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4:18:24

PJ 블랙

저스틴 가브리엘에서 넘어옴
파일:pj-black-ring-of-honor-1.jpg
PJ BLACK

1. 프로필2. 소개3. 커리어
3.1. 초창기3.2. WWE3.3. WWE에서 방출된 후
4. 여담5. 둘러보기

1. 프로필

파일:pj-black-bio.png
링네임 Justin Angel
Justin Gabriel
The Bunny
Paul Lloyd
Paul Pidoras
Paul Lloyd Jr.
PJ Black
본명 Phillip Paul Lloyd
생년월일 1981년 3월 3일
출생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타운
신장 185cm
체중 98kg
주요 커리어 FCW 플로리다 헤비웨이트 챔피언
WWE 태그팀 챔피언 3회
PWI 2011년 탑 500위 싱글 레슬러 랭킹 61위
TNA 킹 오브 더 마운틴 챔피언
WWP 월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SWE 태그팀 챔피언
WWEDM 챔피언
루차 언더그러운드 트리오스 챔피언
GFW NEX*GEN 챔피언
GWF 베를린 챔피언
DWW 챔피언
LEP 헤비웨이트 챔피언
SFA 월드 챔피언
피니쉬 무브 450도 스플래쉬

2. 소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프로레슬러로 현재는 PJ 블랙으로 활동중이다. WWE 시절에는 저스틴 가브리엘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3. 커리어

3.1. 초창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레슬링 집안에서 태어난 저스틴 가브리엘은 영국과 남아공을 번갈아가며 활동하다 WWE의 영입으로 계약을 맺고 FCW에서 수련생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3.2. WWE

FCW에서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는 등 제법 유망주로 뽑히던 저스틴 가브리엘은 2010년 이후 ECW가 폐지되고 NXT 시즌 1이 시작되자 참가하지만 아쉽게도 3위에서 탈락했다.

이후 넥서스로 WWE에 데뷔. 스테이블 내 유일한 하이플라이어이자 히스 슬레이터와의 태그팀으로 나름 캐릭터와 위상을 얻고 WWE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는데도 성공하나 블라디미르 코즐로프 & 산티노 마렐라에게 뺏긴다.

대립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멤버들이 계속해서 교체되던 와중 넥서스의 리더였던 웨이드 바렛이 존 시나에게 패배하고 CM 펑크가 나타나 뉴 넥서스를 이끌지만 CM 펑크의 마조히스트를 양성하는 입단 테스트를 거부하고 탈단, 히스 슬레이터와 함께 웨이드 바렛이 있는 스맥다운으로 이적한 뒤 코어를 결성해 활동한다. 이후 스맥다운에서 다시 한번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다.[1] 그러나 또 다른 넘사벽인 빅 쇼 & 케인에게 패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잃고 코어도 이지키엘 잭슨의 축출과 웨이드 바렛의 푸대접으로 코어가 붕괴하면서 히스 슬레이터와 함께 태그팀으로 잠시 활동했다.
하지만 테마곡은 최고였는데 히스 슬레이터와도 얼마 가지 않아 갈라서고 턴페이스해 싱글 활동을 하였지만 공중기 잘 쓰는 선역 자버 포지션으로 슈퍼스타즈와 메인 이벤트, NXT를 전전하다 2015년 방출된다.

3.3. WWE에서 방출된 후

WWE에서 방출된 이후로는 TNA에 등장해서 공석이 된 킹 오브 더 마운틴 챔피언 자리를 두고 레더 매치를 벌여 승리를 거둬 챔피언에 등극하지만 바비 루드에게 패배해 챔피언 자리를 잃게 된다.

인디단체를 돌아다니며 활동하다가 이볼브에도 잠시 등장했다. 그리고 루차 언더그라운드를 포함해 ROH에서 활동하고 있다.

한동안 인디에서 뜸한 활동을 하다가 2022년에 다시 임팩트 레슬링에 출연이 정해지면서 공석이 된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을 가릴 토너먼트에 참가해 우에무라 유야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전에 진출하지만 블랙 타우루스에게 패하며 탈락된다.

4. 여담

  • 레슬링 외에도 잠시 피트니스 모델로 활동한 적이 있다.
  • 2011년 WWE에서 활동하던 시절 켈리 켈리와 교제했던 적이 있다.

5. 둘러보기

파일:220px-WWE_Nexus_logo.svg.png
넥서스 역대 멤버
파일:WWECorre.jpg
웨이드 바렛 히스 슬레이터 저스틴 가브리엘 이지키엘 잭슨
파일:슬래미어워드 로고.jpg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충격적인 장면
2010년 6월 7일
WWE RAW
[2]
파일:슬래미어워드 로고.jpg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애니멀
-
(2013)
더 버니
(2014)
-
(2015)
파일:VPvfo0OQ.jpg
TNA 킹 오브 더 마운틴 우승자
커트 앵글
수어사이드
(2009)
제프 제럿
PJ 블랙
(2015)
에릭 영
브람
(2016)
파일:PWI 로고.png PWI 선정 올해의 대립
랜디 오턴 vs 트리플 H
(2009)
넥서스 vs WWE
(2010)
CM 펑크 vs 존 시나
(2011)
파일:PWI 로고.png PWI 선정 올해의 악역
랜디 오턴
(2009)
넥서스
(2010)
미즈
(2011)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태그팀
크리스 제리코 & 빅 쇼
(2009)
넥서스
(2010)
알 트루스 & 미즈
(2011)

[1] 중간에 존 시나에게 뺏겼으나 미즈의 배신 덕분에 당일 되찾았다. 따라서 스맥다운에선 2회 챔피언이 된 셈.[2] 수상 내용은 넥서스 WWE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