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20:42:58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킬 개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트리트 파이터(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dnf_logo.png
직업별 스킬 개화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귀검사/남자|
파일:mc_txt01.png
]]
[[스킬 개화/웨펀마스터|
파일:thum_type_d1.png
웨펀마스터
]]
[[스킬 개화/소울브링어|
파일:thum_type_d2.png
소울브링어
]]
[[스킬 개화/버서커|
파일:thum_type_d3.png
버서커
]]
[[스킬 개화/아수라|
파일:thum_type_d4.png
아수라
]]
[[스킬 개화/검귀|
파일:thum_type_d5.png
검귀
]]
[[귀검사/여자|
파일:mc_txt02.png
]]
[[스킬 개화/소드마스터|
파일:thum_type_d6.png
소드마스터
]]
[[스킬 개화/다크템플러|
파일:thum_type_d9.png
다크템플러
]]
[[스킬 개화/데몬슬레이어|
파일:thum_type_d7.png
데몬슬레이어
]]
[[스킬 개화/베가본드|
파일:thum_type_d8.png
베가본드
]]
[[스킬 개화/블레이드|
파일:thum_type_d10.png
블레이드
]]
[[격투가(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3.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남)|
파일:thum_type_d11.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남)|
파일:thum_type_d12.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남)|
파일:thum_type_d13.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남)|
파일:thum_type_d14.png
그래플러
]]
[[격투가(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4.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여)|
파일:thum_type_d15.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여)|
파일:thum_type_d16.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여)|
파일:thum_type_d17.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여)|
파일:thum_type_d18.png
그래플러
]]
[[거너(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5.png
]]
[[스킬 개화/레인저(남)|
파일:thum_type_d19.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남)|
파일:thum_type_d20.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남)|
파일:thum_type_d21.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남)|
파일:thum_type_d22.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어썰트|
파일:thum_type_d23.png
어썰트
]]
[[거너(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6.png
]]
[[스킬 개화/레인저(여)|
파일:thum_type_d24.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여)|
파일:thum_type_d25.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여)|
파일:thum_type_d26.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여)|
파일:thum_type_d27.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패러메딕|
파일:thum_type_d68.png
패러메딕
]]
[[마법사(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7.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바머|
파일:thum_type_d28.png
엘레멘탈 바머
]]
[[스킬 개화/빙결사|
파일:thum_type_d29.png
빙결사
]]
[[스킬 개화/블러드 메이지|
파일:thum_type_d30.png
블러드 메이지
]]
[[스킬 개화/스위프트 마스터|
파일:thum_type_d31.png
스위프트 마스터
]]
[[스킬 개화/디멘션 워커|
파일:thum_type_d32.png
디멘션 워커
]]
[[마법사(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8.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마스터|
파일:thum_type_d33.png
엘레멘탈마스터
]]
[[스킬 개화/소환사|
파일:thum_type_d34.png
소환사
]]
[[스킬 개화/배틀메이지|
파일:thum_type_d35.png
배틀메이지
]]
[[스킬 개화/마도학자|
파일:thum_type_d36.png
마도학자
]]
[[스킬 개화/인챈트리스|
파일:thum_type_d37.png
인챈트리스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9.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남)|
파일:thum_type_d38.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인파이터|
파일:thum_type_d39.png
인파이터
]]
[[스킬 개화/퇴마사|
파일:thum_type_d40.png
퇴마사
]]
[[스킬 개화/어벤저|
파일:thum_type_d41.png
어벤저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10.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여)|
파일:thum_type_d42.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이단심판관|
파일:thum_type_d43.png
이단심판관
]]
[[스킬 개화/무녀|
파일:thum_type_d44.png
무녀
]]
[[스킬 개화/미스트리스|
파일:thum_type_d45.png
미스트리스
]]
[[도적(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1.png
]]
[[스킬 개화/로그|
파일:thum_type_d46.png
로그
]]
[[스킬 개화/사령술사|
파일:thum_type_d47.png
사령술사
]]
[[스킬 개화/쿠노이치|
파일:thum_type_d48.png
쿠노이치
]]
[[스킬 개화/섀도우 댄서|
파일:thum_type_d49.png
섀도우 댄서
]]
[[나이트(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2.png
]]
[[스킬 개화/엘븐나이트|
파일:thum_type_d50.png
엘븐나이트
]]
[[스킬 개화/카오스|
파일:thum_type_d51.png
카오스
]]
[[스킬 개화/팔라딘|
파일:thum_type_d52.png
팔라딘
]]
[[스킬 개화/드래곤나이트|
파일:thum_type_d53.png
드래곤나이트
]]
[[마창사|
파일:mc_txt13.png
]]
[[스킬 개화/뱅가드|
파일:thum_type_d54.png
뱅가드
]]
[[스킬 개화/듀얼리스트|
파일:thum_type_d55.png
듀얼리스트
]]
[[스킬 개화/드래고니안 랜서|
파일:thum_type_d56.png
드래고니안 랜서
]]
[[스킬 개화/다크 랜서|
파일:thum_type_d57.png
다크 랜서
]]
[[총검사|
파일:mc_txt14.png
]]
[[스킬 개화/히트맨|
파일:thum_type_d60.png
히트맨
]]
[[스킬 개화/요원|
파일:thum_type_d58.png
요원
]]
[[스킬 개화/트러블 슈터|
파일:thum_type_d59.png
트러블 슈터
]]
[[스킬 개화/스페셜리스트|
파일:thum_type_d61.png
스페셜리스트
]]
[[아처(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7.png
]]
[[스킬 개화/뮤즈|
파일:thum_type_d62.png
뮤즈
]]
[[스킬 개화/트래블러|
파일:thum_type_d63.png
트래블러
]]
[[스킬 개화/헌터|
파일:thum_type_d64.png
헌터
]]
[[스킬 개화/비질란테|
파일:thum_type_d65.png
비질란테
]]
[[스킬 개화/키메라|
파일:thum_type_d69.png
키메라
]]
외전 [[스킬 개화/다크나이트|
파일:thum_type_d66.png
다크나이트
]]
[[스킬 개화/크리에이터|
파일:thum_type_d67.png
크리에이터
]]
범례 물리 공격형, 마법 공격형, 하이브리드형, 버퍼 직업, 미구현된 직업
고정 데미지
}}}}}}}}} ||

1. 개요2. 목록
2.1. 천라지망
2.1.1. Ⅰ - 천망연격2.1.2. Ⅱ - 휴즈 네트
2.2. 그라운드 킥
2.2.1. Ⅰ - 백스트리트 킥2.2.2. Ⅱ - 바이올런트 킥
2.3. 크레이지 발칸
2.3.1. Ⅰ - 폭혈일쇄2.3.2. Ⅱ - 비열한 파운딩
2.4. 베놈 마인
2.4.1. Ⅰ - 바이퍼 마인2.4.2. Ⅱ - 비장지독
2.5. 정크 스핀
2.5.1. Ⅰ - 대방출2.5.2. Ⅱ - 정크 싸이클론
2.6. 맹독 일발화약성
2.6.1. Ⅰ - 폭혈비독수2.6.2. Ⅱ - 들끓는 독수
2.7. 블록 봄
2.7.1. Ⅰ - 버스터 봄2.7.2. Ⅱ - 킬버트 블록
2.8. 비기 : 폭독
2.8.1. Ⅰ - 비각술2.8.2. Ⅱ - 무영혈독보
2.9. 만병지왕 - 파진포
2.9.1. Ⅰ - 오버 더 리미트2.9.2. Ⅱ - 천독암진
3. 스킬 강화
3.1. 목록

1. 개요

던전앤파이터의 직업 여성 스트리트 파이터의 VP 옵션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VP 투자가 추천되는 스킬은 다음과 같다. 이하 표는 "해당 스킬에 VP를 선택해야만 한다"는 전제 하에 작성된 것이므로 실제 VP 투자 시에는 본인 취향 껏 선택하면 된다. VP를 선택하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만 1, 2옵션 중 선택지의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에는 둘 다 표시해두었다. 추후에 선택지가 굳어진다면 수정을 바란다. 추천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각각의 개화에서 설명한다.
<rowcolor=white> 스킬 이름 1옵션 2옵션
천라지망
그라운드 킥
크레이지 발칸
베놈 마인
정크 스핀
맹독 일발화약성
블록 봄
비기 : 폭독
만병지왕 - 파진포

2. 목록

2.1. 천라지망

남스파와 마찬가지로, 1렙 고정에 계수도 딸리는데 홀딩 메타가 지난 후로는 유틸 조차 별볼일 없는 천라지망은 채용할 가치가 전혀 없다.

2.1.1. Ⅰ - 천망연격

천망연격
출혈 부여
딜레이 캔슬
공격력/쿨타임 감소
<rowcolor=#9d864b>[천라지망]
쇳조각을 붙인 그물을 던진 후 회수하지 않음
- 하단 방향키 입력 기능 삭제
- 출혈 상태 이상 부여

시전 시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일부 스킬 사용 가능
- 사용 가능 스킬: 헬터 스켈터, 히든 스팅, 블록 버스터
일부 스킬의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사용 가능
- 사용 가능 스킬: 히든 스팅, 블록 버스터
기본 쿨타임 5.5초로 변경
- 총합 공격력 50% 감소

천라지망을 하단키를 입력하며 쓰면 그물을 던지기만 하는데, 하단키 입력 기능을 삭제하고 해당 프로세스를 상시 적용으로 바꾼다. 그게 끝이다.(...)

기본기의 후딜을 캔슬하며 쓰거나 이 스킬의 후딜을 기본기로 캔슬할 수 있으나, 헬터/히든/블록 3종류와 천라지망 모두 후딜이 없다시피해서 캔슬할 이유도 없다. 존재 가치가 없는 VP라고 생각하면 된다.

2.1.2. Ⅱ - 휴즈 네트

휴즈 네트
범위 증가
<rowcolor=#9d864b>[천라지망]
거대한 그물을 던짐
- 하단 방향키 입력 기능 삭제

홀드 지속 시간 2초 증가

그물의 크기가 커지고, 하단키 입력이 삭제되어 반드시 그물을 다시 끌어오게 바뀐다. 홀드 시간이 2초 증가한다.

실전에서 모든 기능이 아무 쓸모가 없으니 맘 편히 버리자.

2.2. 그라운드 킥

2.2.1. Ⅰ - 백스트리트 킥

백스트리트 킥
딜레이 캔슬
시전 시간 감소
<rowcolor=#9d864b>[그라운드 킥]
시전 시 선딜레이 감소
타격 성공시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전직 계열 스킬 사용 가능

탈리스만 시절의 그것. 필수 탈리 취급받던 깔끔한 유틸리티를 그대로 가져왔다. 특출난 유틸이 추가되는건 아니지만 저것조차 없는 그라운드킥은 선후딜 모두 끔찍하게 길고 답답한 폐급 스킬이기 때문에 딜적인 성능은 아래쪽이 더 뛰어남에도 vp1이 선호도는 더 높은 편.

2.2.2. Ⅱ - 바이올런트 킥

바이올런트 킥
공격력/쿨타임 증가
범위 증가
<rowcolor=#9d864b>[그라운드 킥]
기본 쿨타임 40초로 변경
- 총합 공격력 100% 증가

공격 범위 50%증가

그라운드 킥의 퍼쿨은 유지한 채로 공격력/쿨타임을 2배로 늘리고, 범위를 50% 늘려준다. 진짜배기 타점이슈 스킬에 비하면 좀 낫긴 해도 꽤나 뻑뻑한 범위를 가지고 있던 그킥이 널널하게 맞게 되고, 퍼쿨은 유지되지만 공/쿨이 2배가 되는 만큼 2회분의 채널링이 1회로 줄어드는데다가 포타임 압축 딜량은 되려 늘어난다.[1] 때문에 딜적인 성능만 보면 확실히 좋은 편이지만, 그라운드 킥 특유의 끔찍한 선후딜이 VP 1번 없이는 전혀 개선되지 않아 사용감이 나쁘다. 정 써야겠다면 백스텝 강화를 반드시 여기에 연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쓰자.

2.3. 크레이지 발칸

2.3.1. Ⅰ - 폭혈일쇄

폭혈일쇄
잡기 불가 프로세스 발동
상태이상 피해 즉시 적용
<rowcolor=#9d864b>[크레이지 발칸]
추적 성공 시 잡기 불가 프로세스 발동

타격 성공 시 즉폭의 혈이 발생하여 자신의 중독 상태이상 피해 즉시 적용
크레이지 발칸이 누구에게 쓰던 무조건 잡기 불가 프로세스(한번만 쿵 내리치고 끝내기)로 적용되며, 공격시 즉폭의 혈이 발동해 중독 피해를 즉시 정산한다. 어차피 크발을 쓸만한 상위 던전의 네임드~보스들은 죄다 잡기 불가라 잡불 프로세스 발동 기능은 장식에 가깝지만, 즉폭 기능은 처음 등장한 시즌8부터 지연딜에 고통받는 여스파에게 한 줄기 빛과도 같은 기능이었고, 상태이상 딜링의 장점은 거의 없어지고[2] 단점만 남은 시즌10에는 더더욱 그렇다.

2.3.2. Ⅱ - 비열한 파운딩

비열한 파운딩
잡기 가능 프로세스 발동
시전 시간 감소
시전 중 일부 스킬 발동 가능
<rowcolor=#9d864b>[크레이지 발칸]
추적 성공 시 잡기 가능 프로세스 발동
- 연타 공격 횟수 6회 감소
- 총합 공격력은 동일
- 연타 공격마다 독문무공 기본1타 공격력 합산

시전 중 일발화약성, 히든 스팅, 블록 버스터 입력 시 피니시 공격과 함께 독기 폭발이 발생
- 입력한 스킬의 공격력을 합산
입력한 스킬에 따라 상태 이상을 즉시 부여
- 일발화약성: 화상
- 히든 스팅: 중독/출혈
- 블록 버스터: 기절
크레이지 발칸이 누구에게 쓰던 무조건 잡기 가능 프로세스(연속해서 때리기)로 적용된다. 연타 횟수가 절반으로 줄어든 6회가 되며, 매 공격시마다 독문무공 평타 1타 데미지가 추가된다. 즉 기존 크레이지 발칸에 독문무공 평타 1타 6회분의 데미지가 추가되는 셈인데, 이 독문무공 데미지 추가는 크레이지 발칸이 강제로 연타가 되고 연타 횟수가 절반이나 줄어들어서 잡기 불가 프로세스로 1회만 치고 평타를 치는 것보다 약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스킬 데미지가 늘어난다고 보긴 어렵다. 일종의 보정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다만 한계 셋을 중심으로 하는 각성기 강화 세팅을 하고 았다면 각성기 딜이 오르면서 독문평타 딜도 같이 오르기에 이 개화를 채용시 크발의 딜이 하늘을 뚫고 올라간다.

그리고 크레이지 발칸 공격 도중 일발화약성/히든 스팅/블록 버스터를 시전할 수 있으며, 시전시 모션이 캔슬되고 각 스킬의 데미지와 상태이상이 크레이지 발칸에 합산된다. 세 스킬 모두 모션이 큰 스킬은 아니지만, 기본기 3개를 한 스킬에 한번에 압축할 수 있다는 것은 꽤나 큰 메리트. 블록 버스터의 경우 딜효율상 잘 쓰지 않는다 쳐도 2개 합산만으로도 쏠쏠하다.

폭혈일쇄와는 일장일단이 있다. 폭혈일쇄는 용독의 가장 큰 족쇄중 하나던 상변 지연딜을 해결해 주지만, 비열한 파운딩은 한번에 스킬 여러개를 뭉쳐서 쏟아부을 수 있게 해 주는 셈이라 그만큼 독문무공 평타를 칠 시간이 늘어나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하술할 몇몇 VP와 연계하면 크레이지 발칸 하나에 스킬을 최대 6개, 블록 버스터를 버리더라도 5개까지 뭉쳐서 우겨넣을 수 있게 되어 채널링이 비약적으로 줄어든다.

2.4. 베놈 마인

2.4.1. Ⅰ - 바이퍼 마인

바이퍼 마인
스택화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베놈 마인]
2회 스택형으로 변경
- 1회 충전 쿨타임: 12초
- 1회 공격력 50% 감소

독 기둥 폭발 크기 40% 증가

탈리스만 효과. 퍼쿨은 유지한 채로 심플하게 마인이 2회 스택화가 되고 폭발 크기가 증가한다. 퍼쿨 변화 없이 단순히 프로세스만 1회분이 추가되는 것이므로 실전에선 손해를 보면 봤지 이득볼 일은 없다. 다만 용독의 몇 안되는 매우 짧은 모션의 광역기가 2스택이 되는 만큼 일던이나 종말의 숭배자 등 뺑뺑이 컨텐츠에서는 매우 편해지기 때문에, 그런 쪽에 갈 때는 VP를 잠시 바꾸는 한이 있어도 채용하는 게 좋다.

2.4.2. Ⅱ - 비장지독

비장지독
다른 행동 중 시전 가능
<rowcolor=#9d864b>[베놈 마인]
각성기를 제외한 전직 계열 스킬 시전 시 베놈 마인 사용 가능
- 시전 모션 삭제
점프 상태 및 피격 중 베놈 마인 사용 가능
- 시전 모션 삭제

각성기 외 전직 계열 스킬 시전 도중 베놈 마인을 모션 없이 섞어쓸 수 있게 된다. VP1과 반대로 채널링을 아예 삭제해 버리는 만큼 채용 가치가 없지는 않으나, 베놈 마인의 모션이 결코 긴 편은 아니고 오히려 매우 짧은 편에 속해 감소되는 채널링 시간도 미미하다는 걸 생각하면 약간 애매한 면도 있다. 위의 '비열한 파운딩'과도 같이 시전이 가능해 연계할 수 있다.

2.5. 정크 스핀

2.5.1. Ⅰ - 대방출

대방출
시전 시간 감소
연타 기능 삭제
범위 증가
<rowcolor=#9d864b>[정크 스핀]
회전 속도 증가
- 연타 기능 삭제

다이너마이트 폭발 시 2초간 홀드 적용
생활용품 크기 30% 증가
다이너마이트 폭발 크기 30% 증가

정크 스핀의 회전 속도를 최대치로 고정하고 연타로 회전속도를 올리는 기능을 삭제한다. 막타 폭발 시 2초간 홀드가 적용된다.
홀드가 현 메타에 아무 쓸모 없는 유틸이고, 정크 스핀은 원래도 마지막 폭발에 딜이 몰려 있어 시전 즉시 C캔슬로 폭발만 먹이는 게 정석이기 때문에 두 효과 모두 별로 쓸 일이 없다. 취향상 정크스핀의 쓰레기 투척이 반드시 보고 싶은 유저라면 채용할만하다(...)

2.5.2. Ⅱ - 정크 싸이클론

정크 싸이클론
무적 부여
적 모으기 추가
<rowcolor=#9d864b>[정크 스핀]
시전 시 무적 부여

시전 시 허리케인이 발생하여 적을 끌어당김

정크 스핀을 통짜 무적기로 만든다.
무적기 자체는 당연히 있어서 나쁠 게 없지만 용독은 통무적기로 버티기보단 짤무적으로 흘린 후 평타 한 대라도 더 쳐야 하는 직업이고, 그렇다고 용독이 무적기가 부족한가 하면 개사기 짤무적기 크라우치는 물론 같은 통무적기인 크레이지 발칸도 있어 무적기가 절실하지도 않다. 허리케인 효과를 보고 몹몰이용으로 쓰기엔 일던에서 정크스핀을 쓰는 것 자체가 시간 손해.

2.6. 맹독 일발화약성

2.6.1. Ⅰ - 폭혈비독수

맹독 일발화약성
상태 이상 피해 즉시 적용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맹독 일발화약성]
타격 성공 시 즉폭의 혈이 발생하여 자신의 중독 상태이상 피해 즉시 적용

폭발 후 1초간 홀드 적용

폭발 범위 20% 증가

크레이지 발칸 VP에도 붙어 있던 즉폭. 즉폭 2개까진 다소 과한 감이 많으므로 크발에서 즉폭을 채용했다면 쓸 이유가 딱히 없고, 비열한 파운딩을 채택했다면 가치가 생긴다. 맹일발은 특유의 상태이상 조건부 때문에 보통 때릴거 다 때리고 마지막에 쓰기 때문에 즉폭 정산도 가장 효율적으로 되는 편.

2.6.2. Ⅱ - 들끓는 독수

들끓는 독수
상태 이상 조건부 삭제
공격 실패 보정
<rowcolor=#9d864b>[맹독 일발화약성]
상태 이상 적용 개수에 따른 공격력 증가 기능 삭제
- 공격력 60% 증가

피격된 적이 없으면 남은 쿨타임 4초로 감소

맹일발에 걸려 있는 상태 이상 1개당 공격력 20% 증가가 3번 중첩되는 기능을 없애고 공격력을 60% 증가시킨다. 상변 족쇄가 사라지는 것은 물론 특유의 좁디좁은 타점 탓에 스킬이 헛쳐도 쿨이 4초로 줄어들어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별다른 조건을 신경쓸 필요 없이 쿨타임이 도는 대로 바로바로 맹일발을 꽃아도 최대 데미지가 들어가다보니 편의성이 매우 뛰어나다.

2.7. 블록 봄

2.7.1. Ⅰ - 버스터 봄

버스터 봄
범위 증가
스택화
공중 사용 가능
<rowcolor=#9d864b>[블록 봄]
벽돌이 정면으로 날아가며 폭발하는 스킬로 변경
- 바닥을 강하게 내려칠 때부터 홀드 적용

2회 스택형으로 변경
- 1회 충전 쿨타임 : 25초
- 1회 공격력 50% 감소

공중 사용 가능

탈리스만 시절의 그것. 블록 봄 자체가 쿨타임은 맹일발의 2배 가까이 되면서 정작 계수는 맹일발보다 떨어지는 아이러니한 부분 때문에 사실상 채용 가치는 전무하다.

2.7.2. Ⅱ - 킬버트 블록

킬버트 블록
시전 시간 감소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블록 봄]
다이너마이트 벽돌을 꺼내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폭발하는 스킬로 변경
- 바닥을 내려친 후 캐릭터 행동 가능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전직 계열 스킬의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사용 가능

블록 봄이 일종의 설치기로 바뀌는데, 블록 봄이 채널링이 긴 스킬이 아니라서 별다른 메리트는 없다. 되려 바로 터질 딜이 늦게 터지게 되면서 맞출 스킬도 못 맞출 가능성도 있고, 원본 스킬이 쓰레기라는 점까지 겹쳐서 채용 가치는 없다.

2.8. 비기 : 폭독

2.8.1. Ⅰ - 비각술

비각술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비기 : 폭독]
뒤로 물러나는 거리 50% 감소
덤블링 중 공중 사용 가능한 전직 계열 스킬 사용 가능

탈리스만 시절의 그것. 페인킬러나 파진포 등 공중 시전 가능한 스킬들과 무난한 시너지를 보인다. 초창기엔 높은 채용률을 보였으나 아래의 VP가 재평가받은 뒤로는 조금씩 밀리는 추세.

2.8.2. Ⅱ - 무영혈독보

무영혈독보
다른 행동 중 시전 가능
급습 쿨타임 초기화
<rowcolor=#9d864b>[비기 : 폭독]
시전 시 발차기 공격력 삭제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일부 전직 계열 스킬 시전 중 비기 : 폭독 입력시 타격된 적에게 폭독 폭발이 발생
- 비기 : 폭독 모션 삭제 및 공격력 합산
- 사용 가능 스킬: 급습, 일발화약성, 히든 스팅, 블록버스터, 마운트, 맹독 일발화약성

폭독 폭발 시 급습 쿨타임 초기화
- 급습 공격력 11% 감소

폭독 폭발에 데미지를 몰빵하고, 일부 전직 계열 스킬이랑 동시에 시전 시 모션을 없애고 데미지를 합산해버리는 VP. 비각술이 점프 딜레이를 캔슬시키게 해준다면 무영혈독보는 그냥 점프 자체를 없애버린다.
퍼섭에 등장했을 때는 오로지 급습 하나랑만 연계되었는데, 급습 자체가 거의 버리는 스킬이라 이걸 어디에 쓰라는 거냐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본섭에 넘어오면서 상당수의 전직계열 스킬과 연계가 추가되었고, 덕분에 대부분의 스킬과 연계해서 모션을 지워버리는 만능 캔슬 VP로 사실상 비각술의 상위호환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마운트와도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열한 파운딩-비장지독-무영혈독보 VP 채용시 마운트 한방에 크레이지발칸+일발화약성+히든 스팅+블록버스터+베놈 마인+폭독으로 최대 6개의 스킬을 앉은자리에서 한번에 우겨넣는 압축이 가능하다.

2.9. 만병지왕 - 파진포

2.9.1. Ⅰ - 오버 더 리미트

오버 더 리미트
시전 시간 감소
무적 강화
<rowcolor=#9d864b>[만병지왕 - 파진포]
폭탄이 담긴 상자를 투척 후 내려찍어 터뜨리는 스킬로 변경
- 독지대 지속 시간 50% 감소
- 총합 공격력은 동일
- 시전 시 무적 부여

독지대 데미지는 원래부터 별볼일 없기 때문에 지속시간 50% 감소가 딜압축으로 평가되긴 어렵고, 사실상 무적기 하나를 추가해주는 느낌의 VP. 다만 점프높이가 올라가 시전시간이 길어지는 점은 호불호가 갈린다.

2.9.2. Ⅱ - 천독암진

천독암진
속도 버프 부여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만병지왕 - 파진포]
독기가 들끓는 독지대가 발생하는 스킬로 변경
- 독지대 지속 시간 100% 증가
- 총합 공격력은 동일

독지대 안에 있을 경우 속도 버프 적용
- 공격 속도 15% 증가
- 이동 속도 15% 증가

- 공격 범위 50% 증가

독지대의 지속시간을 오히려 늘리고 독지대 안에서 버프를 얻는 효과. 상술했듯 독지대의 딜비중은 매우 낮으므로 지속시간이 늘던 줄던 크게 알 바는 아니지만, 특정 스킬 시전 후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만 적용되는 버프인 것도 성가신데 그 버프가 고작 공이속 15%정도라는 점에서 리턴이 너무 뒤떨어진다.

3. 스킬 강화


탈리스만 시절부터 몰빵 대상 스킬이던 비기 : 폭독의 경우 거의 고정 강화 대상이며, 나머지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마운트, 그라운드 킥, 맹일발, 파진포 등의 스킬 중 2개를 택해서 강화한다.

특이사항으로 '비열한 파운딩' 채용 시 마운트를 공격력+쿨타임 감소 강화에 넣으면 같이 쓰는 기본기인 일발화약성/히든 스팅과 0.5초 차이 내외로 쿨이 맞물려 마운트+기본기-기본기-마운트+기본기 식으로 사이클이 돌아간다.

3.1. 목록

스킬 공격력 증가 공격력 증가 & 쿨타임 감소
일발화약성 스킬 공격력 60% 증가 스킬 공격력 43%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급습
히든 스팅
블록 버스터
마운트
천라지망 스킬 공격력 55% 증가 스킬 공격력 38%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그라운드 킥
크레이지 발칸
베놈 마인
정크 스핀
맹독 일발화약성
블록 봄
비기 : 폭독
만병지왕 - 파진포


[1] 보통 40초 안에 그라운드 킥은 3번 들어가지만, 이 VP를 채용하면 그킥 2배 분량의 딜을 2번 쓰게 되어 총 4회분의 딜이 박힌다.[2] 6월 기준 최상위 던전인 나벨 레이드의 보스급 몬스터 상당수가 중독 내성이 낮아 어느 정도 이득을 보기는 한다. 단지 5초에 달하는 지연딜이 그 이득을 상쇄하고도 남는다는 게 문제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