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추나(推拿)는 1990년대 카이로프랙틱이 일부 한의사들을 통해 한국에 도입되며 만들어진 일종의 신조어로, 어원과는 관계 없이 현 시점에서는 카이로프랙틱과 사실상 같은 술기를 지칭한다. 미국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카이로프랙틱 자격이 인정되지 않아 대부분의 카이로프랙틱 요법은 한의사에 의해서 시술되고 있다.[1] 추나 요법은 카이로프랙틱 배드 위에서 손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자극을 가하며 이루어진다.2. 어원
추나(推拿)라는 단어가 처음 언급되는 문헌은 명대에 공운임(龔雲林, 1522~1619)이 1604년(만력 32년)에 지은 <소아추나비지(小兒推拿秘旨)>으로, '밀고 당긴다'는 뜻을 의미한다. 한편 중국의 전통 수기치료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청대에 나온 <의종금감(醫宗金鑑)>의 정골팔법(正骨八法)이다. 또한 일부 한의사들은 4000여년 전 태국의 고대 조각물에서 수기치료와 유사한 형상이 발견되는 것을 근거로 '추나'의 역사가 수천년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3. 역사
3.1. 기원
일부 한의사들은 '추나'가 1500년대부터 전해내려온 한국 전통의 수기요법이라 주장하나, 정작 "동양식 수기치료"에 관한 술기가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한의학 원전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늘날 한국에서 시술되고 있는 소위 "추나"는 1991년 자생한방병원의 신준식 원장이 미국에서 개인적으로 대체의학의 일종인 카이로프랙틱을 수련한 뒤 한국에 도입하며 시작된 것이다.현재까지 발견된 동양의학 문헌 중 '추나'와 연관성이 있는 수기치료에 관한 기록은 중국 사서에서만 등장한다.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에 개제된 2008년 논문에서는 '추나'의 연원을 황제내경에 등장하는 '도인안교'로 추측했으며, 이후에는 '안마'라고 지칭되다가 명대에 이르러서 처음으로 '추나'라는 단어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반면 한국에는 전통 수기치료에 관한 문헌적 근거가 뚜렷하지 않으며, 동의보감에 '도인' 및 '안마법'에 대한 기록이 일부 존재하기는 하나, 이는 1990년대부터 등장한 신준식의 '추나'와는 물론 중국식 수기요법과도 완전히 다르다고 한다.#
3.1.1. 신준식 자생한방병원 원장의 진술
한국에서 '추나'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하며 한국식 추나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신준식 원장은 자신이 추나를 창시한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즉 현재 시술되고 있는 '한국식 추나'를 처음 소개한 신준식 씨조차 추나의 근원이 카이로프랙틱, 정골요법 등의 서양 수기요법에 있음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별개로 자생한방병원 홈페이지에는 추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이 존재한다.
신준식 원장과 한의사 50여 명[3]이 일제강점기 정치적 박해를 받은 추나학파를 재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수기치료법들을 체계적으로 정립하면서 고전의 연구만으로 머무르지 않고 당시에 수기요법에 대하여 많이 연구하고 정리해놓은 미국의 카이로프랙터들과 교류하여 통하여 초기 기술체계를 확립했다.[4]
'자생한방병원' 홈페이지[5]
해당 주장은 역사적 사실과 불일치하는 측면이 커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한국에는 1980년대 후반까지 '추나'라는 개념이 도입된 역사 자체가 없으므로 '추나학파'가 있었다는 주장 자체부터 사실과는 멀다. 수십권에 달하는 한국의 전통 의서 중 추나를 포함한 수기치료를 다루고 있는 기록은 단 한줄도 없다. 기록 자체가 없는데 한국에 '추나학파'가 존재했다느니, 박해를 받았다느니 하는 주장 자체가 모순인 것이다.'자생한방병원' 홈페이지[5]
별개로 '추나학파'는 뒤로 하고 한의학 자체가 일제강점기에 박해받았다는 주장 또한 타당성이 떨어진다. 일제강점기 직후 총독부는 전통의학을 공부한 의원들에게 의사 면허를 발급하지 않고 "의생(醫生)"이라는 별도의 직역으로 분류한 바 있다. 사실 어느 국가의 정부라도 의과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에게 의사 면허를 발급하지는 않을 테니 어찌 보면 실로 당연한 조치였는데, 한의학계에서는 이를 "전통의학을 없앨 심산으로 조선의 전통의학 종사자들을 의생으로 격하시키고 더 이상 세력이 불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면허제도'를 도입했다"는 식으로 오도하고 있다. #
3.1.2. 한방 카이로프랙틱학회에서 추나학회로
신준식 씨는 추나의 시작을 본인이 결성한 '추나 협회'라 설명한다.(추나 협회는) 1991년도에 처음에 6명이 시작했다가 8명, 10명, 20명, 30명, 50... 학회를 만들었어요. (추나요법은) 모든 수기요법을 다 모은 거예요, 카이로프랙틱, 정골요법, 튜나요법[6]을 가져다가 한국사람 체형에 맞는 추나요법으로 다시 만든거예요.
신준식 원장, '자생한방병원' 유튜브#
그렇다면 이 추나 협회의 결성 과정은 어떠할까? 2021년 의료정책연구원의 조사에 따라 개제된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추나 협회 관련자의 인터뷰 내용이 나온다.#신준식 원장, '자생한방병원' 유튜브#
...그[7]의 증언에 따르면 민족의학신문사와 관계되는 한의사들이 1990년경부터 모여서 카이로프랙틱을 공부했다고 한다. 의사나 한의사는 아니지만 미국의 카이로프랙틱계와 연계해 한국의 의사와 한의사들에게 소개를 하던 양홍모[8]가 1991년 봄 Leander Eckard, D.C.의 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이 자리에는 신준식 등의 한의사들도 참석했다. 한의사들과 함께 카이로프랙틱 스터디를 하기로 논의하였으나 한의사들은 한의사들로만 구성된 단체를 결성하기로 결정했다. 1991년 후반기에 ‘한방 카이로프랙틱학회’이라는 이름으로 단체를 구성하려고 의견을 모았으나 양홍모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한방 고유의 이름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여 ‘추나학회’로 하였다고 하였다. 그 당시 추나학회를 설립한 멤버들은 그 후에 미국 Palmer College of Chiropractic을 졸업한 고 이정기선생의 300시간 과정 세미나를 이수하였다고 하였다.
요약하자면, 신준식 씨를 포함한 민족의학신문사[9] 관련 한의사들이 미국에서 양홍모, 이정기 씨를 비롯한 카이로프랙터와 함께 일종의 '스터디'를 가졌는데, 이 스터디가 '한방 카이로프랙틱학회'로 발전했고, 해당 스터디와 카이로프랙틱과의 연관성을 희석시키기 위해 '카이로프랙틱'이라는 단어 자체를 빼버렸다는 것이다. 물론 현재 신준식 원장은 추나와 카이로프랙틱 등 서양의 대체수기요법 간 연관성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신세대 한의사들은 창시자의 의사와는 관계 없이 카이로프랙틱의 이명에 불과한 추나를 전통 수기요법으로 둔갑시키는 역사공정에 앞장서고 있는 것이다.[10]3.1.3. 한국 한의학계의 추나에 대한 인식 변화
사실 한국 한의계에서 '추나'를 한국 고유의 전통요법으로써 홍보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으며, 불과 1990년대 중반까지도 각종 한방 학술지에서는 추나에 대해 카이로프랙틱 또는 중국 추나 관련 문헌을 위주로 해외 문헌을 고찰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국내 학술지에 게제된 최초의 추나 관련 논문은 1986년 "대한한의학회지"에 게제된 정규만, 조정관 저의 '소아천식의 추나(推拿)요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이다. 이 문헌에서 저자들은 중국에서 발표된 문헌을 조사해 소아천식과 관련해 추나 요법에 사용되는 혈자리를 소개했으며, 추나 요법이 '한국 고유의 전통의학'이라는 인식은 드러나지 않는다.[11]
두 번째 논문은 1992년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에 발표된 '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추나요법과 CHIROPRACTIC의 문헌적 고찰'으로, 해당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수기요법 중 추나요법이 있으며 그 개념이 서양에서 발전하고 있는 Chiropractic과 유사하기에 같이 비교 검토하는 바이다....(중략)... 추나요법은 청(淸)대 이후로 정체된 상태인 반면, 1900년대초 D.D. Palmer에 의해 개발된 카이로프랙틱은 발전하고 각광받고 있다....(중략)... (추나요법과 카이로프랙틱은 이론에 차이가 있지만) 근본목적인 인체의 생리・경락기능을 양수로써 원활하게 유동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점은 같다.
신민식 외. 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추나요법과 CHIROPRACTIC의 문헌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2;2(1) 127-140
해당 논문에서 역시 추나는 중국에서 근원한 수기요법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오늘날과 같은 민족주의적 인식은 드러나지 않는다.신민식 외. 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추나요법과 CHIROPRACTIC의 문헌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2;2(1) 127-140
놀랍게도 상술한 2개 논문을 포함해 2000년 이전까지 발행된 한방 '추나' 관련 논문은 넓게 잡아도 단 8편에 불과하며, 소개하지 않은 나머지 논문들은 아예 '추나'라는 단어 자체를 포함하지 않거나 모두 카이로프랙틱과 중국 추나를 비교분석한 논문들 뿐이다.
이러한 인식은 한의과대학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서도 드러나는데, 2000년 이전에 발행된 서적인 전국한의과대학 재활의학과교실 저의 '동의재활의학과학' (1995)을 보면 추나에 대해 아래와 같이 한국 고유의 수기요법은 전해지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도 수기요법에 있어서 대략 중국과 유사한 흐름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실제로는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고, 특히 6.25 이후 전쟁부상자들의 복지정책이 전무했을 당시 안마는 맹인에게만 시술자격읕 허가한다고 의료법에 명시한 이후 그 발전이 애우 미약한 실정이다.
...(중략)...
추나는 청대인 1889년에 간행된 厘正按摩要術에 “추나는 안마의 이명이다”라고 설명한 이래, 중국 수기요법의 대명사가 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매우 활발하게 시술되고 있다. 추나에서 이용되는 기법은 매우 종류가 많으나, 명칭은 같되 서로 다른 기법도 있고 같은 기법이 다른 명칭으로 명명되는 등 책에 따라 통일되어 있지 않다. 또한 2가지 혹은 그 이상의 기법을 복합적으로 시인 17종의 기법을 설명한다.
해당 서적에서는 중국과 서양의 수기요법에 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한국의 수기요법 역사에 관해서는 위에 인용한 서술이 전부이다. 국내 한방 교과서에서 '추나'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 것은 2015년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편의 '한방재활의학' 제4판이 시작으로, 이전까지 서양의 대체 수기요법으로써 서술되어있던 내용이 제목만 그대로 '추나'에 대한 내용으로 치환되어 있다. 물론 해당 서적에서 역시 "(한국에서) 직접적으로 추나요법을 언급한 전문서적은 찾아볼 수 없고..."라 언급하고 있기는 하다....(중략)...
추나는 청대인 1889년에 간행된 厘正按摩要術에 “추나는 안마의 이명이다”라고 설명한 이래, 중국 수기요법의 대명사가 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매우 활발하게 시술되고 있다. 추나에서 이용되는 기법은 매우 종류가 많으나, 명칭은 같되 서로 다른 기법도 있고 같은 기법이 다른 명칭으로 명명되는 등 책에 따라 통일되어 있지 않다. 또한 2가지 혹은 그 이상의 기법을 복합적으로 시인 17종의 기법을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한의학계가 추나를 비롯한 한방 수기요법에 관심을 가진 시기는 명백히 신준식 씨가 '한국추나의학회'를 결성한 1990년 전후이며, 한국 고유의 추나라는 개념을 내세우기 시작한 것은 그 뒤의 일이다.
3.2. 근황
현실적으로 현재까지 전해지는 추나의 원전은 대단히 제한되어 있기에 초기의 추나는 단순히 일개 병원의 한의사가 카이로프랙틱을 미국에서 배워와 용어만 대충 한자어로 바꾼 채 시술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1994년 보건사회부는 아예 추나요법이 카이로프랙틱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요법으로써 인정한 바 있다. 이러한 비판에 오늘날에는 대체의학의 일종인 정골의학의 술기를 카이로프랙틱과 결합해가며 추나만의 독자적인 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한다.물론 한국 의서에는 추나를 포함한 수기요법에 관한 언급이 전무하다는 사실, 추나의 임상 술기 역시 결국 여러 서양 수기요법을 짬뽕한 것에 불과하다는 태생적 한계가 있기에, 과연 오늘날의 추나를 '한의학'의 범주에서 시술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의문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
미심쩍은 시선은 뒤로 하고, 어쨌든 추나는 대전대 한의대 예과 과정을 시작으로 일부 한의대에서 교육되기 시작했다. 근래에 시작된 치료 방법이기 때문에 한의대에 따라 추나를 교과목으로 인정한 학교가 있고, 추나를 가르치지 않는 학교가 있으며, 추나를 '한의학'의 한 갈래로 인정하느냐의 여부도 관점에 따라 한의사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있다.
4. 카이로프랙터와의 갈등
추나를 시술하는 한의사들은 "추나는 인체의 구조적 불균형을 바로잡는 하나의 기술로서 카이로프랙틱 요법을 사용하는 것일 뿐, 진단과 치료 원리는 철저하게 한의학적 원칙을 따른다."고 주장하며, 추나는 카이로프랙틱을 배낀 것이 아니라 수렴 진화에 의해 같은 모습을 띠게 된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12] 하지만 오래 전부터 카이로프랙틱을 수련해 제한적으로 시술하던 물리치료사의 입장에서는, 결국 거시적으로 카이로프랙틱과 아무런 차이가 없는 수기를 이름만 바꿔 마치 원래부터 있었던 "전통 의학"인 양 가장하는 것은 카이로프랙터의 전문성을 훼손하고 업계 파이를 빼앗을 뿐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었다.미국에 유학하여 D.C.(doctor of chiropractic) 학위를 취득한 국내의 물리치료사나 해외 카이로프랙터들은 "미국에서는 6년에 걸친 수련을 거쳐야 시술할 수 있는 카이로프랙틱을 한국의 한의사들이 체계적인 수련 없이 야매로 시술하고 있다"며 위험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대한카이로프랙틱협회에서도 "몇몇 한의원에서 카이로프랙틱의 치료법을 전용해 '추나'라는 이름으로 수기치료를 하고 있다"며 카이로프랙틱을 이름만 바꿔 전통의학인 양 가장하는 한의학계의 행태를 비판하고 있다. #
5. 건강보험 적용 및 관련 논란
한의원에서 받을 수 있는 추나치료는 환자 한 명당 소요되는 시간이 긴 편이고, 시술하는 데에 시술자의 체력 소모도 큰 편이기에 비보험 치료법으로서 수가가 굉장히 비싼 편이었지만[13], 2016년 시범적으로 일부 한의원들의 신청을 받아 의료보험을 적용하였고, 2019년 4월 8일부터 모든 한의원에 적용된다.# 그리고 치료 자체가 물리치료사가 아닌 한의사가 직접 시행한다.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추나 요법 의료보험 적용에 반발하였다.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추나 요법을 건강보험 적용 대상에 포함한 보건복지부 결정을 무효로 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했으나 서울행정법원 제5부(재판장 박양준)는 소송을 각하하였다.#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병원 의사들로 이뤄진 단체이기 때문에 한의학에 포함된 추나 요법의 건강보험 적용에 대한 소송을 제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1] 한국에서는 의료법상 의료인만이 수기치료의 자격을 갖기 때문이다.[2] 추나의 중국어 독음[3] 후술하겠지만, '한방 카이로프랙틱학회'를 뜻하는 것이다.[4] 후술하겠지만, 초기의 '추나'는 용어만 뒤바꿔 놓았을 뿐 카이로프랙틱과 거시적으로 다른 술기가 전혀 없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차별성을 두기 위해 '추나'에 정골의학 등을 결합하고 있다고 한다.[5] 현재에는 해당 페이지에 들어가도 빈칸만 뜬다.[6] 추나의 중국어 독음[7] 미국에서 DC 학위를 취득한 카이로프렉터이자 정형외과 전문의로, '한방카이로프랙틱 스터디'의 주요 구성원이었던 인물. 2021년 기준 여전히 미국에서 클리닉을 운영 중이라 한다.[8] 양홍모 씨는 1990년대부터 한국에 카이로프랙틱을 도입하려 시도했던 인물이며, 현재에도 한국카이로프랙틱중앙회에서 지도부를 맡아 꾸준히 카이로프랙틱 홍보에 힘쓰고 있다.##[9] 국내에서 한방 홍보를 주력으로 하는 인터넷 신문사[10] 후술하였듯, 2000년대 이전에 한의사 면허를 취득한 기성 한의사들 중에는 '추나'를 한의학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믿는 사람들도 많다.[11] 상술했듯 중국의 원본 추나와 현재 한국에서 성행 중인 카이로프랙틱 원류의 추나와는 완전히 다르다.[12] 물론 상술했듯 추나가 카이로프랙틱을 그대로 수입해 이름만 바꾼 시술이라는 사실은 신원식씨의 발언은 물론 수많은 사료로부터도 검증된 진실이다. 그야말로 터무니없는 궤변.[13] 10시간 기준 150만원 전후로 매우 비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