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천칭자리 알파1·2 Zubenelgenubi | 베타성 주베넬샤말리 Zubeneschamali | 감마성 주베넬아크라브 Zubenelakrab | 델타성 주벤 엘라크리비 Zuben Elakribi | |
엡실론성 천칭자리 엡실론 ε Lib | 제타성 천칭자리 제타1· ζ Lib | 에타성 천칭자리 에타 η Lib | 세타성 천칭자리 세타 θ Lib | |
이오타성 천칭자리 이오타1·2 ι Lib | 카파성 천칭자리 카파 κ Lib | 람다성 천칭자리 람다 λ Lib | 뮤성 천칭자리 뮤 μ Lib | |
누성 천칭자리 누 ν Lib | 크시성 천칭자리 크시1·2 ξ Lib | 오미크론성 천칭자리 오미크론 ο Lib | 시그마성 브라치움 Brachium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천칭자리 1 | 천칭자리 2 | 천칭자리 3 | 천칭자리 4 | |
천칭자리 5 | 천칭자리 6 | 천칭자리 7 | 천칭자리 8 | |
그 외 천칭자리에 속한 항성 | ||||
글리제 581 | - | -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천칭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천칭자리의 항성 바이어 명명법 | ||||
β Lib 천칭자리의 B형 주계열성 | ← | γ Lib 천칭자리의 이중성 | → | δ Lib 천칭자리의 B형 주계열성 |
γ Lib 주베넬아크라브 Zubenelakrab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5h 35m 31.58s |
적위 | −14° 47′ 22.33″ | |
별자리 | 천칭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황색거성 | |
분광형 | G8.5 III | |
거리 | 163 ± 2 광년 50.0 ± 0.5 파섹 | |
반지름 | 11.14 R⊙ | |
질량 | 1.15 M⊙ | |
평균 온도 | 4826 ± 48 K | |
나이 | 4,310,000,000년 | |
운동 | 시선속도 | −26.71 km/s km/s |
자전 속도 | 1.60 km/s km/s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3.91 | |
절대 등급 | −1.59 | |
광도 | 72 L⊙ | |
명칭 | ||
주베넬아크라비, γ Lib, 천칭자리 감마, 38 Lib, BD−14° 4237, FK5 577, HD 138905, HIP 76333, HR 5787, SAO 159370, WDS J15355-1447A |
1. 개요
주베넬아크라브 / γ Lib천칭자리에 위치한 이중성[1].
2. 외계행성
주베넬아크라브에서 외계행성 2개가 발견되었다. 만약 이곳에서 태양을 바라본다면 황소자리의 람다성 근처에서 겉보기 등급을 8.32로 가진 채로 어둡게 빛나고 있을 것이다. 당연하게도, 맨눈으로는 볼 수 없으므로 최소한 소형 쌍안경으로 관측해야 겨우 볼 수 있다.골디락스 존 내에서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단 한개도 없으며[2], 전부 목성형 행성이라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은 극히 드물다.
2.1. 주베넬아크라브 b
γ Lib b 주베넬아크라브 b Zubenelakrab b | ||
<nopad>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목성형 행성 | |
공전 거리 | 1.319 AU | |
공전 주기 | 414.9일 | |
이심률 | 0.16 | |
질량 | 1.126 MJ 질량 | |
반지름 | 1.22 RJ 반경 |
2.2. 주베넬아크라브 c
γ Lib b 주베넬아크라브 c Zubenelakrab c | ||
<nopad>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목성형 행성 | |
공전 거리 | 2.318 AU | |
공전 주기 | 2.6년 | |
이심률 | 0.07 | |
질량 | 5.231 MJ 질량 | |
반지름 | 1.14 RJ 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