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23:14:02

체육교육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체육과
#!if 문서명2 != null
, [[체육교육과]]
#!if 문서명3 != null
, [[체육교사]]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체육과 교육과정 모형
2.1. 움직임 교육 모형2.2. 스포츠 교육 모형2.3. 체력 모형2.4. 발달 교육 모형2.5. 개인 의미 모형
3. 체육과 교수-학습 모형
3.1. 메츨러의 8가지 체육 수업 모형
3.1.1. 직접 교수 모형3.1.2. 개별화 수업 모형3.1.3. 협동 학습 모형3.1.4. 스포츠 교육 모형3.1.5. 동료 교수 모형3.1.6. 탐구 수업 모형3.1.7. 이해 중심 게임 수업 모형3.1.8.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지도 모형
3.2. 하나로 수업 모형3.3. 과제식 학습
4. 무스카 모스턴의 수업 스펙트럼5. 체육 수업 전략
5.1. 수업 지도 전략
5.1.1. 학습과제의 단계화5.1.2. 학습과제의 전달
5.1.2.1. 학습과제에 대한 설명5.1.2.2. 학습과제에 대한 시범5.1.2.3. 학습단서의 제공
5.1.3. 학습과제의 연습 및 수정
5.1.3.1. 학생의 과제 수행 관찰5.1.3.2. 피드백 제공5.1.3.3. 동기 유발
5.2. 수업 관리 전략
5.2.1. 루틴과 규칙5.2.2. 예방적 수업 관리 전략5.2.3. 비과제 행동 최소화 전략
5.3. 체육 수업의 흐름
5.3.1. 체육 수업 전5.3.2. 체육 수업 중5.3.3. 체육 수업 후
6. 체육과 평가

1. 개요

체육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한 이론이다.

2. 체육과 교육과정 모형

2.1. 움직임 교육 모형

2.2. 스포츠 교육 모형

2.3. 체력 모형

2.4. 발달 교육 모형

2.5. 개인 의미 모형

3. 체육과 교수-학습 모형

3.1. 메츨러의 8가지 체육 수업 모형

3.1.1. 직접 교수 모형

직접 교수 모형은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파생한 것으로 교사가 새로운 개념이나 기술을 설명하고, 학생은 교사의 지시에 따라 연습한다. 즉, '리더로서의 교사'를 의미한다. 학생들이 과제 연습에 높은 비율로 참여하도록 시간과 자원들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사는 시범과 설명의 방법으로 가르치며, 적극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야 한다.
  • 전시 과제 복습
  • 새로운 과제 제시
  • 초기 과제 연습
  • 피드백 및 교정 - 교정적 피드백
  • 독자적인 연습
  • 본시 학습 복습

3.1.2. 개별화 수업 모형

학생들이 선정된 학습 과제를 자신의 페이스에 따라 학습해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교사는 선정된 학습 과제들을 계열화하여 단원을 구성하고, 이를 매체 등 개별 학습지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학생들은 개별 학습지를 통해 과제에 대한 정보를 얻고 과제를 수행하며, 기준에 맞게 수행하게 되면 교사의 간섭 없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이처럼 학생들이 독립적인 학습자가 됨으로써 교사가 과제에 대한 정보 제시 시간을 절약하게 되고, 학생들과 교수-학습 상호작용을 증진 시킬 수 있다.
  • 학습 과제 제시
  • 학습 과제 및 정보 확인
  • 개별적인 학습 과제 수행 및 상호작용을 통한 개별화 지도
  • 학습 성공 확인 후 다음 과제로 이동
  • 수업 반성 및 차시 계획

3.1.3. 협동 학습 모형

3.1.4. 스포츠 교육 모형

3.1.5. 동료 교수 모형

3.1.6. 탐구 수업 모형

3.1.7. 이해 중심 게임 수업 모형

3.1.8.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지도 모형

3.2. 하나로 수업 모형

3.3. 과제식 학습

4. 무스카 모스턴의 수업 스펙트럼

  • 명령식 스타일: 교사의 독단적인 결정하며 학생은 수동적 위치이다.
  • 연습식 스타일: 학생은 독자적으로 연습하고 교사는 학생의 수행에 대한 피드백 제공한다.
  • 교류식 스타일: 짝과 함께 연습하며, 학습자는 상호 피드백을 제공한다.
  • 자검식 스타일: 학생 스스로에게 피드백한다.
  • 포함식 스타일: 스스로 과제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연습하며 학습과정을 점검한다.
  • 유도발견식 스타일: 교사의 연속된 질문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 수렴발견식 스타일: 문제의 해결점을 논리적 사고를 통해 도출한다.
  • 확장생산식 스타일: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해결점을 제시한다.
  • 자기 설계식 스타일: 스스로 과제를 설계, 계획, 실행한다.
  • 학생 주도식 스타일: 학습자가 학습 시작을 제안하고 설계, 실행, 평가한다.
  • 자기 학습식 스타일: 스스로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5. 체육 수업 전략

5.1. 수업 지도 전략

5.1.1. 학습과제의 단계화

  • 시작형 과제
  • 확장형 과제
  • 세련형 과제
  • 적용형 과제

5.1.2. 학습과제의 전달

5.1.2.1. 학습과제에 대한 설명
  • 인지 점검
  • 구두 점검
  • 이해력 점검
  • 수행 점검
5.1.2.2. 학습과제에 대한 시범
  • 시범을 보이는 위치
  • 전체 동작에서 부분 동작으로
  • 시범 속도
  • 구두적 초점 제시
5.1.2.3. 학습단서의 제공
학습단서(언어적 교수단서, 연상 단어)란 학습과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교사가 사용하는 단어나 문장을 말한다. 이러한 학습 단서는 학생들이 기억하기 쉬운 '심상'을 제공해준다.

학습단서를 제공할 때는 다음 세 가지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학생들의 연령이나 기능 수준에 적합해야 한다. 둘째, 학습과제의 특성에 최대한 적합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가능한 간단하고 명료하며 정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5.1.3. 학습과제의 연습 및 수정

5.1.3.1. 학생의 과제 수행 관찰
  • 과제 수행의 안전성
  • 과제 수행 여부
  • 학습 과제의 적절성(학급)
  • 학습 과제의 적절성(개인)
5.1.3.2. 피드백 제공
  • 소재에 따른 분류
    • 내재적 피드백
    • 외재적 피드백 - 결과 지식, 수행 지식
  • 기능에 따른 분류
    • 일반적 피드백
    • 구체적 피드백
    • 교정적 피드백
    • 긍정적 피드백
    • 부정적 피드백
5.1.3.3. 동기 유발
  • 동기 유발의 원리
    • 성공지향적인 학습과제의 제시
    • 내재적 동기 부여
    • 발달상의 적합성 고려
  • 동기 유발 기법
    • 선택권을 주며 가르치기
    • 과제 내 변형
    • 학습자-고안 활동

5.2. 수업 관리 전략

5.2.1. 루틴과 규칙

5.2.2. 예방적 수업 관리 전략

5.2.3. 비과제 행동 최소화 전략

5.3. 체육 수업의 흐름

5.3.1. 체육 수업 전

5.3.2. 체육 수업 중

5.3.3. 체육 수업 후

6. 체육과 평가

  • 실기 평가
  • 관찰법
  • 지필 검사
  • 동료 평가
  • 학습 일지(개인 일지)
  • 포트폴리오
  • 체크리스트
  • 평정 척도법
  • 루브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