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09:54:11

메레디스(스트리노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트리노바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스트리노바_로고_en.png
슈퍼스트링 목록
{{{#!wiki style="margin: 0 -0px -6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진영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91919>
파일:스트리노바_pus.png P.U.S
[[미셸(스트리노바)|
파일:미셸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미셸
]][[노부나가(스트리노바)|
파일:노부나가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노부나가
]][[코코나(스트리노바)|
파일:코코나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코코나
]][[이베트(스트리노바)|
파일:이베트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이베트
]][[플라비아(스트리노바)|
파일:플라비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플라비아
]][[유기리(스트리노바)|
파일:유기리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유기리
]][[레오나(스트리노바)|
파일:레오나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레오나
]][[치요(스트리노바)|
파일:치요_아이콘2.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치요
]]
파일:스트리노바_시저스.png 시저스
[[밍(스트리노바)|
파일:밍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라비네(스트리노바)|
파일:라비네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라비네
]][[메레디스(스트리노바)|
파일:메러디스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메레디스
]][[카나미(스트리노바)|
파일:카나미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카나미
]][[레이이치(스트리노바)|
파일:레이이치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레이이치
]][[아이카(스트리노바)|
파일:아이카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아이카
]][[프라그란스(스트리노바)|
파일:프레그런스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프라그란스
]][[마라(스트리노바)|
파일:마라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마라
]]
파일:스트리노바_우르비노.png 우르비노
[[미리내(스트리노바)|
파일:셀레스티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미리내
]][[오드리(스트리노바)|
파일:오드리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오드리
]][[바이모|
파일:바이모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바이모
]][[마들렌(스트리노바)|
파일:마들렌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마들렌
]][[퓨시아(스트리노바)|
파일:퓨시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퓨시아
]][[갈라테아(스트리노바)|
파일:갈라테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갈라테아
]]
}}}}}}}}}}}}
[ 역할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or=#fff><width=640px>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_타격대
||
[[밍(스트리노바)|
파일:밍_아이콘.png

]][[바이모(스트리노바)|
파일:바이모_아이콘.png

바이모
]][[퓨시아(스트리노바)|
파일:퓨시아_아이콘.png

퓨시아
]][[플라비아(스트리노바)|
파일:플라비아_아이콘.png

플라비아
]][[아이카(스트리노바)|
파일:아이카_아이콘.png

아이카
]][[마라(스트리노바)|
파일:마라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마라
]][[치요(스트리노바)|
파일:치요_아이콘2.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치요
]]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_척후대
[[라비네(스트리노바)|
파일:라비네_아이콘.png

라비네
]][[카나미(스트리노바)|
파일:카나미_아이콘.png

카나미
]][[갈라테아(스트리노바)|
파일:갈라테아_아이콘.png

갈라테아
]]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_수호자
[[미셸(스트리노바)|
파일:미셸_아이콘.png

미셸
]][[노부나가(스트리노바)|
파일:노부나가_아이콘.png

노부나가
]][[레오나(스트리노바)|
파일:레오나_아이콘.png

레오나
]][[오드리(스트리노바)|
파일:오드리_아이콘.png

오드리
]]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_전략가
[[이베트|
파일:이베트_아이콘.png

이베트
]][[메레디스(스트리노바)|
파일:메러디스_아이콘.png

메레디스
]][[레이이치(스트리노바)|
파일:레이이치_아이콘.png

레이이치
]][[마들렌(스트리노바)|
파일:마들렌_아이콘.png

마들렌
]][[유기리(스트리노바)|
파일:유기리_아이콘.png

유기리
]]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_지원가
[[코코나(스트리노바)|
파일:코코나_아이콘.png

코코나
]][[미리내(스트리노바)|
파일:셀레스티아_아이콘.png

미리내
]][[프라그란스(스트리노바)|
파일:프레그런스_아이콘.png

프라그란스
]]
}}} ||
파일:메레디스_전신1.png
"제가 모두를 인도하겠습니다."
파일:스트리노바_시저스.png
시저스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전략가
메레디스
Meredith | 梅瑞狄斯 | メレディス

길을 찾는 여행자
시저스의 선임 연구원. 과학으로 인류의 미래를 개척하고자 합니다.
<colbgcolor=#FF3D22,#000000><colcolor=#ffffff> 성별 여성
166cm
생일 8월 28일
나이 19세
활동 구역 S12 기지
무기 돌격소총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노토 마미코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먀오쟝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수 링 찬
1. 개요2. 소개3. 무기4. 스킬
4.1. 액티브 스킬
4.1.1. Q - 사막의 열기(Sandstorm)
4.2. 패시브 스킬
4.2.1. 절대 0의 영역(Zeroth Rings)
4.3. 전술 스킬
4.3.1. C - 맹인의 모래(Blinding Sand)
4.4. 궁극기
4.4.1. X - 파라오의 저주(Sand Burial)
5. 스트링 에너지 네트워크
5.1. 기본 스탯5.2. 강화 옵션5.3. 각성
6. 평가7. 서약
7.1. 단계별 보상7.2. 추천 선물
8. 스킨9. 업적10. 작중 행적11. 인간관계12. 대사13. 기타

1. 개요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제 이름은 메레디스. 고향의 귀로로 모두를 인도하는 것이 제 사명입니다."
"My name is Meredith. It is my mission to lead humanity back to their path."

시저스의 숨겨진 리더이자 창립자 중 한 명. 사고력이 뛰어나며,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소통하기 어려운 인물. ||

스트리노바》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2. 소개

3. 무기

팔콘
돌격소총
파일:메레디스-무기.webp
돌격소총. 불펍 시리즈의 대표작으로, 종합적인 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고대 지구의 대표적인 경무기로 1.25배율 스코프가 장착되어 있다.

슈타이어 AUG A1에 조준경과 총열덮개를 커스텀하고 디자인을 약간 수정한 형태다.

적당한 데미지에 낮은 반동, 적은 거리비례 데미지 감소량 덕분에 AR인데도 어지간한 DMR한테도 밀리지 않을 정도로 중거리전과 원거리전에도 강력하고, 메레디스의 패시브에서 나오는 높은 명중률과 낮은 탄퍼짐 덕분에 근거리에서도 준수한 성능을 내는 무기. 다만 처음 메레디스를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무기 자체는 좋은 편인데도 메레디스 특유의 패시브 운용 때문에 어색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4. 스킬

4.1. 액티브 스킬

4.1.1. Q - 사막의 열기(Sandstorm)

사막의 열기
액티브 스킬
파일:메레디스-액티브.webp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메레디스가 스트링 에너지 구를 던져 낙하지점에 황사 영역을 생성합니다. 영역 안의 적은 이동 속도, 무기 효율, HP가 일시적으로 감소합니다.
쿨타임 30초 | 범위 12미터 | 내부에서 무기 효율, 이동 속도, HP 최대치 감소 | 영역 지속시간 12초
"황금 모래의 술법을 보여드릴 수 있습니다."
"金砂の術をお見せできます。"
- 스킬 쿨타임 완료 시

"오라, 황금의 사진."
"来たれ、黄金の砂塵。"
- 스킬 발동 시

"작열하는 모래여, 적의 진격을 막아라."
"熱砂よ、敵の進行を阻みなさい。"
- 스킬 발동 시

"그 걸음을 막겠습니다."
"その歩みを阻みます。"
- 스킬 발동 시

메레디스가 에너지 구를 들어 던진다. 지형이나 적 캐릭터에 에너지 구가 닿으면 해당 지점을 중심으로 지형에 관계없이 작은 모래폭풍을 만들고 내부의 적의 이동 속도와 연사속도 및 무기 효율을 감소시키며, HP 역시 천천히 감소시킨다. 이렇게 줄어든 HP는 사선으로 표시되고 범위 밖으로 나갈 경우 서서히 복구된다.

메레디스가 자리 싸움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이자 공격팀 전략가로서의 아이덴티티. 기본적으로 천천히 적용되는 영역형 스킬이기 때문에 자리잡은 수비팀 오드리와 같이 이동량이 적은 적에게 사용하거나, 진입하는 타격대를 잠시 억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렇게 사용하면 적은 결국 자리를 비켜주거나 영역 내부에서 약화된 체로 교전한다는 두 가지 선택지밖에 남지 않는다. 전자는 자리를 밀어냈으니 이득이고, 후자는 약화된 적을 다같이 몰려가 처리하면 그만.

단점으로는 대부분의 전략가가 가진 스킬들이 그렇듯 영역형 스킬인데다 범위가 꽤 좁다는 점이다. 이런 류의 스킬이 그렇듯 적이 영역 밖으로 나가버리면 효과가 없고, 감속이 있긴 하지만 범위가 좁은데다 그 범위를 보충할 각성마저 없어 빠져나가려고 하면 금방 빠져나갈 수 있다. 물론 자리를 밀어냈다는 사실 자체로 메레디스는 이득을 봤겠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적은 영역이 끝날때 들어오면 그만이고 그동안 길고 긴 30초라는 쿨타임은 돌아오지 않는다.

대신에 메레디스의 장판이 가하는 디버프는 모든 전략가의 디버프를 통틀어 비교해도 끔찍한 수준으로 강력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기본적인 이동속도 감소 및 무기 효율 감소 수치도 매우 큰데 각성이 나오면 시야까지 일방적으로 가려버려 정상적인 교전 자체를 못하게 만들고, 거기에 사거리까지 매우 긴데다 한 번 범위가 형성되면 벽 뒤라 할지라도 영향을 주기까지 한다. 제일 큰 장점은 사용에 사전 조건이 없고 선딜이 매우 짧다는 점으로, 근거리에서 적과 마주치기 일보 직전인 상황에도 일단 장판을 깔아버리고 대응하면 그 어떤 캐릭이 와도 이기기 어려워진다. 그 잠깐의 선딜 동안에 위험하다는 단점도 다른 전략가와는 달리 메레디스의 패시브의 존재 덕분에 공중에서 체공하며 빠르게 무빙하는 식으로 어느정도는 극복이 가능하다.

그렇기에 이 기술은 입구가 충분히 좁다면 적이 올 것 같은 곳에 미리 깔아둬도 나쁘진 않지만, 보통 자리잡은 적을 몰아내거나 적의 딜각을 제한하는 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이 주로 견제를 시도하는 자리에 써서 딜각을 억제하고 아군의 안전한 진입을 도우며, 적과의 근접전이 예상될 때에는 적 발밑에 깔아버려 빈틈을 만들고 그 틈에 적을 처치하는 것이 가장 정석적인 사용법.

평소에는 30초에 달하는 쿨타임 때문에 연속으로 시전하는걸 볼 일은 없지만, 스킬 쿨타임을 최대한 줄이거나 없에 사용하면 적의 HP가 1까지 줄어든다.

1각성 활성화 시 내부의 아군과 자신이 활공할 때, 공중으로 떠오른다. 폭풍 수류탄 같은 가젯이 없다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넘어갈 수 없는 지역을 자신과 아군이 넘어갈 수 있게 해주며[1][2], 벽에다 깔고 특정 지형에서 벽 옆이 아닌 위에서 튀어나와 체공상태로 공격을 하는 등[3] 메레디스만이 가진 전략가로서의 특징.

2각성 선택 시 스킬이 지형에 한번 튕기며 벽에 충돌하면 황사 영역을 만든다. 전략가의 스킬 치고는 적용 범위가 좁다는 메레디스의 액티브의 단점을 어느정도 해소하고 벽 뒤 견제를 더 적극적으로 하게 해주지만, 3각성이 너무 강력하기에 잘 선택되지는 않는다.

3각성은 메레디스 개편 패치로 새로 생긴 각성인데, 선택 시 장막안에 있는 적에게 시야 방해 효과를 가한다. 내부의 적은 메레디스의 궁극기 안에 있는 수준으로 시야가 크게 제한받는데, 그렇다고 메레디스의 궁극기처럼 적과 아군이 둘 다 내부에 위치한다고 시야 제한이 약화되는 것이 아니고 사실상 섬광탄과 같은 효과를 받는 것이다.
장판 자체의 성능은 내부의 적에게 더 효과적이도록 바뀌었으나 외부에서 내부를 못보게 하는 연막으로서의 성능은 사실상 없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레디스 픽의 의미이자 다른 각성을 모두 제치고 최우선 해금 대상일 정도로 매우 강력한 각성이기도 한데, 시야 방해 효과는 아군에게는 일절 영향이 없어 척후대의 보조 없이도 적의 딜각만 일방적으로 제한하고 아군의 시야를 가리는 트롤의 염려도 없기 때문[4]. 적이 딜하는 자리나 적이 들어오는 자리에 깔아버리면 적은 교전이 불리해지는걸 넘어 아예 교전이 불가능하게 되며, 덕분에 사용에 매우 신중해야 하고 척후대와의 연계를 필요로 하던 조건이 사라지면서 메레디스 단독 전투력도 향상되고 승률 상승에 꽤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대신에 연막으로서의 기능은 제한적이라 원래 공격팀에서 담당하던 연막의 역할은 레이이치가 전부 담당하게 되었으며, 메레디스는 연막 캐릭이라기보다는 디버프 캐릭으로 운영 방식이 바뀌게 되었다.

4.2. 패시브 스킬

4.2.1. 절대 0의 영역(Zeroth Rings)

절대 0의 영역
패시브 스킬
파일:메레디스_패시브.webp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부유 시 메레디스가 스킬 조준, 무기 조준 또는 전술 조준 상태에 진입하면 착지 속도가 감소됩니다.
패시브
최대 지속시간 12초 | 초당 게이지 8.3% 회복
"마미 타임 발동."
"マミータイム発動。"
- 패시브 스킬 발동 시

메레디스가 공중에서 주 무기, 보조 무기를 견착 및 조준하거나 전술 아이템을 투척할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액티브 스킬, 궁극기를 들고 있을때 낙하하는 속도가 감소한다. 패시브가 발동되면 게이지를 소모하지만 게이지가 꽤나 넉넉한데다 느리게 소모되고, 차는 것도 빨리 차서 게이지가 부족해서 패시브 효과를 못 쓰는 경우는 잘 없다.

여느 게임에나 하나쯤 있을법 한 낙하 속도 감소 스킬. 메레디스를 잘 모르거나 처음 하는 사람이 보면 스트링화에 비해 딱히 피격판정을 줄이는 것도 아니고 점프하는 것보다는 느린 속도로 공중에 체공하는데다 공중에서 견착이나 조준을 하면 원하지 않아도 강제로 발동되는 등 그다지 좋지 않은 스킬처럼 느끼기 쉽다. 낙하 속도가 느리고, 허공에 떠있어서 노출되기도 쉬운데다 화면에 보이는 이펙트는 적에게도 보여서 "나 여기서 패시브써요"라고 당당하게 광고하기에 이목도 쉽게 집중되고, 공중에는 엄폐물도 없기 때문에 훨씬 부각되기 때문이다. 이 스킬만 믿고 나대다간 적의 집중포화를 맞고 전광판으로 사출당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스킬의 진가는 메레디스의 교전 능력을 대폭 향상시킨다는 점에 있다. 우선, 체공 중에는 메레디스의 모든 무기의 명중률이 대폭 증가한다. 체공중에 견착 사격을 하는데 조준사격에 비교될 만한 명중률이 나오는 등, 체공 중에는 그 명중률 높다는 레오나의 총기를 뛰어넘는 적은 탄퍼짐을 가지게 된다. 이 패시브의 존재 덕분에 메레디스는 무기 강화에서 탄퍼짐이 아니라 반동 감소를 선택해도 명중률이 전혀 부족하지 않고, 에임만 좋다면 적은 탄퍼짐으로 메레디스의 주력 분야가 아닌 근거리전마저 압도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견착이나 조준을 한 상태에서 체공으로 좌우로 빠르게 무빙이 가능하다는 점도 큰데, 보통 메레디스가 견착을 해야 할 거리면 적도 견착을 해야 하고 조준을 해야 할 거리여도 마찬가지가 된다. 그런데 적은 견착이나 조준 중이라 좌우 무빙이 매우 느리고 제한적인데 메레디스는 좌우 무빙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어 메레디스 쪽이 훨신 유리해진다. 이러한 특징에 메레디스 무기 자체의 낮은 반동과 적은 거리 비례 데미지 감소율이 합쳐져 숙련된 메레디스가 어지간한 DMR 캐릭터와 원거리전을 해도 밀리지 않거나 오히려 압도하게 해주며, 심지어 상대가 저격소총 캐릭터여도 체공하여 좌우 무빙을 하는 메레디스의 머리를 한방에 날릴 수 있는 실력이 아닌 이상 견제를 시도해볼 수 있게 만들어주기도 한다[5]. 체공 조준에 익숙하면, 먼 거리에서 조준하느라 느려진 적의 헤드를 노려 폭딜을 우겨넣고 엄폐하게 만들거나 아예 다운시킬 수도 있다.

대신에 이 패시브의 존재는 역으로 메레디스 입문의 가장 큰 진입장벽이 되기도 한다. 체공하여 견착 및 조준사격을 하면 메레디스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에임이 따라가기 때문에, 그에 맞게 적절한 보정을 해주지 않으면 메레디스가 공중에서 움직이는 방향으로 마치 빙판 위에서 미끄러지듯이 에임이 굉장히 부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된다. 즉, 메레디스를 플레이하려면 반동 제어보다도 이러한 이동방향으로 에임이 움직이는 것을 제어하는 것에 익숙해지고, 패시브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가능한 한 체공하여 공격하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4.3. 전술 스킬

4.3.1. C - 맹인의 모래(Blinding Sand)

맹인의 모래
전술 스킬
파일:메레디스_스킬_전술.png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메레디스가 대상 방향으로 스트링 에너지 구를 던져, 낙하지점에 시야를 완전히 차단하는 원 형태의 모래 영역을 생성합니다.
라운드 당 1회(일반 폭파), 쿨타임 45초(호위, 스트링 쟁탈전) | 영역 지속시간 11초

대상 지점에 벽이 불투명한 원통형의 모래 기둥을 생성하여 시야를 가로막는다. 사용 방식은 지금의 액티브와 완전히 똑같으며 상하좌우 범위도 완전히 일치한다. 다만 지속시간이 액티브 스킬 지속시간 강화를 찍지 않은 지금의 액티브 스킬과 비교해도 약 1초정도 미세하게 짧다.

개편 전 메레디스의 그 기술로, 원래 이 기술을 액티브로 갖고 있었지만 지금의 액티브로 리메이크되면서 연막으로서의 역할은 거의 하지 못하게 된 메레디스가 부분적으로나마 연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해 주는 기술이다. 연막탄과 비교했을 때 범위가 상하든 좌우로든 훨신 넓고[6] 지속시간도 더 길며, 무엇보다 인터셉터에 안 막히기에 가리고 싶은 딜각을 확정적으로 가릴 수 있다는 점이 이 기술의 최대 장점이다.

당연하지만 개편 전 메레디스가 그랬듯, 이 기술로 아군의 딜각을 가로막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4.4. 궁극기

4.4.1. X - 파라오의 저주(Sand Burial)

파라오의 저주
궁극기
파일:메레디스-궁극기.webp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메레디스가 피라미드 모양의 물체를 던져 거대한 모래 폭풍을 소환합니다. 모래 폭풍은 시야를 차단하며 일시적으로 적군 캐릭터의 HP를 감소시킵니다.
◆◆◆◆◆◆◆
7 포인트 | 지속시간 20초 | 범위 40미터 | 내부에서 체력이 최대 1까지 감소
"종극의 신비, 직접 목도하시죠."
"終極の神秘、ご覧に入れましょう。"
- 궁극기 충전 시

"우리의 적에게 재앙이 있을지어니."
"我が怨敵に災いあれ。"
- 궁극기 발동 시

"열려라, 두아트[7]로 향하는 문."
"いでよ、ドゥアトへの門。"
- 궁극기 발동 시

"당신들의 생명도 여기까지입니다."
"あなたの命もあとわずか。"
- 궁극기 발동 시

굉장히 오래동안 지속되는 연막이자 광범위 cc기이며 조금 과장하면 메레디스 픽 지분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스킬. 굉장히 넓은 범위에 모래폭풍을 전개하고 피아식별 없이 시야를 차단하며 적의 체력을 지속적으로 줄여 최종적으로는 1까지 내린다.[8] 폭탄을 설치하거나 화물 마지막 구역에서 버티며 사용한다면, 적은 앞도 안보이는데 체력은 1까지 낮아지고, 메레디스에게 강조된[9] 상태로 불리한 교전을 치를수밖에 없게 강제하면서, 아군은 적 스나이퍼나 지정사수에게 당할 걱정이 없어져 영역 내부에서 날뛸 수 있게 된다.

단, 모든 연막의 공통점인 적과 팀원의 시야를 같이 차단한다는 문제 때문에 오히려 적이 역습할 발판을 깔아주거나, 아군 스나이퍼와 지정사수의 눈을 가려 활동 불가능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등, 파일럿의 상황 판단과 스킬 숙련도에 따라 극과 극으로 갈린다. 심지어 연막탄이나 레이이치의[10] 오로라 전개(Q)와 비교하면 이 둘은 그나마 범위가 한정되어 아군이 사격할 각이 나오는 반면, 메레디스는 스킬의 범위가 40m나 하기 때문에 아군의 시야 방해 문제를 거의 없에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만 아군의 시야 방해 문제는 라비네나 카나미같이 적의 위치를 따내고 아군과 공유하는 스트링과 조합한다면 적은 안보이고, 아군은 보이는 기적의 딜교가 가능하다. 때문에 아군 척후대와의 연계할 때 그 파괴력이 빛나는 궁극기.

해당 궁극기의 대표적인 카운터로 노부나가의 궁극기인 EMP가 있다. 이 때문에, 메레디스를 픽한 경우 상대 노부나가의 궁극기를 카운팅하여 노부나가가 궁극기가 없을 때 메레디스의 궁극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마찬가지로 상대팀의 노부나가도 보통 메레디스가 궁극기를 사용한 턴에 맞춰서 EMP를 사용하려고 아껴놓게 된다.

그렇다고 메레디스의 궁극기가 카운터를 당할 수 있기에 좋지 않다는 것은 전혀 아니다. 노부나가가 EMP를 쓰려면 메레디스 궁극기 가장자리 근처에서 써야 하기에 공격팀이 메레디스의 궁극기에 너무 깊숙히 들어가지 않다가 EMP가 발동되면 뒤로 물러나는 식으로 대처할 수 있고[11], 메레디스 역시 궁극기를 사이트 한가운데에 사용하기보다 적이 들어올 쪽을 가리도록 사용하여 EMP가 발동되어도 공격팀이 자리잡을 곳이 나오도록 궁극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일 좋은 것은 노부나가가 보일 때 포커싱해서 죽인 다음 궁을 켜서 라운드를 굳히는 것이고, 아예 공격팀과 합의 하에 궁을 과감하게 진입할 때 켜버린다음 수비팀이 대응하려 달려올 때 사이트를 돌려 반대쪽 사이트를 공략하는 등 심리전이 충분히 가능하다.[12]

이 궁극기를 사용할 때 가장 주의할 점은, 적으로부터 위협을 받지 않고 아군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서 안전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궁극기 사용중에 메레디스가 죽어버리면[13] 궁극기가 즉시 해제되므로 적 근처에서 궁을 사용하면 적들이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메레디스를 죽이려 달려들게 된다. 어차피 메레디스의 궁극기는 사거리가 길고 범위도 넓어서 안전한 위치에서 사용이 충분히 가능하고, 메레디스 자체가 근접전보다는 중거리전과 원거리전에 특화된 캐릭인만큼, 궁극기를 사용한 순간부터는 무리하는 포지션이 아닌 안전한 포지션을 잡고 적을 계속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담으로 궁극기의 피라미드형 물체는 분리되어 회전하는 것을 제외한다면 액티브 스킬과 동일한 모델이다.

5. 스트링 에너지 네트워크

5.1. 기본 스탯

[include(틀:스트리노바/총기 스탯/시저스,
연사속도=690, 연사속도나누기12=57.5,
조준속도=45,
명중률=60,
제어=67,
탄창용량=30,
재장전속도=24, 재장전속도곱하기2=48,
볼트장전속도=0,
스트링피해량=67,
배율=1.25
)]
[include(틀:스트리노바/피해/시저스,
머리10=36, 머리30=34, 머리50=30,
상체10=24, 상체30=22, 상체50=20,
하체10=16, 하체30=15, 하체50=14
)]
[include(틀:스트리노바/캐릭터 스탯/시저스,
보호막=80, 보호막나누기2=40,
보호막재생수치=2, 보호막재생수치곱하기5=10,
이동속도=55,
스트링이동속도=66,
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33, 80나누기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49,
다운시간=15, 30나누기다운시간=50,
다운중부활시간=4, 8나누기다운중부활시간=50
)]

5.2. 강화 옵션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조준.png
코어
||
기본 피해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기본 연사속도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기본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36 → 37 (+1)
30m 머리 피해 : 34 → 35 (+1)
50m 머리 피해 : 30 → 32 (+2)
10m 상체 피해 : 24 → 25 (+1)
30m 상체 피해 : 22 → 23 (+1)
50m 상체 피해 : 20 → 21 (+1)
10m 하체 피해 : 16 → 17 (+1)
30m 하체 피해 : 15 → 16 (+1)
기본 연사속도 증가
연사속도 : 690 → 725 (+35)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데미지.png
치명타
||
헤드샷 피해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헤드샷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36 → 42 (+6)
30m 머리 피해 : 34 → 39 (+5)
50m 머리 피해 : 30 → 35 (+5)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 67 → 80 (+13)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탄.png
연사
||
탄창 용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재장전 속도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탄창 용량 증가
탄창 용량 : 30 → 35 (+5)
재장전 속도 증가
재장전 속도 : 24 → 33 (+9)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제어.png
명중률
||
탄 퍼짐 조절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반동 제어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탄 퍼짐 조절 증가
명중률 : 60 → 75 (+15)
반동 제어 증가
제어 : 67 → 87 (+20)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메레디스_강화 액티브.webp
사막의 열기
||
지속시간 4초 증가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재사용 대기시간 7초 감소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메레디스-강화 패시브.webp
절대 0의 영역
||
부유 시 중력 감소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방어막.png
보호막
||
재생 보호막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강화 보호막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재생 보호막
보호막 : 40 → 80 (+40)
보호막 매회 회복 수치 : 2 → 8 (+6)
중량 보호막
보호막 : 40 → 100 (+60)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방어막.png
스트링화
||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스트링화 이동 속도 : 66 → 76 (+10)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비율 : 33 → 46 (+13)
}}}}}} ||

5.3. 각성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파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1각성 : 모래 기류
아군 캐릭터가 황사 영역 내에서 활공하면 위로 떠오릅니다.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초록.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초록.png

2각성 : 연쇄 폭풍
액티브 스킬이 추가로 1회 반사되며 황사 영역을 2개 생성합니다.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파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파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3각성 : 모래 장막
황사 영역 안의 적은 시야 범위가 극도로 제한됩니다.

각성에 대한 설명은 액티브 설명 참조.

6. 평가

3각이 활성화된 Q스킬과 궁극기의 시야 차단 효과에 더해, 스킬 범위내의 적에게 무기 효율 감소와 더불어 고유의 상태이상인 쇠약을 부여해 최대체력까지 깎아버리는 강력한 디버퍼 겸 연막캐릭터. 공격측에서 가질 수 있는 디버프중 가장 강력하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무자비한 디버프를 가해서 적을 밀어내고 이득을 취하는 구조로 설게되어있다.

비슷한 공격팀 전략가인 레이이치와 비슷하게 게임 상황 파악이나 이해도가 매우 중요한 캐릭터로, 어느 정도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쌓였을 때 입문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과거 액티브가 아군과 적군의 시야를 모두 가리던 시절에 비해서는 확실히 쉬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연막으로서의 활용도가 사라진 만큼 적이 주로 딜하는 위치를 잘 파악하고 그런 곳에 액티브를 적절히 사용해야 하며, 메레디스의 궁극기는 잘 사용하면 공격팀이 한 라운드를 그냥 날로 먹을 수 있게 할 정도로 강력하지만 아군의 시야도 가려버릴 수 있다는 양날의 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극악의 카운터인 노부나가의 존재로 인해 궁극기의 사용에도 신중해야 하고 아군 척후대와의 연계도 고려해야 한다. 심지어 메레디스의 스킬 뿐만이 아니라 체공 사격을 권장하는 패시브마저도 처음 입문하면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대신에 위 모든 것에 적응하고 노련하게 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면, 메레디스는 공격팀 중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강력한 캐릭터가 된다. 실제로 개편 이후 높은 승률이 그러한 점을 반영한다. 교전 거리 제약도 없고 어떤 거리의 전투에서든 모두 준수하며 무지막지한 딜각 억제 기술까지 가지고 있어 궁극기 사용에만 조금 주의하면 전투에서의 상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7. 서약

7.1. 단계별 보상

7.2. 추천 선물

8. 스킨

9. 업적

10. 작중 행적

11. 인간관계

12. 대사

13. 기타

  • 현 시저스의 리더이자 창립멤버이며 시저스에 남은 유일한 3현자로 애매한 픽률과는 별개로 설정상으론 살아있는 전설로 대우받는 듯.
  • 메레디스의 머리 위에 난 것은 사막여우의 귀다.

[1] 대표적으로 코스메트 미드 넘어가기, 코시 블록의 B 가는 길 2층으로 진입하기, 오일러 항구의 미드 왼쪽 벽에 써서 B사이트로 넘어가기 등. 대신 메레디스의 스킬은 시야가 없어도 맵에 표시되기에 수비팀이 눈치채는 것은 쉽고, 짬이 쌓인 수비팀은 당연히 이런 진입들을 예측할 것이기에 이런 전략을 매번 사용한다기 보다는 수비팀이 예상 못할 타이밍에 기습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진입 시에 인터셉터 동반은 필수.[2] 주의할 점으로, 이 스킬을 깔고 지형을 넘어 진입하려 할 때 스킬을 충분한 높이가 되도록 벽에 깔아야 한다는 점이다. 너무 낮게 깔면 지형을 넘어갈 수 없게 되므로 점프해서 활공으로 범위에 닿게 하되 상하 범위가 충분하게 벽에 걸치게 까는 것이 포인트.[3] 대표적으로 윈디 타운의 B사이트.[4] 시야 방해 효과를 받고 있는 적은 섬광탄과 비슷하게 얼굴이 가려지는 이펙트가 보여서 메레디스나 아군이 판별할 수 있다.[5] 물론 굳이 위험을 부담할 필요 없이 메레디스가 저격소총 캐릭터를 상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냥 액티브로 딜각을 없애버리는 것이다. 공격팀의 전략가 캐릭터는 DMR이나 SR을 사용하는 캐릭터의 카운터 역할을 한다.[6] 특히 상하 범위가 매우 넓은데, 코시 블록 1층 벽 중간쯤에 쓰면 1층은 물론이고 2층에서 박스 위에서 점프를 해도 안 보이게 완전히 가려버릴 정도로 상하 범위가 넓다. 그래서 이 기술은 가능한 한 바닥을 보고 쓰기보다는 벽의 중간쯤에 쓰는 것이 제일 효과적이다. 물론 개활지라서 지형이 없다면 당연히 바닥에다 써야 한다.[7] 고대 이집트에서 믿어졌던 사후세계, 지하세계에서 천국으로 향하는 통로를 뜻한다[8] 잘 감이 오지 않는다면, 발로란트의 바이퍼의 궁극기를 생각하면 된다. 연막의 형태가 다른것을 제외하면 거의 동일 사양이다. 참고로 궁극기라서 그런지 Q스킬보다 체력 감소 속도가 훨씬 빠르다.[9] 메레디스에겐 내부의 적이 붉게 강조된다. 어디까지나 투시가 아닌 강조이기 때문에 벽 너머로 보이지는 않는다.[10] 특히 레이이치의 경우 3각 활성화 이후부턴 아군이 가까이 가면 장막이 반투명해져서 반대쪽을 볼 수 있으나, 메레디스는 그런거 없다.[11] 궁극기가 펼쳐진 곳을 포기해도 공격팀 입장에서 유리한게, 메레디스의 궁극기는 반경이 매우 넓으며 그 넓은 범위를 조금 지나치기만 해도 수비팀 입장에서 체력 손실이 꽤나 크다. EMP를 의식하지 못해 궁극기 안에서 죽어버리지만 않으면 상대 노부나가와 궁극기를 교환해도 충분히 이득을 볼 수 있는 것.[12] 다만, 이는 메레디스의 궁극기 위치가 가장 중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트롤링은 아군이 진입하는 통로와 사이트를 함께 가리는 것으로, 이러면 노부나가는 EMP를 매우 효율적으로 깔 수 있고 상대는 바깥에서 시간을 충분히 벌거나 장막 안으로 진입하는 각이 훨씬 다양해진다. 메레디스의 궁극기는 적진에 더 가깝게 깔아 진입을 방해하고 시야를 차단해 강제로 멀리 빠져나가거나, 억지로 싸우거나의 이지선다를 거는 스킬이다. 단순히 아군위치에 깔아서 진입만 보조하는 용도로 쓰기엔 이 용도로는 이미 일반 스킬이면서 훨씬 안정적으로 방해 없이 깔 수 있는 레이이치가 있다.[13] 다운되는 것만으로는 궁극기가 해제되지 않고 메레디스가 완전히 죽어야 궁이 해제된다. 이는 같은 설치형이자 지속시간형 궁극기를 가진 레이이치도 마찬가지. 다만 레이이치의 경우에는 궁극기 자체가 방탄벽이라 적의 공격을 차단하므로 메레디스보다는 위협받을 상황이 조금 덜하다.