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2:54:51

원무과


1. 개요2. 취업 방법3. 직원 대우 및 현황4.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의료기관에서 환자 진료의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핵심적인 행정부서로, 소속 임직원은 '병원행정사무원'으로 불린다.

환자의 진료를 위해 인적사항을 등록하고 접수, 수납, 제증명, 입퇴원, 자동차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의료사회복지, 진료비 심사청구 등 환자 및 진료와 관련 된 행정 처리를 관리하는 부서이다.

원무란, 병원 사무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원무부서는 의료기관에 존재하는 핵심적인 행정부서이며, 규모 및 근로자 수 등은 의료기관의 규모(의원(1차) -> 병원(2차) -> 종합병원(2차) -> 상급종합병원(3차))가 커짐에 따라 함께 비대해진다.

소규모 의원, 병원[1] 급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업무들 뿐만 아니라 회계, 인사, 총무, 의무기록 등의 업무를 거의 한 장소에서 처리하지만, 병원 및 병상 규모가 커질수록 원무부서 내에서 접수, 수납, 제증명, 입퇴원, 자보, 산재, 의료사회복지, NP(정신과), 민원, 미수 담당 등 부서 내지 팀으로 세분되며, 담당 인원도 늘어난다.

2. 취업 방법

원무과는 행정부서이나, 보유한 자격, 면허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원무행정+보유 자격으로 다양한 겸직도 가능하며, 이는 근무조건에 영향을 준다. 의무기록 담당자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면허(구 의무기록사)가 필수적이다. 이로 인하여, 가급적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면허를 취득한 보건행정학 관련 전공자를 우대 채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 외 의원, 일반병원, 전문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구인공고를 살펴보면 아래 자격 소지자를 우대하는 공고를 볼 수 있다.

[우대사항]
※ 보건의료 자격 및 면허
-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사회복지사1/2급, 간호조무사, 방사선사 등 의료기사(보건복지부)
- 병원행정사(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

※ 전산 자격
- 워드프로세서, 컴퓨터활용능력1, 2급(대한상공회의소)
- ITQ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한국생산성본부)
- MOS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YBM)
- 사무자동화산업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산업통상자원부)

※ 시설 자격
- 소방안전관리자1, 2급(한국소방안전원)

※ 어학 자격
- 토익/토플(미국 Educational Testing Service), 텝스(서울대학교), 오픽(미국 ACTFL)
- JLPT N1/N2(국제교류기금 & 일본국제교육지원협회) 및 JPT N1(YBM)
- HSK 5/6급(중국국가한판)

3. 직원 대우 및 현황

2022년 사람인, 메디잡 등의 구인/구직 어플 및 사이트에 올라오는 채용공고를 보면 원무행정/사무직 신입사원 연봉이 상급종합병원은 세전 3500만원 이상, 종합병원은 2600~3200만원 수준, 의원 및 1차 병원의 경우는 세전 약 2400~2800 수준으로 책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느 신입이나 낮은 연봉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대다수지만, 특히 병원의 행정부서 중 하나인 원무과 신입의 평균 연봉은 일반 사기업과 비교하자면 다소 낮은 편이며 경력과 연차가 쌓이더라도 연봉 상승률이 높지 않다는게 단점이다. 의원 및 1차 병원의 원무행정 업무 특성 상 학력과 전공(보건행정학 등의 보건의료전공)을 따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평균보다 다소 낮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더 좋은 대우를 받기를 원한다면 최소한 500병상 이상을 갖춘 종합병원(2차 병원에 속하는 대학병원 등) 및 상급종합병원(3차 병원)이나 공공의료원 및 보건직 공무원 취직을 고려해야 한다. 다만 업계 최고라고 견주되는 상급종합병원에 취업하더라도 의료인이 핵심 인력인 의료기관의 특성 상 비의료인에 대한 대우는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직급체계]
"사원(1년), 주임(2~3년), 대리(4~7년), 과장(8~12년), 차장(13~14년), 부장(15년 이상)"
경력연수에 대해선 대략적인 것으로, 일반 기업체의 사무직의 직급 체계와 다를 바 없으나, 고용 안정성이 높은 의료기관의 특성상 인사 적체가 심한 경우가 많아 고연차 직원임에도 평사원 직급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로 인해 경력이 어느 정도 쌓이면 이직을 해서 근무 조건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4.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원무과
영어 Administration
Hospital office
한자
중국어 [ruby(院务科, ruby=yuànwùkē)]
일본어 [ruby(医事課, ruby=いじか)]

[1] 1차 병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