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물의 한 종류
화포(畵布)라고도 한다. 60수 면사로 짠 평직물 중 하나로 씨실과 날실을 한 올씩 교차하여 짠다. 주로 유화 등 그림을 그릴 때 사용되는 억센 직물. 곧 캔버스는 종이가 아니다. 튼튼한 직물을 요하는 돛, 천막, 캔버스백으로도 사용될 때가 있으며, 신발 같은 제품에도 활용되고 있다. 복엽기 시대에는 날개의 재료로도 쓰였다.범선시대에는 정말 별의 별 것에 다 썼는데, 이는 배의 적재량 때문에 여유로운 재료를 탑재하기 힘든 상황에서 캔버스는 돛의 여분으로 잔뜩 싣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재고가 많은 몇 안 되는 재료였고 질기기도 하여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돛은 당연한 것이고 옷이나 신발을 만드는 건 기본에, 해먹을 만들기도 하였고[1], 밧줄을 만들기도 하였으며 심지어 전투의 피해로 일어난 포탄 구멍을 때워 응급수리하는데 써먹기도 했다. 포탄 구멍이 흘수선 위에 났다면 그냥 때워버리면 그만이지만 흘수선 아래에 나버렸다면 이 구멍을 막기 위한 사투를 벌였다. 못 때우면 배가 침몰할 판이니까. 캔버스는 직물이기 때문에 물이 통과하는데 무슨 소용이냐 싶지만 캔버스를 잔뜩 겹쳐버리거나 역청같은 방수재로 방수처리를 한 다음에 때우면 적어도 수병들이 펌프로 빼내는 물보다는 적게 바닷물이 들어와 배의 생명연장이 가능하였다. 이 상태로 우호적인 항구나, 여의치않으면 근처 섬에 상륙해서 때워야 하였고 그때까지 펌프를 계속 돌려야 했다.
삼베로 만들었다는 뜻의 속라틴어인 "cannapaceus"에서 유래한 단어. 이는 그리스어인 cannabis(대마초)에서 유래하였다. 유래대로 처음에는 삼베로 만들었으나, 공업화 후에는 면, 리넨 등의 다른 재료로 만드는 것이 더 많다.
군용이나 화물트럭 카고형[2]에 쓰이는 방수 호로도 사실은 두껍게 만든 캔버스에다가 방수처리를 한 물건으로 만든 것이다. 호로라고 부르는 건 형태가 많이 다르지만 일본에서 유래된 것이다.
1.1. 회화용 캔버스
위의 캔버스 천을 나무틀에 박아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만든 것. 천 자체가 아니라면 보통 이걸 말한다. 그냥 그리기도 하나 표면이 거칠어서 보통 젯소칠을 해서 그린다.가격이 좀 나가는 탓에 직접 만들기도 하고 겉에 다른 물감을 칠하고 그 위에 그리는 등 재활용하기도 한다. 유명한 화가 중 빈센트 반 고흐가 특히 그렇게 많이 했는데, 가난한 탓에 위에 종이를 바르거나 뒷면에 그리는 등 캔버스 재활용을 많이 해서 이후 X레이로 검사하다가 그 밑에 숨긴 그림이 드러난 사례가 수십번 된다.※ 요즘엔 공익사업으로 폐품을 캔버스로 만들기도 한다.※
1.1.1. 역사
르네상스 시기까지 판자에 석회를 발라서 썼으나, 상업이 발달한 항구도시 베네치아에서 예술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그곳의 습한 환경은 종래의 재료에 위험하였고, 결국 구하기 쉬운 돛의 천을 나무틀에 박은 캔버스가 나온다. F, P, M형 등으로 분화되고 이어서 면천으로 된 것도 나왔다. 이후 기성품이 대량생산돼 화가가 직접 만들 필요가 없어지고, 원형 등 독특한 디자인도 나오면서 현재에 이른다.
1.1.2. 종류
- 틀 기준[3]
- 정틀(정왁구): 한옥 짓듯 나무틀을 제대로 짜거나 +자로 덧댄 등 튼튼하고 비싸다
- 가틀(가왁구): 각목끼리 타카핀을 박거나 해서 저렴하다.
- 알루미늄틀
- 재질 기준
- 가로세로 비율(아래로 갈수록 차이가 크다. )
- 정사각형의 S형
- 인물용인 F형
- 풍경용인 P형
- 바다풍경용인 M형
- 크기: 호 수가 클수록 크기가 크다.
2. 캔버스화
캔버스로 만든 신발을 의미. 자세한 내용은 캔버스화 참조.3. 학습 관리 시스템 Canva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anva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anva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F&C 사의 에로게
CANVAS 시리즈 항목 참조.CANVAS라고만 하면 이 시리즈의 첫 작품인 CANVAS ~세피아 색의 모티브~를 일컫기도 한다.
5. 음반
5.1. 뉴이스트의 음반 CANVAS(음반)
5.2. 준호의 음반 CANVAS(2017년 음반)
5.3. 레오(VIXX)의 음반 CANVAS(2018년 음반)
6. 갤럭시 노트20의 코드네임
7. 보드 게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캔버스(보드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캔버스(보드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일본의 작곡가
CANVAS라는 활동명을 가지고 있는 작곡가에 대한 문서를 찾으려면, RoughSketch 문서 참고.[1] 전투에 들어가면 해먹은 도선 방지망을 채우는데에 썼는데. 당연히 전투가 끝나면 걸레짝이 되어 못쓰게 되는 사례가 많았다.[2] 짐칸이 개방형이고 양 옆으로 사각 프레임에 철판을 댔으며, 때에 따라선 후면처럼 힌지가 달림으로써 열리기도 하는 높이 38–40 cm대의 측면난간과, 같은 구조에 무조건 힌지가 장착되어 아래로 제껴 열어 화물을 실을수 있는 후면난간을 장착한 화물차. 군용은 측면 난간에 구멍이 있고, 여기에 지붕지지대를 끼우고 캔버스 지붕을 씌울수 있다. 민간차량은 개조하여야 한다.[3] 크기가 클수록 내구성이 더 차이가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