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3:39:58

쌍희 희에서 넘어옴
쌍희 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2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여담

1. 개요

囍는 '쌍희 희'라는 한자로, '혼인이나 경사가 있을 때, 그 기쁨'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6C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RGRR(土口土口口)로 입력한다.

(기쁠 희) 두 개가 합쳐진 회의자이다.[1]

희귀하게도 어휘에 쓰이지 못하는 한자로 소목 공예, 그릇, 천, 베갯머리 등에 문양으로 새기는 용도로 자주 쓰인다. 중국에서는 경사가 있는 날에 이 글자로 만든 전지(剪纸)를 많이 붙이기도 한다. 한국어문회에서는 囍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해설을 제공했다.
囍는 단어를 만드는 語素(어소)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단지 喜 자를 두 개 합쳐 이름자에 사용하거나 기쁨을 나타내는 장식과 같은 특수부호의 성격을 지닌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자가 생긴 유래는 북송 시대의 문장가 王安石(왕안석)이 혼인과 급제를 동시에 하게 되어 그 두 가지 기쁨을 이 글자로 표현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023(質問)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 앞서 서술되었듯 소목 공예, 그릇, 천, 베갯머리 등 중화풍 소품에 문양으로 사용된다.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1] 폰트에 따라서는 (길할 길) 네 개로 보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