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000><colbgcolor=#fff> Abraham Maslow 에이브러햄 매슬로우 | |
| |
이름 | Abraham Harold Maslow |
출생 | 1908년 4월 1일 |
뉴욕시 브루클린 | |
사망 | 1970년 6월 8일 (향년 62세) |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 | |
국적 |
|
모교 |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 (학사) 코넬 대학교 (편입 / 중퇴) 위스콘신 대학교 (심리학 / 석사, 박사) |
경력 |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원) 브루클린 칼리지 (교수) 브랜다이스 대학교 (교수) |
직업 | 심리학자 |
1. 개요
욕구 계층 이론으로 유명한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칼 로저스와 함께 윤리적 인간주의 심리학의 주요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2. 주요 저서
\[직역\]인간 동기 이론(A Theory of Human Motivation ,A. H. Maslow 1943)[1]초기 욕구위계이론 (5단계)를 제안
『Motivation and Personality』 (1954)
인간의 동기와 성격을 탐구하며, 욕구 위계 이론을 체계화한 저서.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의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의 성장과 잠재력에 대한 통찰을 제공.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1962)
인간 존재의 본질과 자아실현을 중심으로 한 심리학적 접근을 제시.
'존재-인지(being-cognition)'와 '결핍-인지(deficiency-cognition)'의 개념을 통해 인간의 경험을 분석.
『Religions, Values, and Peak Experiences』 (1964)
'절정 경험(peak experiences)'을 통해 인간의 영적·가치적 경험을 탐구.
종교적 체험과 개인의 가치 체계가 인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룸.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1971)
인간 본성의 심오한 측면을 탐구하며,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과 같은 개념을 소개.
인간의 잠재력과 창의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
3. 자기실현 학습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를 위시해 칼 로저스,자크 랑시에르 (Jacques Rancière),빅토르 프랭클 (Viktor Frankl),칼 테오도어 야스퍼스 (Karl Jaspers), 존 듀이 (John Dewey),파울로 프레이리 (Paulo Freire)등은 인간 개개인은 성장과 자기 초월이 가능하도록 태어날 때부터 이미 준비되어있다(잠재력)고 보았으며 심리학적, 교육학적 또는 철학적으로 인간의 가능성과 내면적 힘에 대한 깊은 신념을 보여준다.3.1. 자기 초월
매슬로우는 인간주의 심리학에서의 자기 초월(Self-Transcendence)을 자기 실현(Self-actualization)의 단계를 넘어서 더 큰 의미, 자신 너머의 가치에 헌신하는 단계로 제안한 바 있다.“자기 초월은 자기를 넘어 타자, 공동체, 우주, 신성, 목적에 도달하려는 욕구다.”
— Maslow,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 Maslow,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3.1.1. 예시
예:예술, 과학, 종교, 봉사, 사랑, 명상 등에서‘나’라는 경계를 넘어서는 경험과 몰입
교육학적으로는 자기 초월의 의미는 학습자가 ‘지식의 소비자’가 아니라 자신을 넘어서는 존재로 성장하는 방향성을 가리킨다.
3.1.2. 자기초월심리학
21세기에는 자기초월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이라는 이름으로 보다 깊이있게 발전된 형태로 다루어지고 있다.[2]3.1.2.1. 칼 로저스
매슬로우(A. H. Maslow)의 자기초월심리학 예시“자기실현된 사람은 자발적이고 창조적으로 진리를 초월하여 통합할 수 있을 것이다.”
매슬로우는 왜(Why) 자기 자신을 초월할 것인가를 말하려는 일관된 의도를 갖고 있었다면 칼 로저스(Carl R. Rogers)는 어떻게(How) 자기 자신을 초월할 것인가를 말하려는 일관된 의도를 갖고있었다.칼 로저스의 자기초월심리학 예시
“다른 사람의 세계를 그의 세계 안에서 공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때,
그 사람은 자기 안의 변화 가능성을 믿기 시작한다.
즉, 타자를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을 때, ”
그 사람은 자기 안의 변화 가능성을 믿기 시작한다.
즉, 타자를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을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