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쿠마린(coumarin, 화학식 C9H6O2)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파이토케미컬의 일종으로 은은한 달콤한 향을 가진 무색의 고체이다. 특히 건초, 계피, 바닐라, 톤카빈 등에서 특유의 향을 내는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천연 쿠마린은 주로 향료, 방향제, 식품첨가물, 화장품 등에 사용되지만 과량 섭취 시 간독성 등 부작용이 보고되어 일부 국가에서는 식품 사용량이 엄격히 제한된다.2. 화학구조
|  | 
| 쿠마린(coumarin)은 락톤(o-Coumaric acid lactone) 또는 벤조피렌(benzopyran)으로도 분류될수 있다. | 
3. 인공 유기화합물
아세트산 무수물(無水物)과 아세트산 나트륨을 살리실알데하이드(sailcylaldehyde)에 작용시켜 만들수 있으며 이는 향료등으로 널리 쓰인다.4. 항응고 작용
쿠마린 계열 화합물 중 일부는 항응고제 작용을 나타낸다. 이들은 프로트롬빈(prothrombin)과 혈액 응고 인자의 합성을 억제하는데, 이는 비타민 K 대사 길항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표적으로 디쿠마롤(dicoumarol)과 와파린(warfarin)이 있으며 와파린은 현재까지도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심방세동 환자의 혈전 예방 치료에 널리 쓰인다. 그러나 와파린은 태아 기형 유발 위험이 있어 임산부 사용이 금기된다.5. 여담
- 쿠마린은 원래 19세기 초 스위트클로버에서 처음 분리되었고 그 향이 너무 좋아 향기 나는 화학의 대표 주자로 꼽힌다.
- WHO가 권장하는 쿠마린의 1일 섭취 허용량은 체중 1kg당 0.1mg이다.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곡물에 곰팡이가 피면서 자연적으로 생성된 디쿠마롤이 가축 집단 폐사 원인으로 밝혀지며 항응고 작용이 처음 주목받았다.
- 일부 전통 요리에서는 계피 향을 내기 위해 쿠마린 함량이 높은 카시아 계피를 쓰지만 유럽에서는 시나몬 롤 같은 빵류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법으로 제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