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0 16:09:02

슬로 모션

슬로우모션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초능력}}}에 대한 내용은 [[슬로 모션(초능력)]]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슬로 모션(초능력)#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슬로 모션(초능력)#|]]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기타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슬로 모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슬로 모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슬로 모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초능력: }}}[[슬로 모션(초능력)]]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슬로 모션(초능력)#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슬로 모션(초능력)#|]]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기타 동음이의어: }}}[[슬로 모션(동음이의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슬로 모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슬로 모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촬영 기술3. 효과
3.1. 긴장 고조3.2. 코미디 연출
4. 남용5. 비디오 판독6. 뮤직 비디오 예시7. 기타 예시8. 불렛 타임

1. 개요

슬로 모션(slow motion)은 영상을 느리게 재생하는 처리 기법이다. 한국에서 '슬로우 모션'이라고 쓰기도 하나, 한글의 장음 표기법에 의한 정확한 표현은 '슬로 모션'이다.

2. 촬영 기술

방식은 그냥 느리게 플레이하기만 하면 될 것 같지만, 사실은 고도의 전문 장비가 요구되는 기법이다. 1초마다 많은 양의 프레임을 찍어 낼 수 있는 고성능의 카메라가 필수적이며, 초당 48~60개 이상의 프레임을 찍어낼 수 있어야 최소한의 슬로 모션 연출이 가능하며, 여기서 초당 프레임이 더 많아질수록 더 느리게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잡아낸 수많은 프레임들을 편집 단계에서 조금씩 늘려 줌으로써 슬로 모션이 완성되는 것이다. 단순한 일반 카메라만으로 슬로 모션을 만들려 하면 뚝 뚝 끊기는 현상을 체험할 수 있는데, 이건 일반 카메라가 찍어내는 초당 프레임 개수가 전문 카메라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이다.



스펀지의 경우 초창기엔 초고속 카메라가 없어서 간단한 실험들을 주로 하였으나, 초고속 카메라를 도입하여 매주 필수적으로 각종 독특한 실험들을 구사하였고 그 실험들마다 슬로 모션 기법이 들어간 영상들을 잔뜩 선보임으로써 많은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뒷날 디스커버리 채널타임 워프가 나오게 되자 스펀지에서 하던 건 애들 장난이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

3. 효과

3.1. 긴장 고조

영화텔레비전 등의 영상 매체에서 영상을 다소 느리게 플레이하여 긴박한 상황의 세세한 부분을 관객들이 놓치지 않고 감상할 수 있게 하여 긴장감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위해 사용한다. 보통 긴박한 상황은 번갯불에 콩 볶아먹듯 눈 깜짝할 사이에 휙 하고 지나가기 일쑤인데, 여기에 슬로 모션을 적용시키면 긴박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그 상황을 관객들이 놓치지 않고 감상할 수 있게 해주므로 액션 영화라면 거의 필수 기법. 이 방법을 잘 활용해서 거장의 반열에 오른 감독으로는 그 유명한 샘 페킨파 감독이 있다.

3.2. 코미디 연출

코미디 영상 매체의 경우 슬로 모션'처럼' 느릿하게 진행되는 행위를 구사하기도 한다. 상기한 대로 초당 프레임을 많이 찍어내는 카메라가 비싼 편인 만큼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고, 또 왠지 어설픈 게 웃기기 때문이기도 하다.

4. 남용

뭐든 과유불급이라고 슬로 모션도 적당한 타이밍에 적절한 시간 동안만 사용해야지, 너무 남발하면 괜히 내용을 질질 끌게 되므로 되려 더 지루해질 수 있다. 애당초 슬로 모션 그 자체를 콘셉트로 잡고 만든 매체가 아니라면 상관없다.

단점으로는 사운드도 함께 느려지기 때문에 축 늘어지는 효과를 동반한다. 특히 등장인물들의 대사가 그러한데, 때문에 슬로 모션 기법을 적용할 씬에서는 대사를 빼고 BGM만으로 장면을 구성하거나, 대사가 들어가더라도 대부분 짧은 단말마형 대사를 이용한다. 짧은 단말마는 아무리 느리게 늘려도 한 씬에 다 표현될 수 있으니까(제일 많이 쓰이는 게 "Nooooooooooooo~").

5. 비디오 판독

단순히 눈요깃거리로서만 사용하는 게 아니고, 중요 상황의 녹화 장면을 세밀하게 비디오 판독해야 할 때에도 사용되는 기법이다. 스포츠 대회에서 시비를 가르기 위한 리플레이, 범죄 현장 감식 중 증거가 될 만한 세세한 부분을 찾아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6. 뮤직 비디오 예시


FUN. - We Are Young의 뮤직 비디오


OK Go - The One Moment의 뮤직 비디오


Avril Lavigne -I'm with You의 뮤직 비디오

7. 기타 예시

웜즈 시리즈에서는 하이라이트 공격의 리플레이를 슬로 모션으로 볼 수도 있다. 초대작에는 단순 리플레이만 있었지만 2부터 생긴 시리즈 전통이다.

8. 불렛 타임

유사 개념으로 불렛 타임이라는 영상 기법이 있는데, 일반적인 슬로모션과는 달리 이 기법에서는 피사체가 움직이는 시공간과 카메라의 시공간을 분리시킨다. 즉, 일반적인 슬로 모션에서는 피사체가 움직이는 속도가 느려지는 만큼 카메라도 느리게 움직일 수밖에 없지만, 불렛 타임 기법으로 촬영된 영상에서는 피사체가 느리게 움직이는 것과는 별개로 카메라의 시점이 빠른 속도로 전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매트릭스(영화)가 이 기법을 대중적으로 알린 계기가 되었다. 영화를 보았다면 인물이 점프하거나 총알을 피하는 순간이 느린 속도로 비춰지는 한편 카메라는 빠르게 주인공 주변을 돌아가는 장면을 기억할 것이다. 이것이 불렛 타임의 대표적인 예. 카메라 한 대로 이런 장면을 찍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좋고, 보통은 연출 상 정해진 궤도에 맞춰 수많은 카메라를 배치해 촬영 후 후처리하는 방식이 사용된다고 한다. 매트릭스: 리저렉션에서는 애널리스트가 불렛 타임을 역이용하여 네오를 통제한다. 일종의 메타적인 장치로 전락해버린 셈이다.

비디오 게임에서도 슈팅과 액션 장르를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시로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에서 주인공 링크가 공중에서 활을 겨눌 때는 순간 주변 환경의 시간의 흐름은 느려지지만 조준을 위한 스틱/포인터 조작은 여전히 평상시의 속도로 자유롭게 할 수 있는데, 조준을 보조하기 위해 불렛 타임의 개념을 활용한 예이다. 한편, 패링에 성공했을 때 일순간 화면이 느려지는 연출은 일반적인 슬로 모션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