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가라마키노하라 나들목 相良牧之原インターチェンジ Sagara-Makinohara Interchange | ||
사가라마키노하라 요금소 相良牧之原料金所 | ||
도쿄 방면 마키노하라SA ← 2.2 km | E1 도메이 13-1 | 코마키 방면 키쿠가와IC 5.2 km → |
주소 | ||
시즈오카현 마키노하라시 히가시하기마 2122-3 | ||
관리기관 | ||
NEXCO 중일본 도쿄지사 시즈오카보전·서비스센터 | ||
개통 | ||
1993년 3월 25일 | ||
접속 도로 |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473)] (사가라바이패스) ✈️ 시즈오카공항 방면 접속 |
1. 개요
도메이고속도로(도메이, E1)의 나들목(13-1번)으로, 나들목의 명칭은 2005년 마키노하라시에 합병되기 전인 소재지 사가라초와 일대의 구릉지형의 명칭 마키노하라대지[1]에서 유래[2]되었다. 코마키방향에서 시즈오카공항으로의 접근 나들목으로 안내되고 있어, 공항 안내 표지가 본선에 설치되어 있다.도시개발사업의 주체가 청원하여 진행하는 개발 인터체인지(開発インターチェンジ)라는 신규 고속도로 나들목 설치 사업 절차로 신설된 중간 나들목이다. 첫 구상 자체는 1978년에 하이바라군의 지자체들에 의해 이루어진 바 있지만 구체화되지 못했고, 1986년에야 본격적인 청원 절차를 알아보기 시작하게 된다. 이 당시에는 민영화 이전의 일본도로공단의 사업으로 진행을 요구하였지만 실현되지 못하고, 반대로 지역에서 공업단지 조성을 위한 개발 사업을 설정하여 이 명목으로 개발 인터체인지를 신청하는 방안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에 1988년 마키노하라 종합개발공사(牧之原総合開発公社)를 관련 지자체들의 지분과 함께 설립하여 사업을 진행, 개통된 나들목이다.
본 나들목의 개통으로 얻고자 했던 효과인 공업단지 개발은 정작 잃어버린 10년으로 별로 이득을 보지 못했으나, 접속 도로의 정비로 원래의 구상 중 하나였던 오마에자키반도로 향하는 남북종관도로의 접속 나들목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시즈오카공항의 계획이 확정되어 공항 접속 나들목으로도 안내되고 있기도 하다.
구조는 평범한 트럼펫형 나들목이다. 접속 도로는 473번 국도의 사가라바이패스부로, 지역고규격도로 카나야-오마에자키 연락도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간이다. 현재는 오마에자키방향으로만 개량이 이루어졌고, 카나야방향은 마키노하라IC에서 사바카IC(沢水加IC) 예정지까지의 카나야-사가라 도로 일부 구간이 현재 미개통 상태기 때문에, 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은 인근의 야소하라교차로에서 접속되는 현행도로 본선 구간을 잠시 이용할 필요가 있다.
2. 요금소
요금소 사무소 · 시설 | |||||
도메이 본선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 ↗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4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일반 》》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 ↘ | 외부 접속 도로 |
3 | <nopad> ETC 전용 》》 | ||||
2 | <nopad> ETC 전용 》》 | ||||
1 | 일반 》》 | ||||
<nopad> | |||||
↖ ↙ | 1 | <nopad> 《《 ETC 전용 | ↙ ↖ | ||
2 | 《《 ETC / 일반 | ||||
ETC ]]는 일반 전용 차로에서는 이용 불가능하다.
|
3. 구조
- 진출입 가능
- {{{#!wiki
- 시즈오카공항 방면 473번 국도 가마고리방향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