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전적 의미
等級수준, 품질 등을 구분하는 것으로, 이것을 구분하는 제도가 등급제이다.
2. 게임에서의 등급
게임 용어로서의 등급은 크게 레벨, 난이도, 희귀도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레벨은 숫자 또는 계급(Rank)으로, 난이도는 별점으로 표기된다.캐릭터나 장비의 등급을 랭크로 나누기도 하는데 이때는
- 단순 등급으로 나누는 방식
N(Normal Rank(일반급)) - R(Rare Rank(희귀급)) - SR(Special Rank(특급)) - SSR(Super Special Rank(특상급))
- SSSR(Super Super Special Rank(특특상급)) - UR(Ultra Rank, Unique Rank(초특급, 유일급))
- LR(Legendry, Legacy Rank(전설급, 유산급)) - GR(God, Grand Rank(신급, 정상급))
- TR(Transcended Rank(초월급)) - 알파벳 순서로 나누는 방식
F - D - C - B - A - S - SS - SSS - EX(Extended, Exeed, Extra(초월)) - 그리스 알파벳으로 나누는 방식
Αα(알파) - Ββ(베타) - Γγ(감마) - Δδ(델타) - Εε(엡실론)- Ϝϝ(와우)- Ζζ(제타) - Ηη(에타) - Θθ(쎄타) - Ιι(이오타) -
Κκ(카파) - Λλ(람다) - Μμ(뮤) - Νν(뉴) - Ξξ(크사이) - Οο(오 미크론) - Ππ(파이)- Ϙϙ(쿠오파), Ϟϟ(코파)- Ρρ(로) - Σσ(시그마) -
Ττ(타우) - Υυ(입실론) - Φφ(파이) - Χχ(카이) - Ψψ(프사이) - Ωω(오 메가)- Ϡϡ(샘파이)[1] - 색상으로 나누는 방식
검정 - 회색 - 하양 - 초록 - 파랑 - 보라 - 자주 - 주황 - 노랑 - 빨강 - 시안[2] - 숙련도로 나누는 방식
Newbie(신입) - Novice(초심자) - Beginner(입문자) - Rookie(초보)
- Apprentice(견습) - advence(진보) - Veteran(숙련) - expert(전문)
- Elite(정예) - Master(장인) - GrandMaster(달인) - Ascender(승천자, 초월자) - 자원명(목재, 석재, 금속, 귀금속, 보석 등)으로 나누는 방식
Wood(나무) - Stone(돌) - Iron(철) - Bronze(동) - Silver(은) - Gold(금)
- Platinum(백금) - Emerald(에메랄드) - Diamond(다이아몬드)[3] - 성급으로 나누는 방식
★☆☆☆☆ - ★★☆☆☆ - ★★★☆☆ - ★★★★☆ - ★★★★★
그 외에 트럼프카드순서나 타로카드순서를 이용하기도 하며, 상기의 순서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3. 예시
[1] 영어 알파벳으로 치환하면 a - b - c/g - d - e - w - z - h(묵음) - th - i - k - l - m - n - ks - o - p - q/k - rh - s - t - y - ph - ch - ps - O - ss/tt. 취소선은 사어.[2] 단순하게 무지개색 순서로 하기도 한다. Chromatic color와 Metallic color를 순차적(시안 이후에 금속 검정으로 되돌아가는 식) 혹은 연속적(빨강과 시안 사이에 금속 빨강을 넣는다거나 하는 식)으로 등급을 나누기도 하고 최상급으로 Prismatic color 말하자면 무지개색 그 자체를 등급으로 쓰기도 한다. 드물게 그라데이션이나 줄무늬 혹은 특정 반복패턴 색 등을 등급색으로 쓰기도 한다.[3] 그 외 진주, 비취, 루비, 사파이어, 크리스탈, 티타늄, 납, 에보니, 옵시디언, 현무암(버솔트) 등이 들어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