상으로 보석이나 타먹는 컨텐츠 취급이었다. 그러다가 2023년 08월 02일 업데이트로 13단계가 추가됐는데, 13단계는 2025년 11월 현재까지도 명실상부 PVE 엔드 컨텐츠로 확고하게 자리잡았다.
13단계는 엔드 컨텐츠로 작정하고 낸지라, 그 이전 단계와의 난이도 차이가 정말 천지차이다. 보스 스펙 상승폭도 크지만, 패널티(월드룰) 또한 강화되며, 추가 패턴까지 있다. 12단계까지야 기믹만 알면 보석 1개씩 주는 혜자 이벤트지만, 13단계는 공략에 필요한 챔피언이 초월상태가 아니라면 사실상 포기당할 정도. 그나마 치명타 피해강화는 보스와 조합에 따라 의외로 갤러헤드 없이도 깰 수도 있지만[1], 회피 강화는 윈체스터 초월 못 찍었으면 사실상 13층 클리어 불가다. 메이플에서나 보일 맥댐도 아주 적극적으로 써먹는지라, 보스나 기믹 구성 등이 극단적이지 않으면 30초 내로 끊는 경우 자체가 매우 드물다. 거의 개막과 동시에 본래 피통의 10배가 넘는 해제불가 실드가 걸린다. 그리고 13단계는 공통적으로 '엔트의 가호'라는 피감 효과를 3중첩 보유하고 시작한다. 여신으로 해제 가능.
이런 까닭에'어떤 보스는 이러한 특징을 가진 용사가 유리하다' 식으로 멤버나 옵션 구성이 고정되지 않고, 매우 유동적으로 바뀌는 것도 특징이다. 특히 유독 딜러 세팅이 자주 바뀐다.[2] 13단계에서 기믹 파훼 하나 때문에 공공 쌍치피가 정옵인 딜러 초무를 쌍명중이나 쌍치확으로 바꾸는 건 너무나 흔하고, 심지어 방방 쌍피감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트롤이나 예능성 조합이 아니라, 진지하게 클리어를 위해 몸 비튼 결과물이라는 점이 놀랍다. 물론 저건 자석탱 없이 깨느라 그런거지만.
13단계를 깨고 싶다면 우선 레미, 쿠레나이, 여하를 제외한 나머지 챔피언들을 최소 초월단계까지는 뚫어나서 선택의 폭을 늘려두자.
2. 패널티 목록
공식 명칭은 '월드룰'. 물론 커뮤니티에서는 아무도 저 말을 쓰지 않고 패널티라고 퉁쳐부른다.기본 1개에서 시작해 세 단계마다 하나씩 추가되며, 13단계에서는 모든 패널티가 강화되서 적용된다.
순서는 '여신 쿨타임 증가 -> 해당 주차 패널티 1 -> 해당 주차 패널티 2 -> 챔피언 쿨타임 증가' 순이다.
여신, 챔피언 쿨타임 증가가 각각 1번째와 4번째에 고정으로 들어가고, 나머지 두 기믹이 주차별로 달라진다.
당장 여신 쿨타임 증가도 만만치 않다. 설명이 짧아 우스워 보이지만, 13단계에서는 한 번 누르면 약 21~22초 동안 못쓴다. 5초내에 첫 여신을 재빨리 쓰는 건 괜찮지만, 그 이후로는 딜찍누/타임어택 목적이 아니라면 전멸기 대응용으로만 써야한다.
랜덤 패널티 목록
- 지속 피해
- SP 감소
- 회복량감소
- 보스에게 일정 시간마다 공격력 버프 (중첩가능)
- 치명타 확률 감소
- 치명타 피해량 증가
- 회피 증가
3. 보스 목록
이명 (개체명) 식으로 기재모두가 전멸기를 보유했는데, 시스템상 알림 (여신 등 대사, 스킬명 표시) 여부가 다 다르다. 보스에 따라 알림 자체가 없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팩트와 공략 영상을 잘 보자.
3.1. 금지된 신앙
3.2. 천마재림
홍련 보스원본처럼 여러차례 부활한다. 목숨마다 피가 다하면 솔타르처럼 불기둥을 시전하는 패턴이 추가되는데, HP 1이 되자마자 즉발로 나간다. 화려한 이펙트로 몇초의 예고 시간을 주는 영혼의 요새와는 다르니 주의. 13층 한정으로 이걸 3체인 3연속 사용으로도 파훼할 수 있으나, 그 전까지는 여신으로만 파훼가능하다. 당연히 전멸기 쿨타임과는 별개니까 쿨이 빡빡하다 싶으면 불기둥을 그냥 맞고 버티는 것도 방법이다. 물론 13층 깨고 싶다면 그 딜량 때문에 다 파훼해야 한다.
3.3. 광기의 사도 (디오네메시스, 네메시스)
시나리오 설월 보스3.4. 악마강림 (다이크)
시나리오 전장 보스3.5. 죽음의 인도자
3.6. 영혼의 듀오 (솔타르, 라엘)
2층 도트의 솔타르, 1층 도트의 라엘이 나온다. 피가 적어지면 굉폭화한다. 둘 중 하나를 먼저 잡으면 추가 광폭화가 없어서 공략이 한결 편해진다.3.7. 후계자 (라이오넬)
보스 중 PVE 전용 도트 없이, 유일하게 플레이어블 캐릭터 도트 그대로 들고왔다.3.8. 바람 추적자 (바람걸이)
시즌 2 에피소드 1의 네임드 고블린 궁수. 99% 피해감소 쉴드를 상시로 달고 있다. 말 그대로 돌진기 가진 용사가 물리적으로 비비면 해당 쉴드가 해제되며, 기절한다. 나머지 해로운 효과에는 전부 면역.전멸기 여신 타이밍은 나팔을 불면서 머리를 들어올리려 할때 누르면 된다. 쉴드 색이 진해서 잘 안 보이니 처음엔 고생좀 하게된다.
3.9. 사자 기사단
3.10. 폭주경고
V돌진기가 없는 캐릭터라면 이동속도 증가 장신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