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19 14:33:23

조선말규범집(북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중국 조선어의 공식 어문 규범}}}에 대한 내용은 [[조선말규범집(중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선말규범집(중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선말규범집(중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중국 조선어의 공식 어문 규범: }}}[[조선말규범집(중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선말규범집(중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선말규범집(중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맞춤법3. 띄여쓰기규정
3.1. 총칙3.2. 본문
4. 문장부호법5. 문화어발음법
5.1. 총칙5.2. 제1장. 모음의 발음5.3. 제2장. 첫소리자음의 발음5.4. 제3장. 받침자모와 관련한 발음5.5. 제4장. 받침의 이어내기현상과 관련한 발음5.6. 제5장. 받침의 끊어내기현상과 관련한 발음5.7. 제6장. 된소리현상과 관련한 발음5.8. 제7장. 《ㅎ》과 어울린 거센소리되기현상과 관련한 발음5.9. 제8장. 닮기현상이 일어날 때의 발음5.10. 제9장. 소리끼우기현상과 관련한 발음5.11. 제10장. 약화 또는 빠지기 현상과 관련한 발음
6. 조선글의 쓰기

1. 개요

조선말규범집은 북한의 공식적인 어문 규범이다. 이 규범의 핵심은 '4칙'이라 불리는 네 가지 기본 규정, 즉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법, 표준발음법(현 문화어발음법)으로 구성된다. 이는 대한민국의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이 다루는 내용과 그 역할이 유사하여, 남북한 언어 규범을 비교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현행 규범은 201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에서 편찬한 것으로, 그 주요 개정 이력은 다음과 같다.
1966년(초판 제정):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에서 '맞춤법', '띄여쓰기', '문장부호법', '표준발음법'을 통합하여 최초로 제정하였다.
1987년(1차 개정): '표준발음법'을 '문화어발음법'으로 개칭하여 개정판을 발행하였다.
2000년대(부분 개정): 띄어쓰기 규정이 집중적으로 개정되었다. 2000년에는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독립적으로 발표되었고, 2003년 『띄여쓰기규정』이 재개정되었다.
2010년(현행판): 기존의 규범들과 여러 차례 수정된 '띄여쓰기규정'을 다시 통합하여 현재 통용되는 『조선말규범집』을 완성하였다.

한편, 대한민국에서도 편의상 '4대 어문 규범'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지칭한다. 이와 달리 북한과 중국의 '4칙'은 그 자체에 외래어나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독립된 규정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으므로 용어 사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2. 맞춤법

3. 띄여쓰기규정

3.1. 총칙

단어를 단위로 띄여쓰는것을 원칙으로 하되 글을 읽고 리해하기 쉽게 일부 경우에는 붙여쓴다.

3.2. 본문

제1항. 토뒤의 단어나 품사가 서로 다른 단어는 띄여쓴다.

제2항. 하나의 대상이나 행동, 상태를 나타내는 말마디들은 토가 끼이였거나 품사가 달라도 붙여쓴다.

제3항. 고유한 대상의 이름은 붙여쓰되 마디를 이루면서 잇달리는것은 매 마디마디 띄여쓴다.

제4항. 수사는 백, 천, 만, 억, 조단위로 띄여쓰며 수사뒤에 오는 단위명사와 일부 단어는 붙여쓴다.

제5항. 불완전명사(단위명사 포함)는 앞단어에 붙여쓰되 그뒤에 오는 단어는 띄여쓰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6항. 단어들사이의 맞물림관계를 고려하여 뜻을 리해하기 쉽게 띄여쓰기를 할수 있다.

4. 문장부호법

5. 문화어발음법

5.1. 총칙

조선말발음법은 혁명의 수도 평양을 중심지로 하고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이룩된 문화어의 발음에 기준한다.

5.2. 제1장. 모음의 발음

제1항. 모음들이 일정한 자리에서 각각 짧고 높은 소리와 길고 낮은 소리의 차이가 있는것은 있는대로 발음한다.

제2항. 《ㅢ》는 겹모음으로 발음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ㅚ》, 《ㅟ》는 어떤 자리에서나 홑모음으로 발음한다.

제4항. 《ㄱ, ㄹ, ㅎ》뒤에 있는 《ㅖ》는 각각 《ㅔ》로 발음한다.

5.3. 제2장. 첫소리자음의 발음

제5항. 《ㄹ》은 모든 모음앞에서 《ㄹ》로 발음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5.4. 제3장. 받침자모와 관련한 발음

제6항. 우리 말의 받침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이다.

제7항. 《ㄹ》이 받침소리로 될 때는 혀옆소리로 발음한다.

제8항. 받침자모와 받침소리의 호상관계는 다음과 같다.

5.5. 제4장. 받침의 이어내기현상과 관련한 발음

제9항. 모음앞에 있는 받침은 뒤소리마디의 첫소리로 이어서 발음한다.

5.6. 제5장. 받침의 끊어내기현상과 관련한 발음

끊어내기는 받침자모를 발음을 끝낼 때의 받침소리로 바꾸고 뒤의 모음에 이어서 발음한다. 받침자모와 받침소리의 대응관계는 제9항과 같다.

제10항. 모음《아, 어, 오, 우, 애, 외》로 시작한 고유어말뿌리앞에 있는 받침은 끊어서 발음한다.

제11항. 단어들이 결합관계로 되여있는 경우에도 앞단어가 받침으로 끝나고 뒤단어가 모음으로 시작될 때에는 끊어서 발음한다.

5.7. 제6장. 된소리현상과 관련한 발음

제12항. [ㄱ, ㄷ, ㅂ]으로 나는 받침소리뒤에 오는 순한소리는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13항. 동사나 형용사의 말줄기끝의 받침《ㄴ, ㄵ, ㄻ, ㅁ》과 《ㄹ》로 발음되는 받침《ㄺ, ㄼ, ㄾ》뒤에 오는 토나 뒤붙이의 순한소리는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14항. 다음과 같은 경우에 《ㄹ》받침뒤의 순한소리는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15항. 일부 한자말들에서 《적(的), 성(性), 법(法), 권(權, 眷), 점(點), 건(件), 가(價), 과(課, 果)》등의 한자말은 일부 제한하여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16항. 단어나 단어결합에서 사이소리가 순한소리앞에 끼여나는 경우는 그 순한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17항. 말줄기의 끝받침《ㅎ》, 《ㄶ》, 《ㅀ》뒤에 오는 토의 순한소리《ㅅ》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5.8. 제7장. 《ㅎ》과 어울린 거센소리되기현상과 관련한 발음

제18항. 토나 뒤붙이의 첫머리에 온 순한소리는 말줄기의 끝받침 《ㅎ, ㄶ, ㅀ》뒤에서 거센소리로 발음한다.

제19항. 한 단어안에서 받침 《ㄱ, ㄷ, ㅂ, ㅈ》이나 《ㄵ, ㄺ, ㄼ》뒤에 《ㅎ》이 올 때 그 《ㅎ》은 각각 [ㅋ, ㅌ, ㅍ, ㅊ]으로 발음한다.

5.9. 제8장. 닮기현상이 일어날 때의 발음

제20항. 받침 《ㄷ, ㅌ, ㄾ》뒤에 토나 뒤붙이인 《이》가 올 때 그 《이》는 각각 [지, 치]로 발음한다.

제21항. 받침《ㄱ, ㄳ, ㅋ, ㄲ》, 《ㄷ, ㅅ, ㅈ, ㅊ, ㅌ, ㅆ》, 《ㄼ, ㅂ, ㅄ, ㅍ》뒤에 자음《ㄴ, ㅁ, ㄹ》이 이어질 때에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제22항. 받침《ㄹ》뒤에 《ㄴ》이 왔거나 받침 《ㄴ》뒤에 《ㄹ》이 올 때에는 그 《ㄴ》을 [ㄹ]로 발음한다.

제23항. 받침《ㄴ》뒤에 《ㄴ》이 올 때에는 적은대로 발음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4항. 받침소리[ㅁ, ㅇ]뒤에서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5.10. 제9장. 소리끼우기현상과 관련한 발음

제25항. 고유어가 들어가 만들어진 합친말(또는 앞붙이와 말뿌리가 어울린 단어)의 뒤형태부가 《이, 야, 여, 요, 유》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제26항. 《암, 수》가 들어가 만들어진 단어의 발음은 다음과 같이 한다.

제27항. 고유어로 만들어지는 일부 합친말이나 단어결합에서 사이소리가 끼여나는 경우는 형태부들사이에 《ㄷ》을 끼워 발음한다.

5.11. 제10장. 약화 또는 빠지기 현상과 관련한 발음

제28항. 말줄기끝의 《ㅎ》은 모음으로 시작된 토나 뒤붙이앞에서 발음하지 않는다.

제29항. 소리마디의 첫소리《ㅎ》은 모음이나 울림자음뒤에서 약하게 발음할수 있다.

제30항. 둘받침《ㅀ》으로 끝나는 말줄기에 《ㄴ》으로 시작되는 토가 이어질 때 《ㅎ》은 받침소리로 내지 않는다.

6. 조선글의 쓰기

조선글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가로쓰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특수하게 내려쓸 때에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내려쓴다.
그러나 가로쓰는 글과 배합하여 내려쓰는 경우에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내려쓰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내려쓸 때의 맞춤법, 띄여쓰기, 부호 등은 다 가로쓸 때의 규칙을 기본적으로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