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계통학(phylogenetics)이란 계통발생학이라고도 하며 계통분류학(systematics)의 한 분파로, 고대 생물이 진화 과정에서 어떻게 다른 생물로 분화되어 왔는지 진화의 흐름과 분기점, 공통 조상을 추적하는 학문이다.연관 학문으로 분류학이 있다.
2. 방법론
2.1. 분지학 (cladistics)
분지학(分枝學) 혹은 분기학(分岐學)은 생물 계통을 구분할 때 공통 조상에 따라 생물을 나누는 방법론이다. 계통학의 근간이 되는 방법론이다.2.2. 발생학
2.3. 진화생물학
2.4. 계통수
생물의 진화과정을 추론하기 위해 생물의 유사성을 분석해 그린 트리 다이어그램이다.3. 계통군 (Clade)
분류학(taxonomy)의 분류군은 얼마나 넓은 범위를 망라하느냐에 따라 계-문-강-목-과-속 등의 단계로 나뉘지만, 단계와 별도로 공통 조상을 가진 그룹을 묶어서 계통군(clade)으로 묶인다.계통군은 단계통군, 측계통군, 다계통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파일:단계통군.png |
그림 속 예시인 석형류는 대표적인 단계통군이다. |
그림 속 예시인 파충류는 대표적인 측계통군이다. |
현재도 대표적으로 쓰이는 측계통군은 어류가 있다. 어류의 생물학적 정의는 사지상강을[1] 제외한 척추동물아문 생물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일상에서 인간을 제외한 척추동물을 통칭할 때 쓰이는 "동물"도 역시 측계통군에 해당한다.
버섯도 측계통군이다.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도 측계통군으로 본다. 특히 현재 속씨식물은 문(門)과 강(綱)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군이라는 측계통군으로 분류한다.
그림 속 예시인 정온동물은 대표적인 다계통군이다. |
4. 다루는 생물계에 따른 계통학
4.1. 동물계통학
동물의 발생학적 특징과 세포핵과 미토콘드리아, DNA, 리보솜(ribosome), RNA, 비교해부학 등을 가지고 동물의 공통 조상을 찾아내고 그 공통조상으로부터 어떤 과정을 거쳐 분화되었는지 알아낸다.
4.2. 식물계통학
식물의 공통조상과 분화 과정, 발생 관계를 밝히는 학문이다. 제약 산업과 식량 산업 덕분에 이쪽 연구가 굉장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약학에서 식물계통학은 약의 소재로 적절한 식물을 찾아내는데 쓰인다. 식물의 발생 과정을 추적하여 공통 조상과 분화과정을 알아내었다면, 그 분화과정을 인위적으로 일으켜 특정 독초와 비슷한 약효를 가지고 불필요한 독성은 적은 식물을 기를 수 있게 된다.
농업에서 식물계통학은 농작물의 발생 흐름을 추적하여 먹을 수 있는 식물과 먹을 수 없는 식물의 공통 조상과 분화 과정을 알아내었다면, 먹을 수 없는 식물을 먹을 수 있는 식물로 인위적으로 개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