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bgcolor=#fff,#222><colbgcolor=#ed9,#540><colcolor=#000,#fff> 게임 요소 | 게임요소 · 쿠키(목록 · 미출시 쿠키 전망) · 마법사탕 · 호감도 · 펫 · 보물 · 마법공방 · 스킨 · 젤리 스킨 · 보너스타임 · 길드 · 칭호 · 태그 |
| 콘텐츠 | 스토리모드 · 쿠키의 도전(목록) · 트로피 경기(마스터랜드 역대 맵) 챔피언스 리그(그랜드 챔피언스 리그 · 그랑프리 파이널) 떼탈출(랜덤 챌린지 · 기본모드) · 길드전 · 레이드런 · 기억의 섬 · 테크닉 라이센스 | |
| 종료 / 한정 | 쿠키 퀘스트 · 1:1 대전 · 쿠키응원단 · 보물의 도전 · 기간한정 콘텐츠 · 배틀 패스 · 수호카드 · 랜드 | |
| 가이드 | 공략 · 트로피 경기(이달 조건) 떼탈출(무뇌런 조합방법 · 랭커 조합 · 막변 조건) | |
| 역사 및 기록 | 역사 · 기록 · 단편 애니메이션 · 올해의 쿠키 (2019년 · 2020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역대 제작진 | 오븐 게임즈 대표 | 배형욱 → 조길현 | |
| 총괄 디렉터 | 배형욱 → 최낙현 → 연정흠 | ||
| CM | CM믹맥 · CM로즈 | ||
| 기타 | 제작진 · 평가 · 사건사고 · 용어 · 공식 카페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
| 오프라인 대회 | 쿠림픽(쿠림픽 2024 · 월드 챔피언십 2025) ·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
1. 개요
이 문서는 쿠키의 콤비펫이 아닌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주요 점수펫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매작과맛 쿠키+두근두근모니터, 에그노그맛 쿠키+풀잎개비, 롤리팝맛 쿠키+ 마그마 불새, 피자맛 쿠키+눈폭풍 예티, 파일럿맛 쿠키+ 마그마 불새등이다.2. 배경
시즌6 시절에는 앰버슈가맛 쿠키가 점수펫으로 조합보너스가 나왔는데 대물약 손실을 감안해서 앰버슈가맛 쿠키가 조합펫을 쓰지않고 일부러 조합보너스가 없는 회복펫을 쓰는 경우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그러나 조합 박제까지 일으키는등 변화를 일으켰다. 에그노그맛 쿠키도 마찬가지로 조합보너스펫을 끼지 않고 조합보너스가 없는 펫을 써서 한번더 변신시키는등 어머어마한 변화를 일으키고 이어달리기로 허브맛 쿠키를 써서 박제되었다.그러나 2023년 이후로는 극히 예외적인 상황[1]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쿠키는 조합보너스 펫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파일럿맛 쿠키, 생크림담비 쿠키, 스타후르츠맛 쿠키, 김맛 쿠키, 포두부맛 쿠키, 앰버슈가맛 쿠키, 엘더베리맛 쿠키, 크림유니콘 쿠키, 괴도맛 쿠키 같은 경우는 긴맵이 아닌 경우 대물약 참사를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조합보너스를 버리고 회복펫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3. 막변공식
주요 점수펫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참고로 콤비펫이 아닌것은 점수는 낮지만 막변조건을 맞추려고 일부러 쓰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쿠키 | 3대 | 4대 | 3대 막변 공식 (+1 변신 추가) |
| | 32 | X | |
| | 38 | X | |
| | 40 | X | |
| | 42( | 2 | |
| | 46( | 6 | |
| | 48 | 8 | |
| | 50 | 10 | |
| | 52( | 12 | |
| | 54( | 14 | |
| | 56( | 16 | |
| | 62( | 22 | |
| | 63( | 23 | |
| | 65( | 25 | |
| | 64( | 24 | |
| | 69 | 29 | |
| | 70 | 30 | |
| | 71( | 31 | |
| | 76( | 36 | |
| | 80[3] | 41 | |
| | 84( | 44 | |
| | 86( | 46 | |
| | 92( | 52 | |
| | 96 | 56 |
4. 여담
점수펫이 달린 쿠키인 수국맛 쿠키와 샤벳상어맛 쿠키가 예전 패치전에는 점수펫이 였던 콤비펫이 회복펫으로 전환되는 일이 일어났다. 특히 괴도맛 쿠키와 앰버슈가맛 쿠키, 크림 유니콘 쿠키, 포두부맛 쿠키, 엘더베리맛 쿠키, 김맛 쿠키는 2대 2소 이달을 쓰인 적이 있기 때문에 회복펫으로 바뀌는 조건에 펫 쿨타임 줄일 가능성이 높고 그대로 3대물약 전환이 유력해졌다.흑마늘맛 쿠키 쿠키 역시 점수펫이었지만 나중애는 회복펫으로 전환되었다.
최근에는 망고맛 쿠키, 롤리팝맛 쿠키 역시 2대물약 기준으로 거리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쿨타임을 늘리고, 펫을 회복펫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아졌다.
[1] 허브와 불새의 조합, 롤리팝맛 쿠키와 불새의 조합, 파일럿맛 쿠키와 불새의 조합, 떼탈출에서 전기장어와 광속질주 펫의 조합[2] 그외에도 조합법이 많지만 광속질주와 생명물약이 있는 패턴은 보물에 엔진이 필요없는 패턴이 유리하다.[3] 앰버슈가맛 쿠키는 예전에도 대물약 대참사 문제로 전용펫이 아닌 파도방울 또는 무한바퀴 펫을 낀 적이 있고, 전용펫을 끼었다면 광질을 피해야 하는 등 난이도가 상승시켰던 적이 있다.[4] 지도 물약을 끼웠을 경우 펫소물약 8개라도 변신이 가능한 86인데, 그렇지 않는 경우 펫소물약을 9개 먹어도 발악쓰지 않으면 막변 변신이 불가능한데 속도차이가 있었음을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