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0:29:21

윌오위습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Will O' The Wisp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에 대한 내용은 [[윌 오 더 위스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윌 오 더 위스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윌 오 더 위스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Will O' The Wisp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윌 오 더 위스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윌 오 더 위스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윌 오 더 위스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3. 악명4. 바리에이션5. 기타

파일:윌오위습.gif

1. 개요

디아블로 2에 등장하는 언데드류 몬스터.

2. 상세

이들은 울창한 정글 속 늪지에서 피어오르는 수증기에서 만들어진 존재이며, 오직 다른 생명체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움직인다. 근본적으로 악한 속성은 아니지만, 이들의 식성은 모험가들에게 매우 위협적이다.

플레이할 때 처음 만나게 될 곳은 3막의 거대 습지가 될 가능성이 많고, 습한 구덩이에서도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3. 악명

거의 항상 다수가 뭉쳐서 등장하는 유령 계열 몬스터로, 원소술사의 번개 마법을 원거리에서 난사한다. 인식범위나 사거리가 길고 연사속도가 꽤 빠른 편이며, 번개 마법에 맞으면 1, 2막에 등장하는 망령[1] 계열 몬스터들처럼 빠른 속도로 마나를 고갈시킨다. 또한 이동속도가 빠르고, 이동 중에는 흐릿해지는 특징이 있다.

보통~악몽 난이도에서는 번개 피해량이 그다지 높지 않아, 화려한 이펙트나 투명 이동이라는 시각적인 압박을 제외하면 그다지 위협적이지 않은 몬스터다. 이 단계에서는 2막 풍뎅이의 번개, 3막 우상족이나 4막 폭군 계열의 인페르노가 더 위험하다. 그러나 지옥 난이도로 가면 번개 공격력이 급상승해, 저 둘 따위는 저리가라 하는 게임 내 최악의 적으로 돌변한다.

다수가 뭉쳐서 등장하며, 긴 사거리와 나름 빠른 연사속도 때문에 마주치자마자 번개를 난사한다. 그리고 번개 피해량이 원체 높아서 맞을 때 강제 히트 모션이 발동하고, 타격 회복 속도가 낮은 캐릭터들은 윽윽대면서 아무것도 못하다 후속타 맞고 뻗기 일쑤다. 디아블로 2에서는 마법 데미지가 빗나가지 않으므로, 빠른 탄속의 번개를 연속으로 맞다 보면 히트모션을 취하다 아무것도 못하고 죽어버리는 것이다. 실제로 가장 큰 피해자는 체력이 낮은 원소술사, 그리고 패힛이 낮은 아마존이다. 순간이동으로 빠르게 돌아다니는 중에 이 녀석 2~3무리와 마주쳐서 한 방에, 혹은 아무것도 못 하고 얻어맞다가 비명횡사하는 것이다.

단순히 원거리에서 저격하는 것 외에도 피곤한 점이 몇 더 있는데, 우선 물리 저항력이 매우 높아서 근접 캐릭터들이 잡기 까다롭다. 거기에 더해 해골 계열 몬스터처럼 라흡과 마흡이 안 먹힌다.[2] 이동속도가 빠르고 시야에 잘 안 보이는데, 어쩌다 때려도 체력이 잘 닳지도 않으면서 나는 피흡이 안되니 환장할 노릇이다. 물론 반대로 원거리 / 캐스터 계열이라면 이런 약점은 없지만, 이들에게는 공격력 자체가 워낙 위협적이니 여전히 까다롭다.

그래서 지옥 난이도에서는 번개 저항을 최대로(75%) 맞추지 않았다면 아예 뚫고 갈 생각을 접어야 하고, 하드코어에서는 윌오위습 계열 몬스터를 만나는 순간 리방을 하는 유저도 적지 않을 정도다.

굳이 상대해야 한다면, 의외로 가까이 들이대서 빠르게 녹여버리면 쉽게 잡을 수 있다. AI 설계상 플레이어가 가까이 접근하거나[3] 벽 뒤에 숨어서 번개 각을 안 주면, 번개를 사용하는 대신 흩어져 방황하다 근접 공격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물리 저항이 높다 하더라도, 체력이 지옥 난이도 몬스터 중에서는 아주 낮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원소 피해가 조금이라도 섞여 있다면 의외로 쉽게 녹는다.

이놈들을 상대하기 좋은 아이템은 번개 흡수가 달린 천둥신의 박력, 그리고 성역 오라가 붙은 신라세 푸른 서슬, 래더 룬어 집행자이다. 성역 오라는 오라 사용자가 때릴 때 언데드의 물리 면역을 무시해버리고, 지속 넉백도 시키기에 야만용사나 활아마존도 그냥 잡을 수 있게 도와주며 범위 지속 넉백으로 이놈의 빠른 속력과 투명화 장난질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신라세는 얻을 확률이 낮으니 중하급 룬을 쓰는 집행자를 5막 야만용사 용병에게 쓰게 해주자.

어떤 유저가 내부 데이터 분석을 해본 결과, 윌오위습의 번개 공격이 유독 아픈 이유는 마나번 피해가 번개 피해로 적용되어 발생한 일종의 버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다른 유저가 총괄 디렉터에게 문의를 보냈는데, 대부분의 플레이어가 이미 익숙해졌고 게임이 너무 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는 수정할 계획이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해당 글

4. 바리에이션

파일:버닝 소울.gif

바리에이션 몬스터로 불타는 영혼(Burning Soul)과 어둠의 영혼(Black Soul)이 있다. 각각 4막 절망의 평원과 5막 파괴의 왕좌(불타는 영혼), 그리고 5막의 세계석 성채(어둠의 영혼)에서 등장한다. 사실 윌오위습 자체는 잘 가지도 않는 거대 습지에서만 등장하기 때문에[4] 그 위험도를 체감하기 어렵고, 이 계열 몬스터의 악명은 바로 이 둘이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

특히 5막의 세계석 성채에서 나오는 블랙 소울은 무려 90%에 달하는 물리 저항력, 그리고 역대 플레이어 킬 수 1위에 빛나는 해골 우상족, (어둠의 영혼을 포함한) 언데드 몬스터를 부활시키는 그레이터 머미, 저항 감소 저주를 거는 망각의 기사 등 주옥같은 몬스터들과 함께 등장할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위협적이다.

5. 기타

데이터베이스를 보면 원래는 혼돈의 성역 역시 랜덤 몬스터가 존재하는 지역으로 디자인 된 듯하며, 윌오위습의 바리에이션 중 하나인 '어둠의 영혼'(Black Soul)이 여기에도 등장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또한 혼돈계 이벤트에도 추가될 계획이 있었으나 결국 잘렸다. BaseId 733 참조. 정말로 혼돈의 성역과 우버 트리스트럼에서 이놈들이 등장했다면 게임의 난이도가 지금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크게 올랐을 것이다.

공격이 꽤 특이한 판정인데, 속성은 마법이지만 판정 자체는 일반 공격이다. 그래서 피격 시 일정 확률로 기술 시전 등의 옵션을 발동시킨다. 또한 이런 공격 형식 때문인지 버그가 꽤나 많은 몬스터이다. 일단 레거시~레저렉션 초창기까지는 마법 공격에 물리 데미지가 합산되는 버그가 있었다. 현재도 끔찍하게 강하지만 이 당시에는 75% 황금저항을 뚫고 캐릭터를 끔살시키는 일도 적지 않았다. 그 외에도 게임 엔진의 한계 때문에 두 명 이상이 바짝 붙어 있는 상태에서 번개를 동시에 맞으면 다단히트할 위험이 있다고 한다. 순간이동으로 접근하다가 용병이랑 겹쳐 있는 상태에서 다굴당하면 끔살당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이 적들이 번개로 알파벳을 그리는 이스터에그가 있다. 조건은 주변에 다른 적이 없이 딱 이놈들 넷만 남기는 것. 게스트 몬스터도 상관 없다. 조건을 만족하고 기다리다 보면 공격을 멈추고 플레이어 주위에 자리를 잡아 D, E, M, V, R, P, S를 순서대로 그린다. 이는 디아블로 2 제작 팀의 팀원들인 David Brevic, Erich Schaefer, Max Schaefer, Vieira Bob, Rick Seis, Phil Shenk, Stieg Hedlund를 뜻한다. 글자 하나를 그릴 때마다 '마법 아이템 발견 확률 n% 증가', 일명 매찬이 600%씩 증가해 최대 4,200%까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스탯창에 표기는 되지 않는다. 효과는 상당하지만, 이스터 에그가 발동할 때까지 죽지 않아야 하고 다 볼 때까지 죽이지도 말아야 해서 은근 까다롭다. 이 효과는 19시간 조금 넘게 지속되며 죽거나 게임을 나가기 전까지 지속된다. 관련 영상


[1] 레이스, 고스트, 애퍼리션, 스펙터 등의 뼈만 남고 날아다니는 몬스터[2] 비슷한 유령 계열 몬스터들은 헬에서 기본 물리 면역이라서 물리 타격이 안 들어가 라흡과 마흡이 안 먹히는 것일 뿐이라 물리 면역을 벗겨내면 생흡을 할 수 있는데, 윌오위습 계열 몬스터는 아예 날 때부터 흡혈 계수가 0이라서 기본적으로 라흡과 마흡이 불가능이다.[3] 유혹 저주를 걸거나 소환물을 근처에 뽑아도 적에게 근접한 것으로 인식해 바로 흩어진다.[4] 스토리 진행 시 필수적으로 방문하거나 지나쳐야 하는 것도 아니고, 윌오위습을 제외하고도 사냥터로서의 매력이 많이 떨어지는 곳이라 보통 갈 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