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19:20:51

브리클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91c 25%,#fff 25%,#fff 75%,#da291c 7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브릭클린 로고.png 파일:오리온 버스 로고.png
브리클린 오리온
}}}}}}}}} ||

Bricklin
브리클린
파일:브릭클린 로고.png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기업명 <colbgcolor=#FFFFFF,#1C1D1F>
정식
Bricklin Canada Ltd.
한글
브릭클린 캐나다 유한회사
설립일 1971년
해체 1975년
설립자 맬컴 브리클린(Malcolm Bricklin)
소재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업종 자동차 제조업

1. 개요2. 생산 차량


1. 개요

캐나다의 없어진 자동차 제조사.

1960년대 말 미국에 스바루 360을 수입판매한 미국의 사업가 맬컴 브리클린이 스바루 360에 대한 미국 내 매체들의 혹평과 신차안전에 민감해진 당대 여론을 거울로, 합리적인 가격대에 당대 신차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차를 만들기로 결심하며 자신이 운영하던 스바루 북미 지사를 후지중공업에 매각하고 1971년에 설립했다.

하지만 맬컴 브리클린은 주로 유통 및 판매를 해왔을 뿐, 제품개발 및 생산에 대한 노하우가 없었기 때문에 외부인력을 채용해 연구개발을 진행했다. 자체개발 신차로 준비된 SV-1의 설계는 콘셉트 카 단계를 1971년에 메이어스에 맡기고, 양산형의 디자인은 1972년에 허브 그라스의 디자인 팀을 채용했으며, 엔지니어링은 AVC 엔지니어링(AVC Engineering)에 외주를 주어 허브 그라스가 감독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공장은 캐나다 뉴브런즈윅주세인트존에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건립했으며, 당시 뉴브런즈윅의 주총리 리처드 햇필드(Richard Bennett Hatfield)가 뉴브런즈윅의 실업률 해소를 위해 브리클린을 받아들여 총 750명 규모의 일자리를 유치했다. 이때까지 1천 6백만 달러의 자금대출을 유치함에 따라 완성차 공정은 세인트존에 세우고, SV-1의 바디 패널은 같은 뉴브런즈윅에 위치한 민토(Minto)에서 만들어 조달받았다. 캐나다로부터 유치한 대출금은 주로 SV-1의 설계를 마무리짓는 데 쓰였으며 변속기, 브레이크, 파워트레인은 아메리칸 모터스 코퍼레이션, 포드 모터 컴퍼니의 제품을 공급받았다.

그러나 브리클린 SV-1의 초창기 품질문제, 판매 및 유통 외의 경험이 전무했던 말콤 브리클린의 경력, 노동자들의 전무했던 자동차 조립 경험과 잦은 퇴사,[1] 겉잡을 수 없이 비싸져가는 가격대와 이로 인한 딜러들의 계약해제같은 문제들이 결합되며 브리클린은 계속 적자를 보며 캐나다 정부의 지원금으로 연명하는 부실기업으로 전락했다. 이렇게 브리클린은 거의 2천만 달러에 달하는 공적자금을 지원받았으며, 리처드 햇필드가 브리클린에 투자한 막대한 자금지원으로 인해 커져가는 부정적인 여론에 부담감을 느끼게 되자 재선에 성공한 뒤 금전지원을 철회하며 브리클린은 파산하고 말았다.

말콤 브리클린은 브리클린 파산 후 자동차 업계에 거리를 두었다가 1983년에 수입차 판매로 복귀해 피아트 124 스파이더피아트 X1/9를 미국 시장에 유통하고, 자스타바 코랄을 수입판매하며 자동차 업계에서 활동을 이어 갔다.

2. 생산 차량



[1] 입사 10주 만에 퇴사하여 42주간 실업수당 수령이 가능했던 캐나다의 당시 복지제도로 인해 노동자들이 단기근무만 하고 금방 퇴사하는 현상이 빈번하여 노동자들을 새로 고용하고 훈련시키는 인건비 부담까지 눈덩이처럼 커져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