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접지전사 시리즈 1부 접지전사에서의 바람의 법술
1.1. 자주등급 - 바람화살
원판 이름은 風之箭(풍지전)이름대로 바람의 화살을 날리는 기술. 처음에 주황매가 선보였으며 책벌레가 주황매를 끝장냈을 때도 이기술을 썼으며 지철이의 어머니도 이 기술을 사용하며 펠트도 여선생을 공격할 때 사용했다. 책벌레는 이후 보조 접지템으로 이 기본기를 강화해서 쓰기도 하였다.
1.2. 파란등급 - 회오리
원판 이름은 旋風術(선풍술)회오리 바람으로 적을 공격하는 기술로 녹색박쥐가 현달국을 공격할 때 사용했다.
1.3. 남색등급 - 바람기둥
원판 이름은 風神腿(풍신퇴)바람의 압력을 이용해 자신의 아래쪽에 있는 적을 공격하는 기술로 주황매가 처음에 선보였으며 이때의 이름은 바람망치이다. 책벌레도 남색매미를 공격할 때 사용하기도 했으며 펠트도 여선생을 공격할 때 사용했다.
1.4. 녹색등급 - 천발권
원판 이름도 千發拳(천발권)바람의 주먹을 천개정도 만들어 적을 공격하는 기술로 책벌레가 자신의 아버지를 맹수로 만든 오경식에게 사용하고 펠트도 현달국을 공격할 때 사용했으며 그 이후로는 나오지 않는다.
1.5. 노란등급 - 음속권
원판 이름도 音速拳(음속권)바람의 압력을 집중시켜 적을 향해 빠른 속도로 바람의 주먹을 천발이상 날리는 기술로 천발권의 강화판이라고 할 수 있다. 빨강여우가 처음에 선보였으며 그 이후로는 나오지 않는다.
1.6. 주황등급 - 바람추
원판 이름은 風神之鎚(풍신지추)적을 항해 바람의 공격을 날리는 기술이긴 한데 한손이나 두손으로 날리는 것 이외에는 어떤 기술인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하얀벌새가 화룡승천을 막을 때 선보였으며 지철이의 어머니도 여린이를 공격할 때 사용했지만 바람의 기술인것 이외에는 어떤형태인지는 나오지 않는다. 아마도 바람기둥과 달리 적의 앞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추정된다.
1.7. 빨강등급 - 용돌개바람
원판 이름은 龍捲風(용권풍)회오리바람으로 적을 공격하는 기술로 회오리의 강화형이라고 할 수 있다. 검은까마귀가 지철이 일행을 공격할 때 사용했으며 이후에는 검은영학이 된 책벌레가 주로 사용, 펠트가 파이터의 조종석을 공격할 때 사용했다.
1.8. 하얀등급 - 하얀풍신
원판 이름은 白色風神(백색풍신)하얀바람의 거인을 만들어 바람의 압력으로 적을 공격하는 기술로 검은까마귀가 지철이 일행을 공격할 때 사용했으며 책벌레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1.9. 회색등급 - 사망안개
원판 이름은 死亡之霧(사망지무)안개로 적을 공격하는 기술인듯하며 진공으로 참격을 주는 것도 가능한듯한데 한번도 나오지 않아서 자세한 것은 불명이다.
1.10. 검은등급 - 바람지옥
원판 이름은 風之地獄(풍지지옥)해골형태의 바람을 여러발 날리는 기술로 검은까미귀가 사용했지만 지철이는 피했고 책벌레에게는 이 기술을 사용한 후 하얀풍신으로 데미지를 주었어야 했는데... 책벌레도 속성이 바람이다보니 책벌레의 에너지를 보충해준꼴 밖에 되지 않았으며 책벌레도 몇번이나 바람지옥을 사용했다.
1.11. 은색등급 - 바람신의 머릿결
원판 이름은 風神之髮(풍신지발)적의 감각과 반응속도를 높이는 기술인데, 접지전사에게 사용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접지전사로 변신하면 신체의 여러 능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바람신의 머릿결로 그 능력이 플러스로 강화되면 들리지 않았던게 들리고, 신체 여러 기관에 혼란이 가해져 적의 행동을 묶어놓게 된다. 펠트가 사용해서 지철이 일행에게 혼란을 주었다. 다행히 사람에게는 단순히 감각과 반응속도를 높이는 기술밖엔 되지 않는다.[1]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버프, 디버프가 될 수 있는 양날의 검 기술인데 아군에게 버프로 쓰는 모습은 작 중 나오지 않는다.
1.12. 금색등급 - 불명
황금구룡진이나 금해용왕을 생각하면 바람의 용이 여러마리 나와서 적을 공격하는 법술인듯하다.[1] 현달국, 여선생과 같이 있던 악당이 이 기술에 당했지만 되려 버프가 되어 펠트의 공격을 기가 막히게 잘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