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3:21:57

미들어스 전략 전투 미니어처 게임/모르도르


파일:모르도르 배틀호스트.png

1. 개요2. 아미리스트
2.1. 바랏두르2.2. 블랙 라이더스2.3. 레이스 온 윙2.4. 아미 오브 고스모그2.5. 리전 오브 모르도르2.6. 미나스 모르굴2.7. 키리스 웅곯2.8. 블랙 게이트
3. 장점4. 단점5. 기타

1. 개요

미들어스 전략 전투 미니어처 게임의 악 세력 팩션인 모르도르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이다.

반지의 제왕에서 메인 빌런으로 나오는 팩션인만큼 다양한 유닛과 영웅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타터세트에 주로 얼굴을 많이 비추는 편이다.
2024년 신판본에서는 바랏두르 팩션도 모르도르로 편입되어서 특징을 같이 작성한다.

== 구성==

모르도르는 반지의 제왕 세계관 메인 악역으로 사우론과 그 휘하의 나즈굴, 다수의 오르크들이 팩션의 기반을 이루고있다. 모르도르가 활동하던 배경에 대한 고증이 잘되어있으며 키리스 웅골의 세력과 같은 곳 역시 아미리스트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2. 아미리스트

2.1. 바랏두르

사우론에, 사우론에 의한, 사우론을 위한 아미리스트다. 구판의 바랏두르 팩션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사우론, 마술사왕, 링레이스를 비롯한 영웅들과 모르도르 오르크 및 트롤등이 주요 아미를 이룬다. 사우론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아미리스트인 탓에 아미리스트의 스페셜 룰 역시 사우론에 집중되어 있다.

"반지의 힘은 꺾이지 않는다(The power of the Ring could not be undone)"
사우론(Sauron)은 그의 군대의 중심이며, 그가 살아 있는 한 그의 오크들은 끝까지 싸울 것입니다.
사우론이 최소 3개의 체력(Wounds)을 보유하고 있는 동안, 바라두르(Barad-dûr) 군대는 절대 붕괴(Broken) 상태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사우론의 체력이 2 이하로 감소하면, 바라두르 군대는 정상적으로 붕괴 상태를 계산합니다.
사우론이 사망하여 전장에서 제거되면, 바라두르 군대는 즉시 붕괴 상태로 간주됩니다.

"오크의 무리(Teeming with Orcs)"
어둠의 군주의 권세가 절정에 달했을 때, 모르도르의 땅에는 수많은 오크들이 가득 차 있었으며, 그들 모두가 사우론의 군대에서 싸우고 있습니다.
사우론의 전투 집단(Warband)은 일반적인 전설적 영웅(Hero of Legend)의 최대 모델 수인 18명이 아니라, 최대 24명까지 포함할 수 있습니다.


"승리는 눈앞에 있다(Victory is at hand)"
자신들의 주인이 전장에서 함께 싸우고 있는 한, 모르도르의 오크들은 패배할 수 없다고 느낍니다.
사우론이 살아 있고 전장에 있는 동안, 아군 오크(Orc) 모델들은 **모든 용기 테스트(Courage Tests)**에서 +1 보너스를 받습니다.

2.2. 블랙 라이더스

골룸을 고문한 뒤 프로도와 절대 반지를 찾기 위해 나섰던 나즈굴들을 상징하는 아미리스트다. 블랙라이더스라는 명에 걸맞게 마술사왕을 비롯한 링레이스들만 사용이 가능하며 전부 기마버전을 베이스로 한다. 몇안되는 엘리트 아미 중 하나.

"밤의 공포(Terror in the Night)"
검은 기수(Black Riders)의 존재만으로도 가장 용맹한 전사들조차 공포에 얼어붙게 만듭니다.
여러 명의 아군 나즈굴(Ringwraith) 모델이 ‘악의 전조(Harbinger of Evil)’ 특수 규칙을 적용할 경우, 해당 범위 내에 있는 적 모델은 용기 테스트(Courage Test) 시 -1이 아니라 -2의 패널티를 받습니다.


"나즈굴의 비명(Screech of the Nazgûl)"
어둠 속을 꿰뚫는 섬뜩한 비명은, 듣는 자의 심장을 서늘하게 만들고 공포로 가득 채웁니다.
아군 나즈굴 모델은 자신의 활성화(Activation) 시작 시 이 특수 규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경우, 12인치 이내에 있고 선 시야(Line of Sight) 안에 있는 적 모델 하나를 선택합니다.
선택된 모델은 즉시 **‘고정(Transfix)’ 마법의 힘(Magical Power)**에 걸립니다. 이 마법은 자동으로 6의 주사위 값으로 시전된 것으로 간주되며, 대상 모델은 정상적으로 저항(Resist)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이 특수 규칙을 사용한 나즈굴 모델은 해당 활성화 동안 다른 마법을 시전할 수 없습니다.
한 턴에 한 명의 나즈굴만 이 특수 규칙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나즈굴은 게임에서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우론의 의지(The Will of Sauron)"
사우론은 나즈굴에게 반지(The One Ring)를 추적하고 회수할 임무를 맡겼으며, 그들을 유지하는 데 모든 힘을 쏟고 있습니다.
아군 나즈굴 모델은 ‘악의 의지(Will of Evil)’ 특수 규칙에 따라 전투 중 교전(Engaged in Combat) 상태가 되더라도 의지 점수(Will Point)를 잃지 않습니다.

2.3. 레이스 온 윙

블랙라이더스처럼 나즈굴만 사용가능하지만 펠비스트에 탑승한 버전이다. 전원이 몬스터인 펠비스트에 타고있는 만큼 몬스터러스 차지가 가능하지만 펠비스트의 포인트가 워낙 비싸기에 블랙라이더스보다 모델이 나오지 않는 엘리트 아미리스트다.


"전력 돌격(Full Force Charge)"
날아다니는 **공포의 야수(Fell Beast)**의 돌격은 그 경로에 놓인 불운한 자들을 불구로 만들거나 짓밟기에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군 괴수(Monster) 모델이 활성화(Activation) 중 처음으로 돌격(Charge)할 때, 이 특수 규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경우, 돌격 대상이 된 모든 모델은 힘(Strength) 5의 공격을 한 번 받습니다.
기병(Cavalry) 모델은 탑승자(Rider)와 탈것(Mount) 모두 이 공격을 받습니다.
만약 공격이 해결된 후, 괴수가 전투 중(Engaged in Combat) 상태가 아니라면, 추가 이동을 계속할 수 있으며, 다시 돌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추가 돌격 시에는 이 특수 규칙의 효과를 받을 수 없습니다.


선회 공격(strafting Attack)
괴수(Monster)는 거대한 발톱으로 아래에 있는 적을 움켜쥐거나 짓밟으려 할 것입니다.
아군 괴수 모델의 이동이 끝난 후, 전투에 연루되지 않은(Engaged in Combat이 아닌) 상태라면, 같은 조건의 적 모델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적 모델은 괴수가 이동을 시작한 지점과 끝난 지점 사이의 직선 경로 내에 있어야 하며, 이 경로의 폭은 괴수 모델의 기반(Base) 너비와 같습니다.
선택된 모델은 힘(Strength) 5의 공격을 한 번 받으며,
이 공격에서 살아남으면 넘어짐(Prone) 상태가 됩니다.
기병(Cavalry) 모델은 탑승자(Rider)와 탈것(Mount) 모두 이 공격을 받습니다.

2.4. 아미 오브 고스모그

고스모그가 오스길리아스를 침공하였을때를 고증하는 아미리스트다. 모란논 오크 위주의 구성인 탓에 원거리 견제 수단이 전무하고 히어로진이 고스모그, 구리츠를 제외하면 캡틴뿐인지라 히로익 스트라이크와 같은 특수 히로익 액션을 사용하기 어렵다. 다만 상대가 인간이라면 시너지를 얻는 고스모그의 특수룰이 더욱 강해지는 아미리스트이기에 고려해봄직하다.

"인간의 멸망(The Destruction of Men)"
고스모그(Gothmog)의 인간에 대한 증오는 깊으며, 그는 미나스 티리스를 무너뜨릴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고스모그의 ‘인간의 시대는 끝났다(The Age of Men is Over)’ 특수 규칙 범위가 12인치로 증가합니다.
‘오크의 시대가 왔다(The Time of the Orc has Come)’ 특수 규칙 범위가 전장 전체(battlefield-wide)로 확대됩니다.


"폭군의 지배(Tyrannical Rule)"
고스모그의 잔혹한 지휘 아래, 그의 군대는 두려움에 휩싸여 감히 도망칠 생각조차 하지 못합니다.
아군 오크 영웅(Orc Hero) 모델들은 고스모그의 ‘굳건히 서라(Stand Fast!)’ 특수 규칙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자비한 공격(Ruthless Assault)"
오크들은 오스길리아스를 공격할 때도 자비를 보이지 않았으며, 미나스 티리스를 향한 진격에서도 그 잔혹함을 이어갔습니다.
아군 오크 모델들은 ‘함정에 빠진(Trapped)’ 적 모델을 상대로 타격(Strikes)을 가할 때, 자연적으로 나온 1의 상처 굴림(To Wound Roll)을 다시 굴릴 수 있습니다.

2.5. 리전 오브 모르도르

미나스티리스 침공 당시를 고증한 아미리스트이다. 모르도르의 마술사왕, 고스모그, 링레이스등의 영웅과 동부인, 하라드, 특히 무마킬까지 사용이 가능한 일종의 동맹 아미리스트이다. 단 영화판에 나오지 않은 동부인의 암두르, 하라드의 술라단과 같은 영웅들이 현재는 아미리스트에 포함되어있지 않다. 그리고 혼합아미인 만큼 아미의 스페셜룰이 단 하나라는 단점이 있다.

"도시를 무릎 꿇게 하라(Bring the City to its Knees)"
모르도르의 군대는 미나스 티리스를 항복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곤도르의 지휘관들을 처형하는 것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아군 영웅(Hero) 모델들은 적 영웅 모델을 상대로 타격(Strikes)을 가할 때, 자연적으로 나온 1의 상처 굴림(To Wound Roll)을 다시 굴릴 수 있습니다

2.6. 미나스 모르굴

마술사왕이 미나스 이실을 점령후 마니스 모르굴로 바뀐뒤의 모습을 고증한 아미리스트이다. 특이하게도 모란논 오크가 아닌 모르도르 오크를 사용하는 아미리스트이며 아예 이를 버프하는 스페셜룰도 가지고 있다. 마술사왕을 사용하는 다양한 아미리스트중 제일 범용성이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죽은 자의 도시(The Dead City)"
미나스 모르굴(Minas Morgul)은 마술사 왕(Witch-king)의 사악한 힘에 타락하여 뒤틀리고 왜곡된 망령들의 도시가 되었습니다.
그곳에서 싸우는 오크들은 마치 유령과 같은 힘을 일부 물려받은 듯 보입니다.
모르도르 오크 대장(Mordor Orc Captain)과 모르도르 오크 전사(Mordor Orc Warrior) 모델들은 ‘죽은 자의 칼날(Blades of the Dead)’ 특수 규칙을 얻습니다.
모르도르 오크들한테 무시무시한 특성인 블레이드 오브 데드를 부여합니다. 스펙이 다소 떨어지는 모르도르 오크들을 강화시켜주는 좋은 특성이네요

"모르굴의 부름(Call of Morgul)"
죽은 자의 도시는 나즈굴(Ringwraith)과 같은 힘을 가지고 있으며, 반지 운반자(Ringbearer)가 그 벽에 가까이 다가가면 강한 영향을 받습니다.
적 군대에 반지 운반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우론의 의지(Sauron’s Will)’를 위한 주사위 굴림에서 -1 패널티를 받습니다.


"공포로 이끄는 지배(Lead through Fear)"
미나스 모르굴의 오크들은 어떤 적보다도 마술사 왕(Witch-king)과 그의 망령 동료들을 더욱 두려워합니다.
아군 오크 모델이 3인치 이내에 아군 영혼(Spirit) 모델이 있을 경우, ‘공포(Terror)’ 특수 규칙을 가진 모델에게 돌격(Charge)할 때 자동으로 용기 테스트(Courage Test)를 통과합니다.

2.7. 키리스 웅곯

키리스 웅골을 지키던 고르벡, 샤그랏과 쉴롭까지 사용가능한 아미리스트이다. 샤그릿과 고르벡이 제법 강한 영웅이기에 좋은 아미리스트라고 생각할수있으나...현재는 모르도르 아미리스트중 압도적 함정픽 중 하나로 뽑히고 있다. 우선 두세력간의 반목때문에 고르벡은 오르크만 샤그랏은 우루쿠하이만 데려올수 있고 오르크는 플라스틱이지만 모르도르 우루쿠하이는 주석이며 가격도 비싸다. 게다가 포인트의 문제로 다수를 편성하거나 쉴롭을 집어넣어야하는데 쉴롭 역시 상당히 비싼영웅이며 따로 모델을 데려오지 않는 독자 영웅이다. 이러한 여러가지 면으로 인해서 키리스 웅골은 기존에 모르도르를 하던 유저들도 건드리기 쉽지않으며 이탓에 함정픽으로 평가된다.

"반목(Animosity)"
키리스 웅골(Cirith Ungol)에 주둔한 오크(Orc)와 우루크하이(Uruk-hai)들은 서로를 혐오하며, 상대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증명할 기회를 놓치지 않습니다.
아군 오크 모델이 전투(Combat) 중이며, 같은 전투에서 아군 우루크하이 모델이 교전(Engaged)하고 있다면, 오크 모델은 상처 굴림(To Wound)에 +1 보너스를 받습니다.
아군 우루크하이 모델이 전투 중이며, 같은 전투에서 아군 오크 모델이 교전하고 있다면, 우루크하이 모델은 상처 굴림(To Wound)에 +1 보너스를 받습니다.


"권력 다툼(Rivals for Power)"
고르백(Gorbag)과 샤그랫(Shagrat)은 키리스 웅골의 주둔군을 지휘할 자격이 자신에게 있다고 믿으며, 전장에서 끊임없이 서로를 능가하려 합니다.
고르백과 샤그랫이 처치한 적 모델 수를 추적합니다.
어느 한쪽이 상대보다 적은 처치를 기록하고 있다면, 해당 모델은 결투 굴림(Duel Roll)에서 한 개의 D6을 다시 굴릴 수 있습니다.



"굶주린 포식자(Hungry Predator)"
쉴롭(Shelob)은 맛있는 먹잇감이 가까이에 있을 때 놀랄 만큼 빠르게 반응합니다.
이동 단계(Move Phase)에서 영웅적 행동(Heroic Actions)을 선언하는 단계 동안, 쉴롭은 자신으로부터 1인치 이내에 있는 아군 모델 하나를 처치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모델은 사망자로 처리되며 즉시 제거됩니다.
이렇게 하면, 쉴롭은 무료로 영웅적 이동(Heroic Move)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단, 이 영웅적 이동에서 **‘나와 함께!(With Me)’**를 외칠 수는 없습니다.

2.8. 블랙 게이트

최후의 모란논 전투당시 모르도르 군대를 고증한 아미리스트이다. 아라고른에게 목이 잘린 사우론의 입과 울로그 하이인 트롤 치프틴이 필수로 들어가며 링레이스도 사용할 수 있다. 오크는 모란논 오크만 사용가능하기에 원거리 견제수단은 거의 없다. 사우론의 입이 마법사이기도하고 트를 치프틴이 강한 영웅이긴하지만 두 영웅이 직구온니이고 필수로 들어가는 탓에 모르도르 유저의 확장면에서는 거의 마무리급인 아미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아미 보너스가 좋은 편이기도 해서 앞서 언급한 키리스 웅골과는 상당히 비교되는 아미리스트.

"트롤 중의 최강(Greatest of the Trolls)"
사우론의 군대에 속한 모든 트롤 중에서도, 아라곤과 맞서 싸운 그 트롤은 다른 동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강하고, 더 강력하며, 훨씬 더 치명적입니다.
**모르도르 트롤 족장(Mordor Troll Chieftain)**이 장군(General)일 경우,
‘두려움 없음(Fearless)’ 특수 규칙을 얻습니다.
마이트(Might), 의지(Will), 운명(Fate) 점수를 각각 1점씩 추가로 받습니다.


"모르도르의 대군(The Hordes of Mordor)"
검은 문(Black Gate)에서 수많은 오크들이 쏟아져 나와 적을 압도하며, 수적 우위를 점할 때 더욱 난폭해집니다.
아군 모르도르 오크(Mordor Orc) 모델이 전투(Combat) 중이고, 상대보다 수적으로 우세할 경우, 상처 굴림(To Wound) 시 +1 보너스를 얻습니다.


"사우론의 유혹(Temptation of Sauron)"
바라두르(Barad-dûr)의 탑에서 사우론의 눈(Eye of Sauron)은 검은 문을 내려다보며, 심지어 가장 위대한 영웅조차도 그의 부름에 흔들리게 만듭니다.
이동 단계(Move Phase) 시작 시, 영웅적 행동(Heroic Actions) 선언 전에, 전장에 있는 적 모델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모델은 즉시 지능(Intelligence)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테스트에 실패하면, 해당 모델을 최대 자신의 이동 거리(Move Value)만큼 즉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일반적인 이동 규칙을 따라야 하며, 원하는 경우 돌격(Charge)도 시킬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이동 단계 후반부에 추가로 이동할 수 없지만, 그 외의 행동은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장점

1. 다양한 아미리스트 선택지
2024 신판 기준 아미리스트가 8개나 되기에 선택지가 많은편이며 키리스 웅골 정도를 제외하면 각 아미리스트로의 확장도 용이하다.

2. 강력한 몬스터 트롤
모르도르 트롤은 파이트 7에 힘도 7인 강력한 몬스터이며 기병을 카운터칠수 있고 본인에게 테러도 달려있다. 대부분 아미리스트에서 기용이 가능해서 범용성도 좋고 역대 스타터들에도 자주껴주는 편이라 한모델 정도 기용하면 도움이된다.

3. 대부분싸고 많이 나오는 물량
모르도르 오크나 모란논 오크가 대부분인지라 물량이 많이 나오며 포인트도 제법 저렴하다.

4. 나즈굴
전판본의 나사빠진 성능에서 대부분 버프되어 이제 평균은 하는 영웅이 되었고 특히 마술사왕은 여러 아미리스트에도 들어가는 강한 영웅중하나이다.

4. 단점

1. 매우 낮은 용기와 지능스탯
오르크의 특성을 반영한 것인지 용기수치가 상당히 낮고 지능도 낮은편이다. 이로인해 부대가 브로큰되면 용기테스트를 실패해서 도망가기도 하고 지능 테스트에서 실패해서 특정 행동을 하지못하기도 한다.

2. 그럼에도 나사빠진 나즈굴
전판본의 매우 구린성능은 어느정도 벗어났지만 그럼에도 운드1짜리 영웅인 것은 변함이 없어서 피해를 입지않게 조심해야한다. 더군다나 구판의 네임드 나즈굴은 전원 레거시로 가서 이제 남은건 마술사왕과 링레이스뿐이다.


3. 낮은 fight 수치
모르도르 오크는 파이트수치가 3으로 낮고 모란논 오크는 인간에 한해서만 파이트가 4가된다. 다만 인간들도 자체적으로 전원 최소 파이트가 4가된 곤도르나 조건부로 오르는 로한등이 있어서 상대하기가 쉽지않다. 트롤을 가져온다면 나름 써먹을 수 있으나 영웅에 막힐 가능성도 크고 트롤은 사실상 마이트도 페이트도 없는 히어로급이라고 보면되서 특정상황 대처가 어렵다.

4. 없다시피한 기병 펀치력
자유 구성이 사라진 탓에 와르그라이더의 사용이 제한적이며 영화에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현재는 모르굴나이트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즉 기병을 통해 상대의 약한 부분을 공격하는 플레이는 사실상 힘들다. 이럴때 쓰라고 트롤을 넣어준것 같지만 트롤은 포인트가 비싸서 많이 넣기 어렵다는것이 문제.

5. 기타

2024 스타터는 던랜드를 위주로 짜여있어서 모르도르로 스타트하기는 제법 어렵다. 다만 모르도르 배틀 호스트를 통해 범용성이 좋은 마술사왕과 병사들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확장하는 것을 추천한다. 혹은 구판 스타터 중고매물을 구하는 것 역시 좋은 방법. 아무래도 메인 악역이다보니 인기는 많은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