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4:30:03

진화하는 무한/비숍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진화하는 무한
월즈 비욘드 카드팩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본 카드
파일:전설의 개막 로고.png 파일:진화하는 무한 로고.png 파일:재앙의 계승자 로고.png
[[전설의 개막|
제1탄

전설의 개막
2025.06]]
[[진화하는 무한|
제2탄

진화하는 무한
2025.07]]
[[재앙의 계승자|
제3탄

재앙의 계승자
2025.08]]
}}}}}}}}} [[창공의 육룡|
제4탄

창공의 육룡
2025.10]]

진화하는 무한 카드 일람
파일:섀버wb 엘프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로얄 아이콘.svg 파일:섀버wb 위치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드래곤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나이트메어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비숍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네메시스 아이콘.svg 파일:섀버wb 중립 아이콘.svg

1. 추종자
1.1. 2코스트
1.1.1. 악의의 신탁 다무즈
1.2. 3코스트
1.2.1. 분쇄의 성직자1.2.2. 탄막의 엑소시스트 코렛
1.3. 5코스트
1.3.1. 속단의 서슬 아니에스1.3.2. 결벽의 심판자
1.4. 6코스트
1.4.1. 통곡의 성기사 윌버트
1.4.1.1. 신의 기병
1.5. 7코스트
1.5.1. 하늘의 수호신 아이테르
1.5.1.1. 어나더 일러
2. 주문
2.1. 1코스트
2.1.1. 디바인 가드
2.2. 2코스트
2.2.1. 광기의 은총
3. 마법진
3.1. 2코스트
3.1.1. 빛의 향로


1. 추종자

1.1. 2코스트

1.1.1. 악의의 신탁 다무즈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f219ac0123e4b15a630ad9568e41483.png,
카드명=악의의 신탁 다무즈,
일어명=マリスオラクル・ダムス,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비숍,
CV= 모리쿠보 쇼타로,
일러스트레이터= Rin)]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상대방 전장에서 추종자 1장을 선택한다. 그 추종자는 「내 턴 종료시, 이 추종자를 파괴」를 갖는다.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재앙이 다가오고 있다!(災いが迫っているぞ!)
공격: 믿어라!(信じろ!)
진화: 그야 당연히 함정이지!(罠に決まってるだろ!)
초진화: 이것이 너의 말로!(これがお前の末路!)
파괴: 뭐라고오―...!(何だとぉー…!!)
전형적인 자리 채우기용 브론즈 카드다. 상대가 능력의 대상이 된 추종자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얌전하게 턴을 종료해줘야 이득을 보는 카드인데 나이트메어는 능력의 대상이 된 추종자를 드로우나 1파괴로 바꿔먹을 수 있고, 그 외의 직업들도 정리용으로 소모하면 된다. 심지어 초진화한 카드는 자신의 턴에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카드를 제거한다는 보장도 없다.

1.2. 3코스트

1.2.1. 분쇄의 성직자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8d0521de22fe4a078493d4f7fdfb619a.png,
카드명=분쇄의 성직자,
일어명=粉砕の聖職者,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비숍,
CV= 나카무라 에리코,
일러스트레이터=-)]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수호]
[진화시] 상대방 전장에서 초진화후인 추종자 1장을 선택한다. 그 추종자를 파괴.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사악한 근성은 두들겨주겠어요!(邪悪な性根は叩きますわ!)
공격: 갑니다!(いきますわ!)
진화: 두들겨서 펴주면 착한 사람으로!(叩いて、伸ばせば、善人に!)
초진화: 흠씬 두들겨 고치겠어요!(メッタメタに叩き直しますわ!)
파괴: 더욱 두들겨야 해!(もっと叩かないと!)
여러가지 부가 효과를 받았음에도 2/4 수호라는, 스탯 패널티가 전혀 없는 고효율 추종자. 3턴에 칼같이 낸다면 최소 2코스트 이상의 제압기를 쓰거나 비슷한 비용의 추종자로 박치기를 하는 수밖에 없어, 초반 버티기에 있어 훌륭한 성능을 뽐낸다.

또한, 3코스트라는 점에서 아이테르의 출격 효과로 튀어나온다. 이 경우 아이테르의 초진화 효과를 받을시 2/6, 추가로 윌버트의 크레스트까지 있다면 3/8 수호 오라라는 괴악한 스탯의 추종자가 완성된다.

1.2.2. 탄막의 엑소시스트 코렛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4aebf468a6a34853b97da23c01945855.png,
카드명=탄막의 엑소시스트 코렛,
일어명=バラージエクソシスト・コレット,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비숍,
CV= 타나베 루이,
일러스트레이터= liiko)]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중 무작위로 1장에게 2 피해」를 1회 발동. 내 전장의 마법진 수가 2 이상이라면, 1회 대신 2회.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일단 갈기면 맞을 테니까!(撃ちまくれば当たるはず!)
공격: 맞아라!(当たって!)
진화: 반드시 개심시키겠어요!(改心させてみせます!)
초진화: 참회는 나중에 듣겠어요!(懺悔は後で聞きます!)
파괴: 또 빗나갔다고오...!?(また外したぁっ…!?)

1.3. 5코스트

1.3.1. 속단의 서슬 아니에스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7c87489f18b04048a0d9da9c926a1538.png,
카드명=속단의 서슬 아니에스,
일어명=速断の刃・アニエス,
레어도=골드,
타입=-,
클래스=비숍,
CV=아사카와 유우,
일러스트레이터=-)]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질주]
[공격시] 내 전장의 마법진 수가 2 이상이라면, 교전 상대가 아닌 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중 무작위로 1장을 파괴.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적이려나, 적이 아니려나?(敵かなあ、それとも違うかな?)
공격: 발도!(抜刀!)
진화: 너무 베었나... 에이, 모르겠다!(斬り過ぎたかな… わからないや!)
초진화: 살의가 나를 살아가게 해.(殺意が私を生かしてる。)
파괴: 착각했나 봐.(違ったみたい。)
'마음 학살자 피아' 조우: 드디어 만났다... 피아...(やっと逢えた… フィア…)
전작에서 복수의 하얀 서슬 아니에스로 등장했던 아니에스의 비욘드판.
질주 능력이 있는 것만 봐도 의도를 쉽게 알 수 있겠지만, 리더를 공격해도 능력이 발동한다.

1.3.2. 결벽의 심판자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f503657fedc94915889d871106124d75.png,
카드명=결벽의 심판자,
일어명=潔癖の審判者,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비숍,
CV= 카시이 쇼토,
일러스트레이터= Saika)]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상대방 전장에서 추종자 1장을 선택한다. 그 추종자를 소멸.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너의 죄를 재정하겠다.(お前の罪を裁定する。)
공격: 심판을.(審判を。)
진화: 부정함은 곧 사형.(穢らわしきは死刑。)
초진화: 판결을 내리겠다.(判決を下す。)
파괴: 죄를 거듭하는가.(罪を重ねるか。)

출격으로 상대 추종자 하나를 소멸시키는, 오딘의 열화판 효과를 가졌다.
일반적으로는 추종자 처리는 파괴면 충분하고, 사교의 잔이 있는 비숍이 정리가 모자랄 일도 없어서 애매한 위치.
다만 소멸을 늘려서 수호비숍 미러전을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고, 위치나 나이트메어 상대로도 추종자 소멸이 일정부분 이득을 가져다주기에 취향픽정도의 입지는 갖고 있다.

1.4. 6코스트

1.4.1. 통곡의 성기사 윌버트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226a6e7ca7184d4fbb2e05e0c73d0d5c.png,
카드명=통곡의 성기사 윌버트,
일어명=嗚咽の聖騎士・ウィルバート,
타입=-,
레어도=레전드,
클래스=비숍,
CV=우치야마 코우키,
일러스트레이터=Mikeboshi)]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수호]
[유언] "신의 기병" 2장을 내 전장에 소환.
[진화시] 나는 「크레스트: 통곡의 성기사 윌버트」 를 갖는다.
크레스트 : [수호]를 가진 내 추종자가 전장에 소환되었을 때, 그 추종자는 +1/+2.
}}}
<colcolor=#555>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구원은 없다... 내게도... 그 누구에게도...(救えはしない… 俺も…誰も…)
공격: 소용없다.(無駄だ。)
진화: 오지 마라.(来るな。)
초진화: 닿지 않는다.(届かない。)
파괴: 계속해서 짊어진다...(背負い続ける…)
전작 궁극의 결투장팩에서 비숍 진영 전사였던 윌버트의 비욘드판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수호 추종자를 지원하는 컨셉으로 출시되었다. 전작에서는 원본과 리메이크본 모두 상대 리더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였는데, 이번에는 필드 버프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진화시에는 「크레스트: 통곡의 성기사 윌버트」를 부여한다. 해당 크레스트는 수호 추종자가 소환될 때 +1/2의 스탯 버프를 상시로 거는 효과를 지녔다.

유언 효과로 '1/2 수호' 스펙의 '신의 기사'를 두 체 소환한다. 윌버트는 보통 진화 포인트를 소모하기 때문에 대부분 '2/4 수호'를 생성한다고 보면 된다.

유언 효과라는 특성상 광역기에 어느 정도 면역성을 가지고 있으며, 덕분에 강력한 명치 억제력을 보유하고 있다. 광역기로 필드를 정리하고 명치를 공격하려 해도 다시 등장하는 체력 4의 수호 추종자 두 마리는 6~7턴 타이밍에 처리하기 상당히 까다롭기 때문. 문제는 한 마리라도 생존하면 그 즉시 다음 턴에 아이테르, 혹은 후공 PP 부스트를 통해 잔 다르크가 등장한다는 점인데,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통곡의 벽'을 경험하게 된다. 여러모로 최적화된 네이밍. 선공개 당시에도 강력한 카드라고 평가받았고, 출시 후에도 수호비숍의 허리로서 기능하는 중이다.

당연하게도 유언을 가뿐하게 증발시키는 소멸에는 상극인데, 하필 같은 팩에 중립 추종자로, 윌버트와 비슷한 타이밍에 나올 수 있는 범용 소멸 질주 추종자인 오딘이 나와서 수호비숍 매치에서는 상대 손에 오딘이 있는지 없는지 눈치 싸움이 하루종일 벌어지곤 한다. 하필 오딘이 무한팩 기준 매우 높은 범용성으로 별의별 덱에 다 들어가는지라 오딘 없는 매치도 거의 없어서 더더욱. 후공에 한해서 엑스트라 PP를 5턴에 소모하여 오딘각을 주지 않을 수 있지만, 상대가 초반에 추종자를 대거 깔아놓는다면 4턴 사레파와 고민해야할 것이다.
1.4.1.1. 신의 기병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931a5cc4b104c1aa534d90602ce3e6c.png,
카드명=신의 기병,
일어명=聖騎兵,
타입=-,
레어도=레전드,
클래스=비숍,
CV=-,
일러스트레이터=Budi)]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수호] }}}
<colcolor=#555>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윌버트가 진화했다면, 크레스트 효과를 받기에 실질적인 스탯은 2/4.

필드에 곧바로 소환되는 토큰이라 별 의미는 없지만 스켈레톤이나 기사처럼 전작에 비해 비용이 1 감소했다.

1.5. 7코스트

1.5.1. 하늘의 수호신 아이테르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70c8e78f16a743939689018f680fa6d8.png,
카드명=하늘의 수호신 아이테르,
일어명=天の守護神・アイテール,
레어도=레전드,
타입=-,
클래스=비숍,
CV=고토 사오리,
일러스트레이터=ameya)]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내 덱에서 비용이 3 이하인 추종자 중 무작위로 3종류를 내 전장에 소환.
[수호]
[초진화시] 내 전장의 다른 추종자 모두는 +0/+2 및 [오라]를 갖는다.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하늘의 아이테르, 이곳에 있으니.(天のアイテール、ここにあり。)
공격: 그렇겐 못 합니다!(させません!)
진화: 평화를 깨도록 두지는 않습니다!(平和は、壊させません!)
초진화: 하늘의 인도는 영원히 끊기지 않으리니.(天の導き、永久絶えず。)
파괴: 힘이 닿지 못하고...(力及ばず…)
'대지의 수호신 미베' 조우: 적어도... 마지막에는 안식을...(せめて… 最後にやすらぎを… )
'물의 수호신 사레파' 조우: 휴식은 적당히 하셔야 되요?(休息はほどほどに、ですよ?)
전작에서도 등장했던 아이테르의 비욘드 버전. 그중에서도 하얀 날개의 수호신 아이테르를 계승한 듯한 카드다.

새롭게 지원 받은 비숍의 필드 전개 카드로, 출격 시 비용 3 이하인 추종자를 3체 소환한다. 덱 구성상 수호 추종자가 등장할 확률이 매우 높다.

아이테르의 강점은 압도적인 필드 전개력과 강력한 이지선다에 있다. 특히 초진화 시 다른[1] 모든 아군에게 오라 및 +0/2를 부여한다는 점이 핵심인데, 체력 펌핑과 더불어 상호작용이 필요한 제압기를 모두 봉인해버리는 덕에 필드 생존률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 이후 아이테르와 딸려온 추종자를 하나라도 정리하지 못하면 잔 다르크가 튀어나와 필드를 날려버림과 동시에 +2/4 버프가 발라지는 것은 덤.

아이테르가 전개한 필드를 정리하려면 대상 비지정 광역기를 사용하거나 상응하는 화력으로 밀어버려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전자가 쉬운 길이지만, 여러 사정이 있어 후자를 택해야하는 경우 아이테르의 +0/2와 윌버트의 +1/2가 발린 필드를 뚫어야 한다는 소리이므로 그야말로 지옥을 경험하게 된다.

윌버트의 크레스트와 아이테르 초진화 버프를 모두 합산한 수호 추종자의 스탯은 다음과 같다. 윌버트를 내지 못했다면 해당 스탯에서 -1/2를 하면 된다.

2코스트
3코스트
보다시피 체력이 끔찍하게 높은데 여기에 오라까지 발린다. 서술했듯 비지정 광역기가 없으면 승패가 갈릴 정도의 이지선다를 강요받기에, 선공개 당시에는 '이딴 카드가 벌써 나오냐'라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오죽하면 아이테르 전개를 뚫을 수 있으냐 없느냐로 메타와 티어가 나뉜다는 소리가 나올 정도.

출시 후에는 예상대로 어그로 덱과 미드레인지 덱 상대로 깡패짓을 하는 중. 하지만 고질적인 드로우 문제와 확정 피니셔의 부재로 인해, 장기전에 극강세를 보이는 위치와 드래곤[4]에게는 여전히 약한 모습을 보인다. 결국 최약체 취급인 램프 드래곤 상대로는 이기기는커녕 카운터당할 가능성이 꽤 높고, 뒷심이 강한 미드레인지(유사 컨트롤) 나이트메어나 로얄 상대로 확실한 우위를 점하지도 못하는 데다가,[5] 결정적으로 다시 메타 1티어권에 복귀한 주문증폭 위치 상대로는 극단적으로 불리한 상성이라는 단점들 때문에, 팩 출시 직후와 달리 메타에서 완전히 증발해버렸다. 아이테르 자체는 강력한 카드가 맞지만, 메타가 수호 비숍한테 이롭지 못해 몰락한 것.
1.5.1.1. 어나더 일러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b6460d459f0b40fcbd6d11ba47946b24.png,
카드명=하늘의 수호신 아이테르,
일어명=天の守護神・アイテール,
레어도=카드 스타일,
타입=-,
클래스=비숍,
CV=고토 사오리,
일러스트레이터=ameya)]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내 덱에서 비용이 3 이하인 추종자 중 무작위로 3종류를 내 전장에 소환.
[수호]
[초진화시] 내 전장의 다른 추종자 모두는 +0/+2 및 [오라]를 갖는다.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이 하늘은, 하얀 날개의 비호 아래.(この空は、白翼の庇護下。)
공격: 더이상은!(これ以上は!)
진화: 이 하얀 날개로!(この白翼で!)
초진화: 동요를 끊어내겠습니다!(迷いを断ちます!)
파괴: 어쩜 이런 일이...(こんなことが…)

2. 주문

2.1. 1코스트

2.1.1. 디바인 가드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08a2a46f0924d35824ea851fc58b918.png,
카드명=디바인 가드,
일어명=ディバインガード,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비숍,
CV= -,
일러스트레이터= Saika)]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내 전장에서 [수호]를 가진 추종자 1장을 선택한다. 그 추종자는 +0/+1. 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중 무작위로 1장에게 X 피해. X는 선택한 추종자의 체력.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수호비숍에서 필수로 채용 중. 초중후반 가릴 것 없이 진화 없이는 상대 필드 개입에 어려움이 있는 수호비숍의 약점을 잘 해소해주는 카드이다. 특히 극후반 진포가 모두 빠진 상황에서 대활약을 한다.

2.2. 2코스트

2.2.1. 광기의 은총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000060840.png,
카드명=광기의 은총,
일어명=狂おしき恩寵,
레어도=골드,
타입=-,
클래스=비숍,
CV=츠네마츠 아유미,
일러스트레이터=Akefumi)]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내 리더를 10 회복. 나는 「크레스트: 광기의 은총」을 갖는다.

크레스트: [카운트다운 2]
[유언] 내 리더에게 10 피해.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나를 미치게 해...!(私を狂わせる…!)
라미나

2코스트로 체력을 10이나 회복하는 대신 2턴 뒤에 10데미지가 들어온다. 크레스트를 다시 부여해도 중복으로 추가되진 않기 때문에, 이 카드를 사용하고 곧바로 다시 한 번 사용하거나 그 다음 턴에 또 사용할 경우, 4코 20힐 10데미지가 된다. 물론 20데미지로 자살만 안된다 뿐이지 20힐 10피해를 받아도 내 명치 절반을 까는건 마찬가지라 똑같이 실전성은 전무하다. 참고로 크레스트가 중복되지 않는 거지, 다시 사용한다고 카운트가 2로 갱신되는 게 아니다. 즉 카운트다운 1때 은총을 써도 다시 카운트다운이 2가 되지 않는다.

카드 포텐셜 자체는 낮지 않아서, 자신의 받는 피해를 1회 무효화한다거나, 후술할 5크레스트일때 사용하는 방식 등으로 크레스트를 지운다거나, 또는 구작의 라피스처럼 카드 사용 후 2턴 이내에 확실히 승리할 수단을 갖출 수만 있다면 노리스크 2코 10힐이라는 전무후무한 카드가 된다.
  • 출시 시점
    2팩 출시 시점까지는 진화하는 무한 팩 최흉의 함정 카드로 악명이 높았다. 10데미지가 그나마 부담이 덜한 초중반에는 10힐이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고, 거덜난 명치를 보호하기 위해 10회복이 필요한 시점이 오면 어차피 2턴 뒤에 10데미지가 다시 들어와서 셀프 킬각이 잡히는게 굉장한 압박으로 다가온다. 그렇다고 10힐로 2턴을 벌어서 그 안에 턴킬을 내기에는, 수호 비숍 자체가 원턴킬을 내는 직업군이 아니다.

    보통 이런류의 힐과 자해가 동시에 붙은 카드는 전통적으로 자해를 먼저 하고 그 뒤에 힐이 따라오는 식으로 선금을 내고 더 큰 리턴을 땡기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형태[6]인데, 이 카드는 정반대로 출시되었다. 심지어 힐량과 자해량이 똑같아서 최종적으로는 최대 효율이 동체력 교환, 심지어 내 체력이 11이상이라면 회복량보다 자해량이 더 큰 이뭐병스러운 카드로 전락하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 골드 2코스트: 아무것도 안함 이라며 조롱받았다.
  • 재앙의 계승자 출시 후
    그리고 3탄 재앙의 계승자의 크레스트 비숍에서 이 카드의 활용법이 등장했다. 게임 시스템상 크레스트는 최대 5개까지며 6번째의 크레스트는 얻을 수 없는 점을 이용하여, 크레스트 5개를 꽉 채운 뒤 이 카드를 사용하여 광기의 은총 크레스트 자체를 생략하고 10힐만 누리는 식으로 크레스트 비숍에서 사용되고 있다. 조건이 붙지만 2코스트 10회복이라는 전무후무한 상황을 실제로 만들 수 있게 된 셈이다.

    이 활용법의 추가로 비숍 상대로 미리 체력을 깎아두는 행동은 의미가 완전히 사라졌으며, 이로인해 기존의 필드전 대신 벽덱, OTK덱이 메타에서 자리를 잡게된 강력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러스트에는 월광의 알 미라지가 나와 있다.

3. 마법진

3.1. 2코스트

3.1.1. 빛의 향로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25857ba2b1b64a499ff23c623663f3e3.png,
카드명=빛의 향로,
일어명=光の香炉,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비숍,
CV= -,
일러스트레이터=-)]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비용 1 [활성화] 이 마법진을 파괴. 내 리더를 4 회복.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사실상 3코스트 4힐 카드지만, 마법진으로 2코스트를 내고 활성화 1코스트로 사용하게끔 분배되어 있어 PP 유동성이 강점이다. 적당히 남는 코스트로 깔아 뒀다가, 마찬가지로 적당히 남는 코스트로 체력을 채울 수 있고, 그렇다고 급할 때 3코스트로 즉발 사용이 안되는 것도 아닌지라 딱히 분배로 생기는 리스크도 없다. 힐이 필요하다면 우선적으로 채용할 만한 카드.
또한 카운트다운 없는 가벼운 마법진이라, 마법진을 요구하는 추종자들을 사용할때도 채용한다. 금밀의 성지가 장기적으로 좋은 밸류를 보여주지만, 이쪽은 스스로 필드를 비울 수 있다는게 장점.
[1] 아이테르 본인은 효과를 받지 못한다.[2] 출격시 강화 효과를 받지 못한다. 직접 소환시 3/9.[3] 베리어를 가지고 있다.[4] PP 펌핑을 하는 램프 드래곤 한정.[5] 특히 로얄은 칼같이 윌버트+아이테르를 해 필드를 먹으면 상대적으로 할만하나, 후반으로 가면 기르다리아 때문에 답도 없고, 나이트메어는 한 번에 추종자 3체를 날려버리는 메두사와 그 이상도 잡을 수 있는 무칸도 있어, 저런 템포 플레이를 해도 막힐 가능성이 꽤 높은 데다가, 후반으로 가면 긴세츠&유즈키가 필드를 쉽게 날려버려 더 극단적인 상성이다.[6] 전작까지 가면 이런 류의 카드는 정말 흔하게 찾아볼 수 있고, 이번작에서도 나이트메어의 2코 3/3 추종자 '나이트메어 베리'가 출격 3자해 후 진화시 5회복이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