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08:44:33

스킬 개화/넨마스터(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킬 개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넨마스터/여자/스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dnf_logo.png
직업별 스킬 개화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귀검사/남자|
파일:mc_txt01.png
]]
[[스킬 개화/웨펀마스터|
파일:thum_type_d1.png
웨펀마스터
]]
[[스킬 개화/소울브링어|
파일:thum_type_d2.png
소울브링어
]]
[[스킬 개화/버서커|
파일:thum_type_d3.png
버서커
]]
[[스킬 개화/아수라|
파일:thum_type_d4.png
아수라
]]
[[스킬 개화/검귀|
파일:thum_type_d5.png
검귀
]]
[[귀검사/여자|
파일:mc_txt02.png
]]
[[스킬 개화/소드마스터|
파일:thum_type_d6.png
소드마스터
]]
[[스킬 개화/다크템플러|
파일:thum_type_d9.png
다크템플러
]]
[[스킬 개화/데몬슬레이어|
파일:thum_type_d7.png
데몬슬레이어
]]
[[스킬 개화/베가본드|
파일:thum_type_d8.png
베가본드
]]
[[스킬 개화/블레이드|
파일:thum_type_d10.png
블레이드
]]
[[격투가(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3.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남)|
파일:thum_type_d11.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남)|
파일:thum_type_d12.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남)|
파일:thum_type_d13.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남)|
파일:thum_type_d14.png
그래플러
]]
[[격투가(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4.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여)|
파일:thum_type_d15.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여)|
파일:thum_type_d16.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여)|
파일:thum_type_d17.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여)|
파일:thum_type_d18.png
그래플러
]]
[[거너(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5.png
]]
[[스킬 개화/레인저(남)|
파일:thum_type_d19.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남)|
파일:thum_type_d20.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남)|
파일:thum_type_d21.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남)|
파일:thum_type_d22.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어썰트|
파일:thum_type_d23.png
어썰트
]]
[[거너(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6.png
]]
[[스킬 개화/레인저(여)|
파일:thum_type_d24.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여)|
파일:thum_type_d25.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여)|
파일:thum_type_d26.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여)|
파일:thum_type_d27.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패러메딕|
파일:thum_type_d68.png
패러메딕
]]
[[마법사(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7.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바머|
파일:thum_type_d28.png
엘레멘탈 바머
]]
[[스킬 개화/빙결사|
파일:thum_type_d29.png
빙결사
]]
[[스킬 개화/블러드 메이지|
파일:thum_type_d30.png
블러드 메이지
]]
[[스킬 개화/스위프트 마스터|
파일:thum_type_d31.png
스위프트 마스터
]]
[[스킬 개화/디멘션 워커|
파일:thum_type_d32.png
디멘션 워커
]]
[[마법사(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8.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마스터|
파일:thum_type_d33.png
엘레멘탈마스터
]]
[[스킬 개화/소환사|
파일:thum_type_d34.png
소환사
]]
[[스킬 개화/배틀메이지|
파일:thum_type_d35.png
배틀메이지
]]
[[스킬 개화/마도학자|
파일:thum_type_d36.png
마도학자
]]
[[스킬 개화/인챈트리스|
파일:thum_type_d37.png
인챈트리스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9.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남)|
파일:thum_type_d38.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인파이터|
파일:thum_type_d39.png
인파이터
]]
[[스킬 개화/퇴마사|
파일:thum_type_d40.png
퇴마사
]]
[[스킬 개화/어벤저|
파일:thum_type_d41.png
어벤저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10.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여)|
파일:thum_type_d42.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이단심판관|
파일:thum_type_d43.png
이단심판관
]]
[[스킬 개화/무녀|
파일:thum_type_d44.png
무녀
]]
[[스킬 개화/미스트리스|
파일:thum_type_d45.png
미스트리스
]]
[[도적(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1.png
]]
[[스킬 개화/로그|
파일:thum_type_d46.png
로그
]]
[[스킬 개화/사령술사|
파일:thum_type_d47.png
사령술사
]]
[[스킬 개화/쿠노이치|
파일:thum_type_d48.png
쿠노이치
]]
[[스킬 개화/섀도우 댄서|
파일:thum_type_d49.png
섀도우 댄서
]]
[[나이트(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2.png
]]
[[스킬 개화/엘븐나이트|
파일:thum_type_d50.png
엘븐나이트
]]
[[스킬 개화/카오스|
파일:thum_type_d51.png
카오스
]]
[[스킬 개화/팔라딘|
파일:thum_type_d52.png
팔라딘
]]
[[스킬 개화/드래곤나이트|
파일:thum_type_d53.png
드래곤나이트
]]
[[마창사|
파일:mc_txt13.png
]]
[[스킬 개화/뱅가드|
파일:thum_type_d54.png
뱅가드
]]
[[스킬 개화/듀얼리스트|
파일:thum_type_d55.png
듀얼리스트
]]
[[스킬 개화/드래고니안 랜서|
파일:thum_type_d56.png
드래고니안 랜서
]]
[[스킬 개화/다크 랜서|
파일:thum_type_d57.png
다크 랜서
]]
[[총검사|
파일:mc_txt14.png
]]
[[스킬 개화/히트맨|
파일:thum_type_d60.png
히트맨
]]
[[스킬 개화/요원|
파일:thum_type_d58.png
요원
]]
[[스킬 개화/트러블 슈터|
파일:thum_type_d59.png
트러블 슈터
]]
[[스킬 개화/스페셜리스트|
파일:thum_type_d61.png
스페셜리스트
]]
[[아처(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7.png
]]
[[스킬 개화/뮤즈|
파일:thum_type_d62.png
뮤즈
]]
[[스킬 개화/트래블러|
파일:thum_type_d63.png
트래블러
]]
[[스킬 개화/헌터|
파일:thum_type_d64.png
헌터
]]
[[스킬 개화/비질란테|
파일:thum_type_d65.png
비질란테
]]
[[스킬 개화/키메라|
파일:thum_type_d69.png
키메라
]]
외전 [[스킬 개화/다크나이트|
파일:thum_type_d66.png
다크나이트
]]
[[스킬 개화/크리에이터|
파일:thum_type_d67.png
크리에이터
]]
범례 물리 공격형, 마법 공격형, 하이브리드형, 버퍼 직업, 미구현된 직업
고정 데미지
}}}}}}}}} ||

1. 개요2. 목록
2.1. 사자후
2.1.1. Ⅰ - 대지일갈2.1.2. Ⅱ - 환영신후
2.2. 기공장
2.2.1. Ⅰ - 기공방출 : 쾌2.2.2. Ⅱ - 일점구멸
2.3. 광룡승천파
2.3.1. Ⅰ - 광룡비상천2.3.2. Ⅱ - 운룡신무
2.4. 광룡십삼장
2.4.1. Ⅰ - 진 : 광룡강림2.4.2. Ⅱ - 광룡천경화
2.5. 태사자후
2.5.1. Ⅰ - 산혼태성2.5.2. Ⅱ - 만호제성
2.6. 섬광환격
2.6.1. Ⅰ - 함심섬격 : 려2.6.2. Ⅱ - 환영파쇄공
2.7. 흡기공탄
2.7.1. Ⅰ - 환영기공파2.7.2. Ⅱ - 호신강기
3. 종합 평가4. 스킬 강화
4.1. 목록

1. 개요

던전앤파이터의 직업 여성 넨마스터의 VP 옵션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VP 투자가 추천되는 스킬은 다음과 같다. 이하 표는 "해당 스킬에 VP를 선택해야만 한다"는 전제 하에 작성된 것이므로 실제 VP 투자 시에는 본인 취향 껏 선택하면 된다. VP를 선택하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만 1, 2옵션 중 선택지의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에는 둘 다 표시해두었다. 추후에 선택지가 굳어진다면 수정을 바란다. 추천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각각의 개화에서 설명한다.
<rowcolor=white> 스킬 이름 1옵션 2옵션
사자후 O
기공장 O
광룡승천파 O
광룡십삼장 O O
태사자후 O
섬광환격 O
흡기공탄 O

2. 목록

2.1. 사자후

2.1.1. Ⅰ - 대지일갈

대지일갈
스택화
홀드 기능 추가
상태이상 해제
<rowcolor=#9d864b>[사자후]
타격된 적이 기절하지 않으며 넨 폭발 발생 후 3초간 홀딩됨

자신에게 걸린 상태 이상을 해제하며 시전 가능

2회 스택형으로 변경
- 1회 충전 쿨타임 : 7.5초
- 1회 공격력 50% 감소
준수한 구조의 단타기를 굳이 스택화시키는 이해할 수 없는 옵션, 애쥬어 메인의 멜리오나 상대로 쓰기에도 사자후에 기본적으로 기절 상태이상이 있기 때문에 홀딩불가를 기본으로 달고 있는 현 환경에선 메리트가 없다시피하다. 일반 던전을 돌 때나 채용해볼만한 광부용 옵션.

2.1.2. Ⅱ - 환영신후

환영신후
시전 시간 감소
<rowcolor=#9d864b>[사자후]
분신을 생성하여 사자후를 대신 시전하도록 변경
- 각성기를 제외한 타 스킬 도중에 시전 모션 없이 발동 가능
사자후를 채용한다면 던담딜 올리는 용도로 그나마 채용할 여지가 있는 개화로, 일단 개화 자체는 타 스킬 사용 중에도 발동할 수 있는 걸로 준수하게 나왔다.

문제는 사자후 자체의 낮은 밸류로, 45제 광룡승천파나 60제 광룡십삼장과 더불어 사자후의 퍼쿨이 9만을 넘기지 못한다. 광룡승천파나 광룡십삼장은 쿨타임이 긴 만큼 계수가 확보되어있어 그로기 딜에 보탤 수 있지만, 사자후는 어중간한 쿨타임을 가져 기본 계수가 낮은 편인데도 쿨마다 써야 광룡승천파나 광룡십삼장을 근소하게 앞서는 퍼쿨이 나오는 중급기라는 것이 채용을 망설이게 하는 요소다.

또한 여넨마가 별다른 캔슬 기능이 없는데도 천뢰분신보를 제외하고 스킬 회전이 빠른 편이라 정화셋이 잘 어울리는 편인데 타락 모드로 굴릴 때 마법석의 쿨감까지 하면 사자후의 쿨타임이 5초대가 되어서 진각기 사용 전에 발동해도 도중에 쿨타임이 돌아와서 노는[1] 것도 문제다.

결과적으로 사자후 자체 체급이 낮은 편이라 아쉬운 개화지만 타 스킬 도중 시전 모션 없이 발동 가능 하나가 사자후의 밸류를 올려주는건 분명하기에 사자후를 채용한다면 그나마 나은 선택지다.

2.2. 기공장

2.2.1. Ⅰ - 기공방출 : 쾌

기공방출 : 쾌
시전 시간 감소
범위 증가
<rowcolor=#9d864b>[기공장]
기공장이 정면으로 발사됨

기공장 범위 50% 증가
탈리스만 때부터 준수한 구조변화를 가져온 만큼 포기할 수 없는 개화다.

2.2.2. Ⅱ - 일점구멸

일점구멸
1히트로 변경
적 모으기 추가
시전 시간 감소
범위 증가
<rowcolor=#9d864b>[기공장]
전방에 커다란 기공장을 생성하여 적을 끌어모은 후 폭발하는 스킬로 변경
- 다단히트 공격 삭제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채널링 개선이 없는 특징 때문에 사실상 vp1의 하위호환에 가깝다.

2.3. 광룡승천파

2.3.1. Ⅰ - 광룡비상천

광룡비상천
시전 시간 감소
범위 증가
<rowcolor=#9d864b>[광룡승천파]
넨을 끌어모으는 모션 제거
- 넨수 용 방출 속도 25% 증가
- 다단히트 간격 25% 감소

공격 범위 30% 증가
광룡승천파는 선딜레이가 짧은 편이라 굳이 채택하는 유저는 적다. 스포 효율 문제로 45제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은 여넨마도 예외가 아니란 것도 크다.

2.3.2. Ⅱ - 운룡신무

운룡신무
딜레이 캔슬
광룡십삼장 연계 기능 추가
<rowcolor=#9d864b>[광룡승천파]
각성기를 제외한 전직 계열 스킬의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광룡승천파 시전 가능

공중 올려차기 모션 직후 광룡십삼장 스킬로 연계가 가능하도록 변경
그나마 쓸 여지가 있어보이는 vp1보다 이해할 수 없는 개화로, 후딜레이 캔슬 기능을 추가하는 것보다 그냥 선딜레이를 단축하는 것의 효과가 더 좋고 광룡십삼장에서 어느 개화를 선택해도 광룡승천파와 쿨을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크다.

2.4. 광룡십삼장

2.4.1. Ⅰ - 진 : 광룡강림

진 : 광룡강림
1히트로 변경
시전 시간 감소
적 모으기 추가
<rowcolor=#9d864b>[광룡십삼장]
작은 광룡 폭발 공격 삭제
- 총 공격력은 동일
- 거대 광룡 하강 속도 300% 감소
- 이동 경로 상의 적을 전방으로 모으도록 변경
채널링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지만 광룡십삼장의 속도가 캐스트속도의 영향을 받게 된 후엔 채용 유무의 큰 딜레이 차이가 없다.

그래도 필수 개화 찍고 나면 VP가 남아 선택지가 생긴 김에 짧은 딜레이라도 줄이기 위해 찍는 걸 고려할 수는 있다.

2.4.2. Ⅱ - 광룡천경화

광룡천경화
공격력/쿨타임 증가
범위 증가
<rowcolor=#9d864b>[광룡십삼장]
분신과 함께 더 강하고 넓은 범위를 공격하는 광룡십삼장을 시전하도록 변경
- 작은 광룡 폭발 타격 횟수 : 10회
- 거대 광룡 폭발 타격 횟수 : 2회
- 기본 쿨타임 60초로 변경
- 총합 공격력 100% 증가

공격 범위 30% 증가
스킬 퍼쿨을 건드리지 않는 스킬 개화에서 공격력과 쿨타임을 같이 올리는 스킬 개화는 높은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스킬의 채널링 변동은 없어도 사용 횟수가 줄은 만큼 실질적인 채널링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증가한 쿨타임으로는 마법석 쿨감 15%를 고려해도 40초 2회는 안되지만 정화셋이 아니라도 고유픽이나 레거시에서 쿨감을 챙겨와 증가한 쿨타임으로도 40초 2회가 나오면 최선의 선택이 된다.

2.5. 태사자후

2.5.1. Ⅰ - 산혼태성

산혼태성
받는 피해 감소
적 모으기 추가
범위 증가
<rowcolor=#9d864b>[태사자후]
시전 시 적을 끌어모으는 효과 부여
- 끌어모으는 범위는 공격 범위와 동일

타격 성공 시 3초 동안 받는 피해 60% 감소

공격 범위 20% 증가
스킬 개화가 심심한 편이지만 기공장, 광룡십삼장, 섬광환격, 흡기공탄까지 채용하고도 사자후를 채용하지 않는다면 마땅히 찍을 만한 개화가 없어 무난하게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2.5.2. Ⅱ - 만호제성

만호제성
사자후 쿨타임 초기화
시전 시간 감소
<rowcolor=#9d864b>[태사자후]
태사자후 시전 시 사자후 쿨타임 초기화
- 사자후 공격력 33% 감소

사자후, 태사자후 스킬의 시전 시간 20% 감소
탈리스만의 댐증이 없어지고 스킬 퍼쿨을 건드리지 않는 스킬 개화에서 굳이 약화된 공격을 여러번 하게 만드는 스킬 개화의 평가가 나쁜 경우가 많은데 이 스킬도 예외가 아니다.

퍼스트서버에 처음 나올 때 대지일갈과의 조합으로 사사태사사면 광부할 때 좋겠다는 이야기도 나왔지만 본섭에 패치될 때 그런 이야기가 사라진 것에서 알 수 있다. 실제로 만호제성과 궁합이 좋은 사자후 개화는 2스택으로 만드는 대지일갈이 아니라 다른 스킬 사용 중 사자후 발동이 가능한 환영신후고, 그마저도 굳이 만호제성을 쓸 때나 그렇다.[2]

2.6. 섬광환격

2.6.1. Ⅰ - 함심섬격 : 려

함심섬격 : 려
제자리 시전으로 변경
시전 시간 감소
범위 증가
<rowcolor=#9d864b>[섬광환격]
분신이 적을 통과한 후, 최대 이동 거리에서 폭발
- 캐릭터가 돌진하지 않음
- 분신 돌진, 폭발 거리 20% 감소
- 분신 폭발 범위 30% 증가

스킬 프로세스 속도 20% 감소
캐릭터가 돌진하지 않는 순수 중거리 스킬이 되어 선호도가 높다.

2.6.2. Ⅱ - 환영파쇄공

환영파쇄공
1히트로 변경
시전 시간 감소
기절 부여
<rowcolor=#9d864b>[섬광환격]
분신과 함께 돌진하는 스킬로 변경됨

1히트로 변경
- 총합 공격력은 동일

타격된 적에게 5초간 기절 상태 이상 부여
단타기란 메리트가 있어도 돌진기로 변하는 것에서 호불호가 갈려 보통은 vp1의 선호도가 더 높다.

2.7. 흡기공탄

2.7.1. Ⅰ - 환영기공파

환영기공파
시전 시간 감소
범위 증가
<rowcolor=#9d864b>[흡기공탄]
분신 2기를 생성하여 강력한 에너지를 대신 발사하도록 변경

공격 범위 30% 증가
채널링 스킬을 설치기로 만드는 변화의 유용함은 탈리스만 때부터 유효했으니 개화의 필요성은 길게 적을 필요가 없다.

2.7.2. Ⅱ - 호신강기

호신강기
천염화 쿨타임 감소
추적
<rowcolor=#9d864b>[흡기공탄]
추적형 넨 구슬을 방출하는 스킬로 변경

넨 구슬이 방출됨과 동시에 자신에게 보호형 넨 구슬 생성
- 추적형 넨 구슬 : 3초간 가장 강한 적을 공격
- 적 추적 범위 : 캐릭터 전방 800px
- 보호형 넨 구슬 : 흩날리는 천염화 스킬의 남은 쿨타임 50% 감소
추적형 넨 구슬은 붙은 몹이 죽으면 다른 몹에게 붙는 의외의 인공지능을 가졌지만 원 스킬이 범위기라는 것이 채용을 껄끄럽게 만든다. 무엇보다 지연딜은 무적 상태가 되면 후속딜이 노대미지와 다름없어서 관점에 따라 준수한 스킬을 오히려 개악시키는 개화로 볼 수 있다.

다만 종말의 숭배자를 돌 때는 은근히 써먹어봄직한 개화긴 하다. 나선의 넨의 경우는 범위 증가 옵션 달린 융합석을 가지지 않으면 은근히 범위가 적어 그냥 쭉 달려나가기 은근히 까다롭게 변하기도 하고, 3번째 방에 자리한 종말의 증표의 경우, 나넨으로는 죽일 때 다소 텀이 생기는 경우도 잦다. 근데 호신강기의 경우, 걍 무시하고 달리기만 해도 넨 구슬이 신나게 몹들을 잡고, 종말의 증표도 터뜨려 부수기까지 하는지라 의외의 장점이 되긴 한다. 물론 이마저도 나넨보다 더 낫다고 하기엔 애매한지라...

3. 종합 평가

광룡십삼장 2번 개화를 제외하면 하나같이 기존 탈리스만 옵션이 더 좋은 평가를 받는 몇 안되는 직업.

여넨마가 원래도 시즌 10 기준 독보적인 사기 캐릭터로 평가받는 만큼 개화까지 좋게 받을 거라고는 예상하지 않았지만, 이 정도로 추가된 개화 옵션이 저열하게 나올 줄은 다들 상상하지 못했다. 퍼스트 서버에서 주목받았던 사자후 1번 개화 + 태사자후 2번 개화를 통한 사사태사사는 사자후 자체의 저열한 성능으로 인해 예능옵션으로 결론났고, 결국 탈리스만 자리가 부족해서 못 찍었던 나머지 두 개를 더 찍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여넨마가 개화를 통해 얻은 사실상의 유일한 소득.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탈리스만 성능이 하나같이 우수한 성능을 자랑했기에 크게 불만이 나오지는 않았다.

기공방출 : 쾌, 함심섬격 : 려, 환영기공파는 탈리스만 때 유효한 옵션이 건재한 만큼 vp2를 고려할 필요도 없다.

실질적인 선택지는 쿨감 상황을 고려해 광룡십삼장에서 진 : 황룡강림이나 광룡천경화 중 선택하는 것[3]과 사자후를 채용한다면 환영신후를, 채용하지 않는다면 보통 광룡승천파를 마스터했으니 광룡비상천을 선택하고 굳이 광룡승천파의 선딜을 줄일 필요를 못 느낀다면 산혼태성이라도 채용해 vp를 모두 쓰는 게 좋다.

4. 스킬 강화

4.1. 목록

스킬 공격력 증가 공격력 증가 & 쿨타임 감소
넨탄 스킬 공격력 60% 증가 스킬 공격력 43%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기옥탄
뇌전격
비룡나선파
사자후 스킬 공격력 55% 증가 스킬 공격력 38%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기공장
광룡승천파
광룡십삼장
태사자후
섬광환격
흡기공탄
섬광환격[4]과 흡기공탄은 무조건 챙겨간다, 쿨감은 깡스증보다 퍼쿨이 높지만 딜쿨비가 떨어지기 때문에 채용해서 횟수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아니면 깡스증을 선택하는 게 좋고 나머지는 광룡십삼장을 가는게 좋은데 쿨감을 많이 챙겨 기공장으로 40초 6번을 찍더라도 광룡천경화를 찍은 광룡십삼장이 40초 3번을 찍으면 벌어진 밸류를 따라잡기 어렵기 때문이다.


[1] 각성기를 제외한이란 조건부가 있어 놀게 되는 것. 만약 각성기 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면 어중간한 쿨타임으로 문제삼을 이유가 없다.[2] 그리고 환영신후까지 찍을 정도면 기공장, 광룡십삼장, 섬광환격, 흡기공탄 투자를 끝낸 상태에서 찍는거라 찍을 vp가 더 없고(...) 광룡십삼장 안 찍고 사자후와 태사자후를 찍기에도 사자후가 기본적인 밸류가 높은 편이 아니라 굳이 그렇게까지 쓸 메리트는 없다.[3] 보통 쿨감으로 포타임 중 2회 우겨넣기를 노리는 광룡천경화 쪽의 선호도가 더 높다.[4] 쿨감을 챙겨 진각포 43초 3번 찍을 무렵에 기공장 6회를 찍을 때 기공장에게 밀릴 수 있지만 섬광환격 4번을 찍으면 다시 앞서니 섬광환격은 꼭 챙기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