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4년 시행되는 프로여자국수전에 대한 문서.2. 전기대회
제28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3. 예선
- 수순 중계 대국
날짜 경기 대진 결과 6/26 4조 결승 고미소 스미레 153수 흑 불계승
4. 본선
- 전기 시드: 최정(전기 우승), 김채영(전기 준우승), 조혜연, 오유진(이상 전기 4강)
- 후원사 시드: 김경은
- 예선 통과자: 이슬주, 김은선, 김은지, 스미레, 조승아, 최서비, 김다영, 김수진, 김민서, 박소율, 박태희
- 바둑TV에서는 16강전 일부 경기를 중계한 후, 8강전 부터는 매 경기 중계한다.
- 중계: 바둑TV (캐스터- 문도원 三단 / 해설- 이희성 九단)
- 본선 대진표
- 이번 대회 부터 피셔방식(시간 누적 방식)이 도입되어 종전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1회'에서 각자 기본시간 30분 + 착수시 추가시간 30초 피셔방식으로 변경하여 대회를 진행한다.
제29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 본선 대진표 | ||||||
16강 | <colbgcolor=#dcdcdc,#383b40> | 8강 | <colbgcolor=#dcdcdc,#383b40> | 4강 | <colbgcolor=#dcdcdc,#383b40> | 결승 |
| ➡ | 스미레 | ➡ | 스미레 | ➡ | 스미레 (2패) 준우승 |
스미레 | ||||||
최서비 | ➡ | - | ||||
- | ||||||
- | ➡ | 조승아 | ➡ | | ||
조승아 | ||||||
| ➡ | - | ||||
이슬주 | ||||||
- | ➡ | - | ➡ | 김채영 | ➡ | 김채영 (2승) 우승 |
김다영 | ||||||
- | ➡ | 김채영 | ||||
김채영 | ||||||
- | ➡ | - | ➡ | | ||
김경은 | ||||||
최 정 | ➡ | 최 정 | ||||
- |
4.1. 16강
일정 (13시 개시) | 중계 | 흑번 | 백번 | 결과 |
2024년 8월 5일 | 수순 | 박소율 | 최 정 | 206수 백 불계승 |
김채영 | 박태희 | 143수 흑 불계승 | ||
김다영 | 김민서 | 195수 흑 불계승 | ||
2024년 8월 13일 | 수순 | 조승아 | 김은선 | 187수 흑 불계승 |
김경은 | 조혜연 | 305수 흑 1집반승 | ||
최서비 | 김수진 | 273수 흑 5집반승 | ||
2024년 9월 1일 | TV | 스미레 | 오유진 | 163수 흑 불계승 |
2024년 9월 2일 | TV | 김은지 | 이슬주 | 321수 백 2집반승 |
- 16강 첫날 경기에서 최정, 김채영, 김다영이 승리했다. 특히 김채영과 김다영이 나란히 승리하면서 8강에서 자매대결이 성사되었다.
- 스미레는 오유진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뒀다. 불리했던 바둑에서 스미레가 우변과 우상귀에서 노림수를 던졌는데 오유진이 제대로 걸려들면서 마지막에는 우변 대마를 잡는 결과로 이어졌다.
- 이슬주는 중후반에 우위를 잡으며 결국 2집반을 남겨 여자랭킹 1위(2024년 8월)이자 최정과 함께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히던 김은지를 16강에서 탈락시켰다. 김은지는 27기 8강 탈락, 28기 본선 진출 실패에 이어 이번 대회는 16강에서 탈락하여 여자국수전과는 인연이 없는 모습이다.
4.2. 8강
일차 | 일정 (13시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4년 10월 10일 | 최서비 | 스미레 | 122수 백 불계승 |
2국 | 2024년 10월 14일 | 최 정 | 김경은 | 243수 흑 불계승 |
3국 | 2024년 10월 21일 | 김채영 | 김다영 | 161수 흑 불계승[1] |
4국 | 2024년 10월 22일 | 조승아 | 이슬주 | 163수 흑 불계승 |
- 8강 결과 스미레, 최정, 김채영, 조승아가 4강에 진출하며 차기 대회 본선시드를 확보했다.
4.3. 4강
일차 | 일정 (13시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4년 12월 5일 | 스미레 | 조승아 | 165수 흑 불계승 |
2국 | 2024년 12월 7일 | 최 정 | 김채영 | 264수 백 불계승 |
4.4. 결승
제29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 결승 3번기 | ||||||||
스미레 | 0 | 2 | 김채영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일차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
1국 | 2024년 12월 12일 | 김채영 | 스미레 | 175수 흑 불계승 | ||||
2국 | 2024년 12월 13일 | 스미레 | 김채영 | 220수 백 불계승 | ||||
3국 | - | 2:0으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 ||||||
우승 | 김채영 九단(여자국수전 두 번째 우승) | }}} |
제29기 프로여자국수전 결승은 루이나이웨이 이후 13년 만에 외국 국적으로 여자국수전 결승에 오른 스미레와 19기 여자국수전 우승자이자 지난 대회 준우승자인 김채영이 결승을 두게 됐다. 상대전적은 스미레가 3승 1패로 앞서 있으며, 두 기사의 첫 결승 맞대결+번기승부이다. 김채영이 전기 준우승의 한을 풀고 IBK기업은행배에 이어 2024년 국내 여자기전 2관왕에 등극할지, 아니면 개인 첫 여자국수전 출전에서 결승까지 오른 스미레가 이틀 전 여자기성전 결승의 아픔을 털어내고 이번에야말로 자신의 한국 무대 첫 공식기전 우승에 성공할지 주목되는 결승 3번기이다.
결과는 김채영이 2연승으로 스미레를 제압하고 여자국수전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1국은 두 기사가 미세한 흐름 속에서 바둑이 이어졌는데 김채영이 하변에 들여다 본 수 하나로 바둑이 끝이 나버렸다. 스미레가 미세하게나마 앞서던 형세였으나 거기서 김채영이 하변이 들여다 본 것을 그것을 스미레가 받지 않았고, 김채영은 시간 연장책을 둔 후에 정확하게 수순을 밟으면서 거기서 바둑을 끝을 냈다. 결국 김채영의 덫에 결린 스미레가 항복을 선언하며 김채영이 먼저 선취점을 얻었다. 김채영은 공식전에서 스미레를 상대로 상대전 첫 승을 거뒀다.
2국에서는 김채영의 완승의 흐름에서 스미레가 대마를 잡으러 갈 수 있는 기회를 보았으나 놓치면서 다시 김채영에게 흐름이 넘어왔고 여기에 김채영이 중앙에서 3점을 버리면서 백돌이 살아가며 김채영의 승리가 굳어지게 됐다. 결국 김채영이 스미레에게 항복을 받아내며 마무리되었고, 김채영은 2014년 19기 대회 우승 이후 10년 만에 '여자국수' 타이틀을 탈환했고 스미레는 여자기성전 결승 패배의 여파가 이 대회까지 이어지며 결국 두 대회 모두 준우승에 머무르게 됐다.
[1] 김채영 九단은 이 승리로 프로 통산 600승(공식전 기준)을 달성했으며, 공교롭게도 자신의 친동생을 상대로 기록을 세우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