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守 | 株 | 待 | 兎 |
지킬 수 | 그루 주 | 기다릴 대 | 토끼 토 |
1. 개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무런 개선도 없이 과거에 있었던 성공이 현재에 다시 일어나기를 무작정 기다리는 어리석음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2. 유래
上古之世,人民少而禽獸眾,人民不勝禽獸蟲蛇,有聖人作,搆木為巢以避群害,而民悅之,使王天下,號曰有巢氏。民食果蓏蚌蛤,腥臊惡臭而傷害腹胃,民多疾病,有聖人作,鑽燧取火以化腥臊,而民說之,使王天下,號之曰燧人氏。中古之世,天下大水,而鯀、禹決瀆。近古之世,桀、紂暴亂,而湯、武征伐。今有搆木鑽燧於夏后氏之世者,必為鯀、禹笑矣。有決瀆於殷、周之世者,必為湯、武笑矣。然則今有美堯、舜、湯、武、禹之道於當今之世者,必為新聖笑矣。是以聖人不期脩古,不法常可,論世之事,因為之備。宋人有耕田者,田中有株,兔走,觸株折頸而死,因釋其耒而守株,冀復得兔,兔不可復得,而身為宋國笑。今欲以先王之政,治當世之民,皆守株之類也。古者丈夫不耕,草木之實足食也;婦人不織,禽獸之皮足衣也。不事力而養足,人民少而財有餘,故民不爭。是以厚賞不行,重罰不用而民自治。今人有五子不為多,子又有五子,大父未死而有二十五孫,是以人民眾而貨財寡,事力勞而供養薄,故民爭,雖倍賞累罰而不免於亂。
상고시대에는 사람은 적고 짐승은 많았으며, 사람은 짐승이나 벌레, 뱀 따위를 이기지 못했었다. 그 때 성인이 나타나서 나무를 엮어 둥지를 만들고 갖가지 해악을 피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기뻐하며 천하에 왕노릇하게 하였으니, 유소씨(有巢氏)라고 불렀다. 사람들은 열매, 조개를 먹고 살았는데 냄새가 고약하고 위장을 상하게 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질병에 많이 걸렸다. 그 때 성인이 나타나서 부싯돌로 불을 일으키고 고약한 냄새를 제거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기뻐하며 천하의 왕노릇하게 하였으니, 수인씨(燧人氏)라고 불렀다. 중고시대에는 천하에 큰 홍수가 일어나 곤이나 우는 강의 흐름을 틔웠다. 근고 시대에 걸이나 주는 난폭한 난리를 부렸으므로 탕왕이나 무왕이 토벌했다. 지금 하후씨 시대처럼 나무를 엮고 부싯돌을 사용하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곤이나 우에게 조소를 당할 것이고, 은, 주 시대에 강의 흐름을 틔우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탕왕이나 무왕에게 조소를 당할 것이다. 그러한 즉 지금 당대에 요, 순, 탕, 무의 도리를 아름답게 여기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새로운 성인에게 조소가 될 것이니, 이로써 성인은 오래된 옛 것을 약속하지 않고, 항상 옳은 것만을 본받지 않으며, 세상의 일을 따지는 것으로부터 준비를 한다. 송나라 사람 중에 밭을 가는 자가 있었는데, 밭 가운데에 나무 그루터기가 있어서, 토끼가 달려오다가 그루터기에 부딪혀서는 목이 꺾여 죽었다. 이런 이유로 쟁기를 버리고선 그루터기를 지키면서 다시 토끼를 얻기를 바랬으나 토끼를 다시 얻을 수 없었으니 자신은 송나라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지금 앞선 왕의 정치로써 당대의 백성을 다스리려함은 모두가 그루터기를 지키는 유형인 것이다. 고대에는 사내가 경작하지 않았으니 초목의 열매만으로도 먹기에 충분했었고, 부인은 직물을 짜지 않았으니 짐승 가죽으로도 옷을 입기에 충분했었다. 일하지 않아도 (가족을) 부양하기 충분했고, 백성이 적고 물자는 여유로웠으므로 백성이 싸우지 않았다. 이때문에 큰 상을 주거나 무거운 벌을 가하지 않더라도 백성이 스스로 다스려졌다. 오늘날은 다섯 명의 자식이 있어도 많다고 여기지 않는데, 자식에게 또한 (각각) 다섯 자식이 있다고 한다면 할아버지가 아직 죽지 않았을 때 스물다섯 명의 손자가 있는 것이니, 이때문에 백성이 많고 물자가 부족해져서 일을 힘써도 받들어 모시기가 힘들어지므로, 백성들이 싸우거늘 비록 상을 갑절로 주고 거듭하여 벌을 내리더라도 난리를 면할 수 없다.
《한비자 韓非子》오두 五蠹
송나라에 한 농부가 있었다. 하루는 농부가 밭을 갈다가 나무 그루터기에 앉아서 쉬고 있었는데, 한 마리 토끼가 쏜살같이 달려오더니 밭 가운데 있는 그루터기에 머리를 들이받고는 목이 부러져 죽었다.상고시대에는 사람은 적고 짐승은 많았으며, 사람은 짐승이나 벌레, 뱀 따위를 이기지 못했었다. 그 때 성인이 나타나서 나무를 엮어 둥지를 만들고 갖가지 해악을 피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기뻐하며 천하에 왕노릇하게 하였으니, 유소씨(有巢氏)라고 불렀다. 사람들은 열매, 조개를 먹고 살았는데 냄새가 고약하고 위장을 상하게 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질병에 많이 걸렸다. 그 때 성인이 나타나서 부싯돌로 불을 일으키고 고약한 냄새를 제거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기뻐하며 천하의 왕노릇하게 하였으니, 수인씨(燧人氏)라고 불렀다. 중고시대에는 천하에 큰 홍수가 일어나 곤이나 우는 강의 흐름을 틔웠다. 근고 시대에 걸이나 주는 난폭한 난리를 부렸으므로 탕왕이나 무왕이 토벌했다. 지금 하후씨 시대처럼 나무를 엮고 부싯돌을 사용하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곤이나 우에게 조소를 당할 것이고, 은, 주 시대에 강의 흐름을 틔우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탕왕이나 무왕에게 조소를 당할 것이다. 그러한 즉 지금 당대에 요, 순, 탕, 무의 도리를 아름답게 여기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새로운 성인에게 조소가 될 것이니, 이로써 성인은 오래된 옛 것을 약속하지 않고, 항상 옳은 것만을 본받지 않으며, 세상의 일을 따지는 것으로부터 준비를 한다. 송나라 사람 중에 밭을 가는 자가 있었는데, 밭 가운데에 나무 그루터기가 있어서, 토끼가 달려오다가 그루터기에 부딪혀서는 목이 꺾여 죽었다. 이런 이유로 쟁기를 버리고선 그루터기를 지키면서 다시 토끼를 얻기를 바랬으나 토끼를 다시 얻을 수 없었으니 자신은 송나라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지금 앞선 왕의 정치로써 당대의 백성을 다스리려함은 모두가 그루터기를 지키는 유형인 것이다. 고대에는 사내가 경작하지 않았으니 초목의 열매만으로도 먹기에 충분했었고, 부인은 직물을 짜지 않았으니 짐승 가죽으로도 옷을 입기에 충분했었다. 일하지 않아도 (가족을) 부양하기 충분했고, 백성이 적고 물자는 여유로웠으므로 백성이 싸우지 않았다. 이때문에 큰 상을 주거나 무거운 벌을 가하지 않더라도 백성이 스스로 다스려졌다. 오늘날은 다섯 명의 자식이 있어도 많다고 여기지 않는데, 자식에게 또한 (각각) 다섯 자식이 있다고 한다면 할아버지가 아직 죽지 않았을 때 스물다섯 명의 손자가 있는 것이니, 이때문에 백성이 많고 물자가 부족해져서 일을 힘써도 받들어 모시기가 힘들어지므로, 백성들이 싸우거늘 비록 상을 갑절로 주고 거듭하여 벌을 내리더라도 난리를 면할 수 없다.
《한비자 韓非子》오두 五蠹
횡재한 농부는 맛있는 토끼 고기를 먹으면서 숲속에는 자유롭게 사는 토끼들이 많은데 굳이 힘들게 농사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그때부터 농부는 농사는 접어둔 채 하루종일 나무 밑둥만 바라보며 토끼가 와서 부딪혀 죽기를 기다렸지만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는 않았고, 뒤늦게 정신을 차리고 밭에 가 보았지만 이미 잡초가 우거진 뒤였다. 결국 일년 농사를 망친 농부는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3. 유사한 표현
- 각주구검
- 감나무 밑에서 감 떨어지기 기다린다
4. 여담
- 수주대토나 송양지인 같은 고사는 사실 상나라(은나라)의 후예인 송나라에 대한 당대의 비하적 인식도 담겨 있다고 해석되고 있다. 비슷하게 망한 왕조인 하나라의 후예인 기나라도 기우 같은 우스꽝스러운 고사성어가 전해지고 있다.
- 이 고사성어처럼 이솝 우화에서는 여우의 충고에도 열매가 익기를 기다리고 나무에만 있던 까마귀가 굶어 죽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도박사의 오류가 일어나는 원인도 이 사자성어와 일치하는 심리에 비롯된다. 초심자의 행운을 단순 행운으로 넘기지 않고, 또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 여기며 그대로 도박에 들어가기 때문.
- 일본에서는 이 고사성어를 바탕으로 한 '기다림(待ちぼうけ)'이라는 동요가 있으며 이 동요를 바탕으로 후지코 F. 후지오는 '그루터기에 걸려 데구르르'라는 단편을 발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