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Copenhagen Infrastructure Partners, 이하 CIP)는 2012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설립된 글로벌 그린에너지 투자·개발사이다. 덴마크 국민연금(PensionDanmark)과 유럽 해상풍력 산업화를 주도한 글로벌 리더들이 참여해 설립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는 덴마크 국영 에너지기업 동 에너지(현 오스테드, Ørsted)에서 해상풍력 부문을 이끌던 핵심 임원이었다.CIP는 총 운용자산(AUM) 규모에서는 브룩필드(Brookfield), 블랙스톤(Blackstone) 등 대형 운용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재생에너지 인프라 중에서도 신규 개발(Greenfield) 프로젝트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보유한다. 최근 10년간 투자 내역은 Greenfield 95%, Brownfield 5%로, Greenfield 중심 전략을 유지한다.
경영·M&A, 프로젝트 납품, 자금 조달, 자금 구조화 및 관리 분야에서 전문성을 보유한 약 550명의 핵심 인력과, 전 세계 17개 지사 및 해상풍력 개발·네트워크사를 포함한 약 2,300명의 조직으로 운영된다. CIP는 높은 수준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원칙을 준수하며, 온실가스 배출 방지, 주요 인프라 제공,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지역사회와 환경에 긍정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8년부터 전남 신안군, 충남 태안, 울산 지역 등에서 고정식과 부유식을 포함한 약 5GW 규모의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 사업
CIP는 해상·육상풍력, PtX(Power-to-X, 그린 및 블루 암모니아 포함),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150GW 이상 규모의 그린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개발·운용 중이다. 유럽,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지역의 약 200여 개 기관투자자로부터 약 320억 유로(한화 약 49조 원)를 출자 받아 13개의 펀드를 운용한다.각 펀드는 해상풍력·육상풍력·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력 부문의 탈탄소화와 재생에너지의 그리드 통합에 집중한다. 또한 해운·항공 산업용 녹색 연료 및 공급원료 생산을 통해, 탈탄소화가 어려운 산업군의 에너지 전환을 지원한다.
2.1. 주요 지표
· 펀드 규모: 320억 유로 이상(200여 개 기관투자자 참여)· 재생에너지 파이프라인: 총 150GW 이상
· 운용 펀드 수: 13개
· 임직원 수: 전 세계 17개 지사 및 해상풍력 개발사·네트워크 포함 약 2,300명
· 청정에너지 투자 목표: 2030년까지 1,300억 유로 이상
· CO₂ 감축량: 연간 1억~1억5천만 톤(전 세계 탄소중립 목표의 약 1% 기여)
3. 협력 구조
CIP 그룹은 재생에너지 분야별로 3개의 개발사를 두고 있으며, CIP는 이들과 긴밀히 협력한다.· 해상풍력 사업개발: 코펜하겐 오프쇼어 파트너스(COP, Copenhagen Offshore Partners)
· 육상풍력·태양광·에너지저장장치 사업개발: CIP 테라 테크놀로지스(CIP Terra Technologies)
· 수소·Power-to-X 사업개발: CIP 몰라큘즈 테크놀로지스(CIP Molecules Technologies)
관련 조직도와 주요 임원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운영 자산
CIP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에너지 전환 시나리오에 맞춰, 2024년 기준 6개 펀드 카테고리를 설정하고 총 13개의 펀드를 운용한다. 해당 프로젝트들은 연간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1억~1억5천만 톤을 감축하며, 2030년까지 글로벌 탄소 감축 목표의 약 1% 달성을 목표로 한다.*이미지 추가 예정
4.1. 해외 프로젝트 현황
해상풍력· 대만 창팡·시다오(595MW)
· 대만 중닝(295MW)
· 대만 펭미아오(~495MW)
· 영국 베아트리체(~588MW)
· 호주 스타 오브 더 사우스(~2,200MW)
· 미국 빈야드 윈드 1(~860MW)
육상풍력
· 스페인 모네그로스(~487MW)
· 남아공 물릴로(~440MW)
태양광
· 캐나다 트래버즈(~465MWac/691MWdc)
· 미국 미사에(~240MW)
태양광 & 하이브리드 풍력
· 인도 유니커스(총 1.7GW)
Power-to-X
· 미국 세인트 찰스
· 호주 머치슨
배터리·에너지 저장
· 영국 알세미(4.3GW)
바이오가스
· 덴마크 튄데르(~930,000톤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및 연간 41백만 Nm³ 재생 천연가스 생산)
에너지 아일랜드
· 덴마크 빈뇌(2030년까지 3GW, 장기 10GW 확장 예정)
· 덴마크 브린뇌(Hydrogen Island, 10GW 해상풍력 연계 및 연간 약 100만 톤 수소 생산 목표)
5. 한국 법인
5.1. 사업정책 방향 및 비전
CIP는 대한민국과 지역사회에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목표로, 국내 공급망과 긴밀히 협력하여 상생하는 산업 생태계 구축을 지향한다.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동반 성장을 추구하며, 지역과 산업 전반에 긍정적 파급효과가 나타나도록 지원한다.5.2. 프로젝트 현황
CIP 한국법인은 2018년 8월 설립 이후 전남 신안, 충남 태안,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총 4.9GW 규모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CIP는 투자와 프로젝트 전반(조달·구조화·관리)을 종합 관리하며, 그룹 내 해상풍력 개발사인 COP가 시행·인허가·기술개발 등 개발 업무를 담당한다.· 전남해상풍력 1·2·3(신안): ~900MW
· 해송해상풍력발전 1·3(신안): ~1GW
· 태안풍력발전(태안): ~500MW
· 해울이해상풍력발전 1·2·3(울산): ~1.5GW
*이미지 추가 예정
5.2.1. 전남해상풍력 1·2·3
CIP와 SK이노베이션 E&S가 공동 개발하는 해상풍력 발전단지.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연안에서 약 9km 이상 떨어진 해역에 위치하며, 총 900MW 규모로 개발·설치·운영 예정이다. 그중 전남해상풍력 1(96MW)은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민간 주도 해상풍력 발전단지로, 2017년 9월 발전사업허가를 받았고 2024년 12월 풍력발전기 설치를 완료, 2025년 5월 상업운전을 개시했다. 본 프로젝트는 기업이 별도 보증 없이 자체 신용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비소구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방식을 적용했다.5.2.2. 태안풍력발전
CIP와 뷔나에너지가 충청남도 태안 앞바다에서 공동 개발하는 500M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 2024년 하반기 풍력 경쟁입찰에서 고정가격계약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지역 경제 활성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역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목표로 하며, 연간 약 3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5.2.3. 해송해상풍력발전 1·3
전라남도 신안 흑산도 연안에서 추진 중인 총 1GW 규모(해송 1, 해송 3 각 504MW). 2023년 발전사업허가를 획득하고 2025년 6월 환경영향평가 최종 협의를 마무리했다. 전남 신안 지역의 녹색 일자리 창출과 지역사회 상생, 에너지 전환 및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CSR 활동
· 2022.11 호남·제주권 7개 대학과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산학협력 체결
· 2024.10 호남·제주권 7개 대학과 인재 양성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육 진행
· 2024.10 전남 신안군 흑산면 대둔도 일대 해양환경정화 활동(플로깅) 실시
· 2025.01 ‘2024 해상풍력 공유협업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개최
· 2025.04 전남도·국립목포대학교와 해상풍력 특화 인재 양성 위한 3자 MOU 체결
· 2025.05 신안군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약정(5년 간 1억 원)
5.2.4. 해울이해상풍력발전 1·2·3
울산 동쪽 해역에서 추진하는 총 1.5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2022년 발전사업허가를 모두 획득하고 2024년 7월 환경영향평가 최종 협의를 완료했다. 대한민국의 재생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환경콘서트·울산북구 밥상나눔 활동 등 지역 CSR도 병행한다.CSR 활동
· 2025.03 ‘제22회 태화강 국제마라톤대회’ 참여 및 지원
· 2025.05 목포문화방송㈜·국립목포대학교·신안우이해상풍력㈜·TUVSUD KOREA와 전남 지역 미래 성장 동력(재생에너지·AI 산업) 지원 위한 5자 협약 체결
· 2025.06 울주군 진하해수욕장 해양환경정화 활동(플로깅) 실시
· 2025.06 제26회 울산사랑 환경콘서트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 2025.09 제3회 ‘해울이해상풍력과 함께하는 울산바다’ 그림대회 및 시상식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