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22:49:40

최용혁/선수 경력/2022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최용혁/선수 경력
파일:DWG KIA 엠블럼.svg
최용혁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1 시즌 2022 시즌 2023 시즌

1. 2021 LoL KeSPA Cup ULSAN

리브 샌박과의 8강에서 신짜오로 초반에 영리한 갱킹 설계로 2킬을 챙기고 성장을 바탕으로 게임을 일방적으로 이끌어 나갔고 한타 때마다 먼저 물리는데도 팀의 합류 때까지 버티는 좋은 활약을 선보이며 4강에 진출했다.

한화 생명과 의 4강에서 1세트 다이애나를 뽑아 풀배와 함께 야이애나 조합을 시도하였고 교전 시에 좋은 궁극기 활용으로 야이애나 조합을 잘 활용하는 활약을 보여주며 일방적으로 1세트를 따냈고 2세트 불리한 게임에서 상대 팀의 핵심인 아펠리오스를 집중마크하며 여러 번 짜르는 활약을 바탕으로 화공영혼까지 챙기지만 마지막 한타에서 성급하게 싸움을 열어버리며 포커싱이 갈렸고 그대로 쓸려버리며 화공영혼을 얻고도 패배하였다.

3세트에서는 초중반 불리한 상황에서 상대 비에고의 바텀 다이브 압박에 고생하기도 하였지만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라헬의 캐리와 더불어서 극적으로 게임을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하였다.

2. 2022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정규시즌 동안 리신, 자르반과 같이 초반부터 적극적인 갱킹형 정글러부터 비에고, 다이에나 같은 성장형 정글러까지 잘 다루면서 협곡을 휘저었다. 팀원과의 호흡도 좋고 빠른 합류를 통해 팀의 승리 공식을 만드는 정글러가 됐다.

특히 리신과 자르반을 잡았다하면 폼의 절정에 오르는데 리신으로 기가 막힌 플레이메이킹을 보여 시즌 중후반에 담원을 상대하는 팀들은 대부분 리신을 벤을 한다. 자르반 역시 빠른 합류와 기가 막힌 핑퐁&한타를 보여주면서 팀의 승리에 기여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패턴을 파악당했는지 상대하는 팀들이 리신과 자르반을 벤함으로써 담원의 플레이메이킹이 제한당하면서 팀이 부진의 늪에 빠진다. 팀이 기복이 심한 상태라 어떨 때는 폼 절정의 상태고 어떨 때는 폼이 기대 이하가 많이 나온다.

그래도 자르반은 벤픽에서 풀어주는 편도 있고 성장형 정글러도 잘 쓰기에 묵묵히 1인분 이상을 하고 팀원들도 시즌 후반이 되면서 폼을 찾는다.

플레이오프 2R KT전에서 자르반을 픽해 살짝 기복 있는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1세트에는 눈에 띄는 플레이를 하지 않았지만 2세트에는 자신의 자르반에 대한 존재감을 보여주었으며 3세트에는 그레이브즈를 픽했으나 1세트와 플레이가 거의 같았고 4세트 다시 자르반으로 존재감을 보여주었으며 5세트 비에고로 불리한 상황에도 살아남아 성장을 하면서 후반에 바론 한타에서 질 뻔 했으나 타나토스와 함께 꽤 오래 버티면서 이긴다. 그 후 한타에서도 이기면서 결승행 티켓을 잡는다.

결승 NS전에선 1세트 비에고로 빅토르 3인갱을 성공한 후 한타에서도 변신해가면서 장기전에 유리한 모습을 보이며 기선제압에 성공한다. 2세트 신짜오를 픽해 괜찮은 활약을 했고 이기는 상황이었지만 팀이 턴을 길게 쓰면서 상대한테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면서 아쉽게 진다. 3세트 다시 비에고로 문제없이 무난히 3용 챙기고 한타에서도 괜찮은 모습을 보이며 승리한다. 4세트 자르반을 픽해 초반부터 갱을 성공시키고 바론 한타때도 대활약을 한다. 결국 우승하면서 작년의 부진을 씻겨내린다.

3. 2022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리그 초반 우승팀 징크스로 인한 팀의 부진으로 1R 3승 6패로 매우 늦은 슬로우 스타터를 한다. 하지만 2R부터 천천히 발등에 불이 붙었는지 꼴찌에서 벗어나 5위로 안정권에 진입한다. 3라운드 첫 경기 KT전을 제외하고 8경기 연승을 하는 동안 주로 뽀삐를 픽해 날카로운 갱킹으로 주도권을 잡고 매번 궁극기로 상대 주요 인원을 날려보내는 미친 활약을 하며 3라운드 MVP에 선정되었다.

4.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같은 팀의 라헬과 같이 리그 오브 레전드 한국팀 대표로 선정되었다.#

1일차 첫경기 한일전에서 피에스타, 포톤과 좋은 합을 보여주며 그레이브즈로 10/1/6을 찍고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다음 경기인 한중전에서는 킨드레드를 뽑아 포톤과 함께 초중반 킬을 몰아먹으며 압승하나 했으나, 상대가 덜 약한 바텀을 집중 공략하면서 흐름이 바뀌고 바론을 2번이나 뺏기면서 역전패를 당했다.

다음날도 또 중국전에서는 역전패를 당했지만, 결승에서는 놀라운 캐리력을 보여주면서 난전 끝 한중 결승전 3:0 승리의 일등 공신이 되었다.

사실상 포톤과 더불어 대회 내내 독보적인 체급과 클러치 능력으로 팀의 원투펀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냈다. ASCI 당시 유일하게 LDL 정글러들에 박살나지 않고 역으로 캐리해본 CL 정글러답게, 올스타 진검승부에서 ASCI 우승 정글러인 EDGY의 Monki를 상대로도 자신의 클래스가 더 위에 있음을 증명했다.

하지만 2022년을 끝으로 LEC로 진출하는 포톤과 달리 05년생으로 엄청나게 어리지만 현재 소속팀이 윈나우를 노리고, 걸출한 정글러인 캐니언이 있는 담원이라는 점 때문에 타 팀 이적이 있지 않는 한 당분간 LCK에서는 못 볼 듯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