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행상피는 중층편평상피와 중층원주상피 사이에서 구조적으로 변화된다고 생각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실제로는 두 상피 사이에서 변화하는 것이 아니고 독특한 형태를 가진 별도의 상피이다.
2. 이행상피
이행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는 바닥층, 중간층, 꼭대기층의 세 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모든 층의 세포들이 다 몇 개의 긴 돌기를 내어 바닥막에 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피는 콩팥깔때기에서 요도 사이에 이르는 요로에서 볼 수 있으며, 압력과 오줌의 양에 따른 팽창에 따라 상피의 모양이 바뀌는 것이 특징이다. 표면층은 둥근세포, 중간층은 가눌고 긴 세포, 바닥층은 작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표면인 꼭대기 층에 있는 세포는 수축 시에는 입방형 또는 원주형, 팽창 시에는 편평세포의 형태를 한다.아래 사진은 방광으로, 다양한 형태의 세포들이 여러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