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3 10:23:13

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20206, #c40308 20%, #c40308 80%, #920206); color: #d3ae3b;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몬테네그로 공국|
공국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보조 페트로비치네고시 라자르 미유슈코비치 마르코 라둘코비치 안드리야 라도비치
제5대
라자르 토마노비치
[[몬테네그로 왕국|
왕국
]]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라자르 토마노비치 미타르 마르티노비치 얀코 부코티치 밀로 마타노비치
(제2대)
라자르 미유슈코비치
[[몬테네그로 망명정부|
망명정부
]]
(제2대) (제4대) (제8대) 제9대
라자르 미유슈코비치 안드라야 라도비치 밀로 마타노비치 에브게니예 포포비치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0대)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요반 플라메나츠 밀루틴 부치니치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사회주의 공화국
]]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블라조 요바노비치 필리프 바이코비치 조르지예 파이코비치 베셀린 주라노비치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미유슈코 시발리치 비도예 자르코비치 자르코 불라이치 마르코 오를란디치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몸칠로 체모비치 라디보예 브라요비치 부코 부카디노비치 라도예 콘티치
[[몬테네그로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내 공화국
]]
제25대 제26대 (제25대)
밀로 주카노비치 필리프 부야노비치 밀로 주카노비치
[[몬테네그로 |
공화국
]]
(제25대) 제27대 (제25대) 제28대
밀로 주카노비치 젤코 슈투라노비치 밀로 주카노비치 이고르 룩시치
(제25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밀로 주카노비치 두슈코 마르코비치 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 드리탄 아바조비치
제32대
밀로이코 스파이치 }}}}}}}}}
몬테네그로 제6대 총리
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
Zdravko Krivokapić
출생 1958년 9월 2일 ([age(1958-09-02)]세)
유고슬라비아 FPR 몬테네그로 SR 닉시치
재임기간 제6대 총리
2020년 12월 4일 ~ 2022년 4월 28일
최종 당적 기독교민주운동
종교 세르비아 정교회
학력 몬테네그로 대학교
베오그라드 대학교

1. 개요2. 생애

1. 개요

몬테네그로의 학자이자 전 총리.

2. 생애

1958년 닉시치에서 태어났으며, 1976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에 입당했다. 몬테네그로 대학교와 베오그라드 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다.

2019년 사회민주당(DPS) 정권의 종교법 개정안에 대한 세르비아 정교회 사제들의 반대시위에 참여하며 시위를 강력히 지지했으며, 이때 "우리는 몬테네그로를 포기하지 않겠다"(NDCG)라는 이름의 비정부 기구를 설립했다. 이후 2020년 몬테네그로 의회 선거를 앞두고 민주전선, 사회주의인민당, 인민운동 등이 선거연합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하여"(ZBCG)를 결성하자 크리보카피치는 여기에 가입했다.

2020년 총선에서는 정권심판론에 힘입어 ZBCG가 선거에서 승리했고 12월, 평화는 우리의 나라(MNN), 시민 플랫폼 "흑백"(CnB) 등과 함께 내각을 구성하여 총리가 되었다. 크리보카피치는 연설에서 유럽연합 가입 절차를 계속할 것을 밝혔다. 하지만 총선에서 승리한 야권연합은 이념이 서로 매우 달랐는데, 친세르비아 성향의 세르비아 신민주당(NSD), 민주인민당(DNP)과 친서방 성향의 다른 정당들 간의 노선 대립이 결정적이었다. 또한 크리보카피치는 정통 정치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기술관료들을 장관으로 임명하여 내각의 전문성을 확보하려고 했지만 이 또한 반발을 샀다.

내각의 내홍은 2022년까지 이어지다가 결국 2월, 당시 부총리인 드리탄 아바조비치가 연립내각에서 이탈하고 크리보카피치에 대한 내각불신임결의가 상정되었다. 내각불신임안 투표 결과, 찬성 43표, 반대 36표로 불신임안이 가결되면서 총리직에서 물러나게 되었으며, 아바조비치가 4월 28일 후임 총리로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